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석빙고의신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석빙고 특성과 종류

2. 석빙고의 역사와 그 기원

3. 석빙고의 구조와 재료

4. 석빙고의 과학적 원리

5. 석빙고를 마무리하며...

본문내용

으로 입구를 내고 최대한 바람이 골고루 퍼지게 해 냉각을 유도했기 때문이다. 특히 출입문쪽에 설치된 돌벽은 바람을 모으는 "바람받이" 기능을 담당하며, 석빙고 표면에서 돌출된 통풍구의 윗부분은 태양열에 쉽게 가열되는 돌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통풍구까지 올라온 공기가 온도 상승과 함께 쉽게 빠져나간다. 이밖에 진흙 지붕 위에 잔디를 심어 태양의 복사열을 차단한 점, 바닥 한 가운데에 배수로를 내 얼음에서 녹은 물이 즉각 빠져나가게 한 점 등도 석빙고의 과학적 냉각기법으로 보인다.
석빙고 입구에는 작은 석비 하나가 서 있다. 공사에 동원된 인원, 공사 기간, 소요 재료 등을 자세히 알 수 있다. 특히 상당량의 쇠가 쓰여 그 용도가 궁금해지는데 돌과 돌이 잘 맞물리도록 드러나지 않게 사용된 것이 아닌가 추측되며 얼음이 녹아 생긴 물, 곧 용해수의 처리는 석빙고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만일 용해수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다면 얼음이 훨씬 빨리 녹게 되므로 용해수는 생기는 대로 배수시켜야 한다. 때문에 석빙고의 바닥은 예외없이 경사가 졌고, 배수구를 갖추고 있다.
5. 석빙고를 마무리하며...
석빙고는 멀리서 보면 마치 길숨한 고분처럼 생겼다. 빙실의 절반은 지하에 있고 나머지 절반이 둥그스름하게 지상에 솟아 잔디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대개 빙실은 장방형을 하고 있으며 폭은 보통 4∼6m이고 길이는 폭의 2배 내지 4배로 다양하다. 흙다짐을 하거나 얇은 돌을 평평하게 깔은 빙실 바닥은 출입구 쪽이 높고 안쪽이 낮도록 경사지게 만들고 바닥 중앙이나 가장자리에 배수로를 만든다. 빙실 안에서 얼음이 녹아 생긴 용해수를 효과적으로 내보내기 위해서다. 석빙고에서 가장 특징적인 요소는 빙실 천장을 이루는 홍예이다. 전체를 홍예로 짜 올리는 무지개다리나 성문 등과는 달리 석빙고에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홍예를 틀어올리고 이를 구조재로 하여 그 사이를 석재로 쌓거나 판석으로 덮어 빙실공간을 만든다. 이런 구조로 된 빙실은 기둥이 없어 미끄러운 얼음을 취급하기에 편리할 뿐 아니라 공간 활용에도 유리하였다.
천장에는 홍예보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환기구멍을 내었으며, 봉토 바깥까지 연결된 환기공에는 덮개돌을 얹어 빗물이나 직사광선이 새어들지 않도록 하였다. 빙실 규모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환기공은 2개나 3개가 일반적이었다.
출입문은 특정 방향으로 내었다기보다 빙고가 들어서는 지형에 따른 듯하며, 대부분 지면보다 낮은 빙실과 지면의 중간에 설치했다. 따라서 출입문까지는 계단이나 경사로를 마련했으며, 문에서 빙실 바닥까지도 계단으로 처리하는 것이 공통적이었다. 문은 얼음의 출납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크기로 가급적 크게 만들지 않았다. 문짝은 인방석(引枋石)과 이맛돌에 문지도리 홈자국이 패어 있는 것으로 보아 판석을 이용한 돌문이나 나무문을 달았으리라 생각된다.
지상으로 솟은 봉토 표면에는 잔디를 심어 복사열을 막고 빗물에 의해 봉토가 씻기지 않도록 하였다.
석빙고는 '기체의 대류현상, 물체의 열 전달률 등 과학원리를 적절히 배합한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7.23
  • 저작시기200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4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