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점강화법에 의한 삼투포텐셜의 측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Title:

4. Purpose:

5. Materials:

6. Principle

7. Methods:

8. Discussion:

본문내용

1. Title: Determination of Osmotic potential by the Freezing-Point Depression Method (빙점강화법에 의한 삼투포텐셜의 측정)
2. Date: 2006년 11월 24일
3. Name:
4. Purpose: 빙점 측정법으로 식물조직의 osmetic potential을 측정할 수 있다.
5. Materials: potato tuber, mortar and pestle, beaker, test tube, freezing-point thermometer, stand and clamp, crushed ice and salt, centrifuge
6. Methods: ① 감자를 잘게 조각낸다.
② mortar에 놓고 pestle로 조직을 간다.
③ centrifuge에서 spin it at 2000×g for 5 min.
④ test tube에 supernatant sol.을 2ml넣고 large test tube에 집어 넣는다.
⑤ salt가 dissolved된 (3table spoonful)crushed ice가 담긴 비이커에 장치한다.(온도계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⑥ 계속 ice bath를 저어주면서 온도의 하강을 기록한다.
⑦ 0℃ 이하로 내려간 후 살짝 온도가 다시 올라가는 곳을 확인한다.
⑧ 압력 포텐셜을 구한다.
7. Results:
◈ 1 molar : -1.876℃(∆f)에서 언다. 이 때 삼투포텐셜 = 22.7bar(Ψπ)
-22.7/-1.86 = Ψπ/ ∆f
∴ Ψπ = 12.2 (∆f)
◈ 우리 조의 결과는 –2.5℃ 일 때, 잠깐 멈춘 후 온도가 다시 올라가기 시작했다.
따라서 freezing point는 –2.5℃ 이다.
위에 언급한대로, 삼투포텐셜은 12.2 (∆f) 이므로, (∆f)= -2.5
-2.5℃ 일 때에는 12.2 X (-2.5) = -30.5
-30.5 = -CRT = C X 0.082 X 273
∴ C = 1.362
수분포텐셜(Ψ) = -C(농도)R(0.082)T(273+실온℃)
= -1.362 X 0.082 X (273 + 17)
= -32.388
* 수분포텐셜(Ψ) = 압력(P) - 삼투포텐셜(Ψπ)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6.24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71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