유리의 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제선정

2. 선정한 이유

3. 유리의 성질
3.1 비중
3.2 강도
3.3 경도
3.4 열에 대한 성질
3.5 광학적 성질
3.6 흡수율
3.7 투과율
3.8 굴절율

4. 유리의 원료
4.1 주원료
4.2 착색제
4.3 탈색재료

5. 제법
5.1 공정
5.2 성형(성형, 주로 판유리)

6. 유리의 종류(KS)
6.1 보통 판유리
6.2 복층 유리
6.3 무늬 유리
6.4 플로트판유리 및 마판유리
6.5 망입유리
6.6 강화유리
6.7 배강도유리
6.8 열선흡수판유리
6.9 열선반사유리
6.10 X선 방호용 납유리

본문내용

사용하며, 강도는 같은 두께의 다른 판유리보다 약하다. 주로 엘리베이터 문, 천장, 진동이 있는 장소 등에 쓰인다.
6.6 강화유리
안전유리의 일종(강화안전)으로 유리 평면 및 곡면의 판유리를 약 600℃까지 가열하였다가 양면을 냉각공기로 급랭 한 유리이다. 모양에 의한 종류에는 평면강화유리와 곡면강화유리가 있으며, 재료 판유리에 의한 종류에는 무늬 강화 유리(T4), 플로트 강화유리(T4,5,6,8,10,12,15,19)플로트 강화 유리(T5,6,8)등이 있다. 충격 강도 및 하중강도는 보통 유리의 3~5배 정도이며, 내열성이 커서 200℃ 이상에서 견딘다. 강화 열처리 후 절단, 구멍 뚫기 등의 재가공이 불가능하며, 주로 외부 창유리, 테두리 없는 유리문, 에스컬레이터 옆판, 계단 난간의 옆판 등에 쓰인다.
6.7 배강도유리
강화유리는 제조방법에 따라 완전강화유리 혹은 반강화유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완전강화유리를 그냥 강화유리라고 부르며, 반강화유리는 배강도유리라고 한다. 배강도유리는 heat stengthened glass, 완전강화유리는 tempered glass로 구분하는데, 강화유리는 일반 유리를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하였다가 유리를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한 후 압축공기로 급냉 처리하며, 한편 반강화유리는 연화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찬 공기를 약하게 불어 주어 냉각하여 만든 유리로, 유리 표면에 형성된 압축응력의 크기는 강화유리 보다 작다. 또한 반강화유리를 파괴해 보면 강화유리에 비해 파괴된 유리 조각의 크기가 크고, 파괴된 파편의 수는 적다. 따라서 반강화유리의 경우 유리의 변형을 원하지 않는 건축용 유리로 응용되며, 완전 강화유리는 건축용 곡유리 혹은 자동차용 유리에 주로 응용된다.
6.8 열선흡수판유리
판유리 성형 시 산화철, 니켈, 코발트, 셀렌(selenium)등의 금속산화물을 미량 첨가하여 열선흡수를 크게 한 착색유리로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일반판유리의 4~6배정도 흡수하고, 가시광선을 부드럽게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하며, 색조의 종류는 청색, 회색, 갈색 등이 있다.
일반 판유리보다 약 4~^배의 태양 복사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온도차가 심하면 파손되기 쉬운 것이 단점이다.
6.9 열선반사유리
태양열의 차폐를 주목적으로 하여 유리 표면에 얇은 반사막을 입힌 판유리로 유리표면에 반사성합성수지 필름을 부착한 것은 제외된다. 종류구분은 태양열 차폐성에 따라 1종(태양열 제거율 0.30 이상), 2종(태양열 제거율 0.45이상), 3종(태양열 제거율 0.60이상)으로 내구성에 따라 A류, B류로 구분한다. 특징은 냉방 부하의 경감과 동시에 실내 온도의 균일화에 유수한 성능을 가지며, 밝은 편에서 보면 거울 효과가 있으며, 열선 에너지의 단열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6.10 X선 방호용 납유리
의료용 X선, 원자력관계의 방사선을 차단하기 위해 방사선실의 작은 창에 사용한 유리를 말하며, 산화연(PbO)을 함유하는데 산화연의 함유율(30~50%)과 판 두께에 따라 방호능력 좌우된다.
▣ 과제를 마치면서
처음 과제를 구상할 때는 어떤 것을 선정해야 할지 막막하게 느꼈었다. 하지만 막상 시작하고 보니 차근차근 자료를 모아가며 과제를 작성하니깐 그렇게 어렵지 않았고 오히려 그전에 겁부터 먹고 아무것도 하지 못한 내 자신에게 부끄러웠다.
재료선정이 잘못 된 것을 조사한 부분은 플라스틱부분을 강화유리로 대체하면 제품 사용 시 유리의 단점인 취성 때문에 소비자에게 위험 요소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은 아직 조금 아쉬운 부분이다.
이상으로 이번 과제를 마치면서 과제가 끝남과 동시에 머릿속에서 잊혀버리지 않고 곰곰이 생각해 봐야겠다.

키워드

유리,   종류,   강화,   플라스틱,   배강도,   성질,   선정,   재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6.18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0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