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안보협력과 지역 군비통제의 진전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군비통제의 이론적 고찰
1) 국제군비통제의 개념과 특성
2) 군비통제의 목적
3) 세력균형과 군비통제
4) 상호의존, 상호협력과 군비통제
2. 지역체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연구의 설계(research design)
1. 연구가설
2. 종속 변수 측정
3. 독립변수 측정

Ⅳ. 가설의 검증
1. 가설 ①의 검증
2. 가설 ②의 검증
3. 가설 ③의 검증
4. 검증 결과 분석

Ⅴ.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례의 데이터화를 이루어 경험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세계체제의 구조적 변수가 지배적 변수임을 입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연구는 지역체제 전체를 일반화시키려는 노력보다는 특정 지역체제를 경험적 대상으로 실험 설계할 때 더 잘 진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적용한 상관관계 분석은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상호 관계만을 나타내며, 실제 원인과 결과를 밝히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지역 군비통제 협약 달성의 요인들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인과관계를 잘 설명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을 다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인과관계보다는 군비통제 진전을 설명할 수 있는 기존 국제 관계 이론의 적실성을 검토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참고 문헌
함택영.1998, 『국가안보의 정치경제학』(서울: 법문사).
김우상. 『신한국책략』. 서울: 나남, 1998.
김유남 노병렬. “동북아 안보레짐의 형성 및 가능성 : 다자간 안보협의체와의 상호보완성 연구”. 국제정치논총 39집 1호. 1999.
신정현. 『한반도의 군비통제 : 평화와 통일의 새 국면』. 서울:예진, 1990.
안병준. “한반도의 평화와 군비통제”. 이상우 하영선(편).『현대국제정치학』.서울:나남, 1992.
오기평. 『현대국제기구정치론』. 서울:법문사, 1982.
이철기. 『동북아 군축론』. 서울:호암, 1993.
한용섭. "한반도 군비통제전략의 모색" 「국방대학교 교수논총」 3집 1호 (1995).
현인택.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과정에서의 남북한 군비통제 방안”. 군비통제자료 26호 1999. 12. 서울: 국방부, 1999.
Buzan, Barry. 김태현(역). 『세계화 시대의 국가안보』.서울:나남, 1995.
국제문제연구소. 『방위연감 1996-1997』. 서울:국제문제연구소, 1996.
Axelord, Robert. and Robert O.Keohane. Achieving Cooperation Under Anarchy: Strategies and Institution . Kenneth A. Oye(Ed.). Cooperation Under Anarch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Booth, Ken. Disarmament and Arms Control , John Baylis. et al.(Ed.). Contemporary Strategy. New York:Holmes&Meier, 1987.
Bueno de Mesquita, Bruc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Politics : People's Power, Preference, and Perceptions. Washington D.C.:CQ Press, 2000.
Bull, Hedley. The Control of the Arms Race. New York:Praeger, 1965.
Darilek, Richard and John Setear. "Arms Control Constraints for Conventional Forces in Europe." RAND N-3046-OSD, 1990.
Findlay, Trevor. Arms Control and Disarmament in The Asia-Pacific Region . J.Mohan Malik(Ed.). Asian Defense Policies Peace and Security book 3. Victoria: Deakin University, 1994.
Goldblat, Jozef . Arms Control : A Guide to Negotiations and Agreements. London:SAGE Publication, 1994.
Han, Yong-Sup. "Designing and Evaluating Conventional Arms Control Measures: The Case of the Korean Peninsula." Ph. D. Dissertation. RAND Graduate School, 1991.
Holbraad, Carsten. Middle 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London:Macmillan Press, 1984.
Kim, Woosang. and H.Jean Kim. Power Transition in Northeast Asia :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Meeting 1999.2.
Lemke, Douglas. Small States and War: An Expansion of Power Transition Theory . J.Kugler and D.Lamke(Ed.). Parity and War.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8.
Mansbach, Richard W. The Global Puzzle : Issues and Actors in World Politics.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94.
Moon, Chung-in.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 Domestic Perceptions, Regional Dynamics, International Penetrations.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1996.
Morgenthau, Hans J. Politics Among Nations :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New York: Alfred A. Knopf Inc., 1985.
O'Neill, Robert John and David N. Schwartz. Herdley Bull on Arms Control.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7.
Organski, A.F.K. and Jacek Kugler. The War Ledge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 가격2,8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8.07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