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근접발달지대와 비계설정
1) 근접발달지대
2) 비계설정(scaffolding)의 의미
2. 근접발달지대와 비계설정 각각에 대하여 부모와 교사 입장에서 구체적인 예시
1) 부모 입장 예시
2) 교사 입장 예시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근접발달지대와 비계설정
1) 근접발달지대
2) 비계설정(scaffolding)의 의미
2. 근접발달지대와 비계설정 각각에 대하여 부모와 교사 입장에서 구체적인 예시
1) 부모 입장 예시
2) 교사 입장 예시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화적 인지발달이론 중 근접발달지대와 비계설정 각각에 대하여 부모와 교사 입장에서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해 보았다. Berk & Winsler(1995)는 비계설정의 목표로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의 근접발달영역에서 과제를 해결하는 것’과 ‘자기-조절(self regulation)을 증진시키는 것’이라고 했다. 학습자로 하여금 근접발달영역에서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것은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째는 학습자에게 주어진 과제가 적절한 수준으로 어려워 학습자가 도전감을 갖도록 과제와 주변 환경을 구성해 주는 것이고 둘째는 학습자의 현재의 요구와 능력에 맞도록 성인의 개입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학습자가 도움을 필요로 할 때 도와주고 그들의 능력이 증가함에 따라 도움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목표인 ‘자기-조절 증진시키기’는 학습자로 하여금 가능한 한 많은 공동 활동을 조정하게 함으로써 자기 조절을 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이 학습자로 하여금 해답의 발견에 참여하게 하는 질문을 함으로써 학습자의 과제 행동을 조정할 때 학습과 자기 조절은 최대화된다.
참고문헌
김삼예, \"비고츠키 발달이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6).
김미리,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에 근거한 무용교육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5).
민철홍,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에 기초한 소그룹 협동학습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2).
장은지, \"비계설정 이론에 기초한 가창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8).
참고문헌
김삼예, \"비고츠키 발달이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6).
김미리,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에 근거한 무용교육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5).
민철홍,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에 기초한 소그룹 협동학습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2).
장은지, \"비계설정 이론에 기초한 가창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