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1. 조 사 배 경 / 목 적
2.조 사 방 법 / 내 용
Ⅱ.본 론
1.왜 움 직 이 는 성 인 가 ?
2.공 간 구 성
3.건 축 적 배 경 / 비 교
4.지 형 적 조 건
Ⅲ.결 론
1. 조 사 배 경 / 목 적
2.조 사 방 법 / 내 용
Ⅱ.본 론
1.왜 움 직 이 는 성 인 가 ?
2.공 간 구 성
3.건 축 적 배 경 / 비 교
4.지 형 적 조 건
Ⅲ.결 론
본문내용
지만 한가지 아쉬운점은 유럽이란 한곳에 머물렀다는 것이다. 좀 더 생각을 넓혀 세계각국의 다양한 건축양식을 보여주었으면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지형적 조건
옛날부터 문명이 생겨나고 도시가 발전한 곳을 보면 뒤에는 산이 있고 앞으로는 물이 있는 지역이 많았다. 이는 적으로부터 보호하고 물로 인해 풍부한 물자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봐도 역시 발전한 마을은 배산임수의 지형에 자리잡고 있다. 이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지형에 대한 동양적 사상과 지식을 알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이 작품을 보면서 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되가는 도시와는 대조적으로 푸른 초원위에 물레방아가 달린 작은집이 평화롭게 서있다. 이것은 산업발전으로 인해 점점 오염이 되가는 도시화 시골의 차이점을 양주화하여 나타낸 것이라는 생각을 해 봤다. 또한, 산업화로 인한 도시에 다시 자연을 돌려주기 위해서는 우리가 앞으로 자연친화적 건축을 하여 발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그런 건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보면서 좀 답답했던 것은 도시에 꽉 차 보이는 집들과 그 사이사이에 좁은 골목들이었다. 물론 한정된 지형에 도시가 발전하다보면 그럴수도 있다. 하지만, 알맞은 도시계획을 가지고 한다면 이런 모습이 아닌 좀 더 넉넉하고 아늑한 분위기의 도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을 앞으로 우리가 하고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결 론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보기 전 우리는 만화속에서 건축이 어떠한 형태로 나오고 또 그것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많은 생각을 해 보았다.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은 만화속에 나오는 건축물 자체뿐이었다. 하지만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보고 나서는 만화속에 단지 건축물 자체뿐이 아니고 그것에 담겨진 의미, 그리고 건축물로써 이야기 하는 것 등 많은 것을 느낄수 있었다. 지금까지 많은 애니메이션을 봐 왔
다. 그때마다 단지 웃으며 “건축물 멋지내” 하며 아무생각없이 넘겼던 것이 의미를 부여하며 보았더니 그 나름대로의 의미가 많았다. 우선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보면서 공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공간은 시간을 초월하고 그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 형태조차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집이 움직인다. 그 누가 그것을 생각 할 수 있었을까. 여기서 집이 움직이는 것은 공간의 흐름. 즉, 공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한다.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건축은 종합예술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알아 본 만화에서 뿐만아니라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건축적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많은 것에서 건축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고 공부하고 또한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부여하여 발전시킬 때 우리자신이 더욱 발전 할 수 있을 것이고, 모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그런 건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사물 하나를 볼때도 그 의미를 생각해보고 이렇게 했으면 좋겠다는 비평도 해보고 나름대로 그 의미를 부여해 보면서 우리 자신의 능력을 키우도록 해야겠다.
지형적 조건
옛날부터 문명이 생겨나고 도시가 발전한 곳을 보면 뒤에는 산이 있고 앞으로는 물이 있는 지역이 많았다. 이는 적으로부터 보호하고 물로 인해 풍부한 물자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봐도 역시 발전한 마을은 배산임수의 지형에 자리잡고 있다. 이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지형에 대한 동양적 사상과 지식을 알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이 작품을 보면서 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되가는 도시와는 대조적으로 푸른 초원위에 물레방아가 달린 작은집이 평화롭게 서있다. 이것은 산업발전으로 인해 점점 오염이 되가는 도시화 시골의 차이점을 양주화하여 나타낸 것이라는 생각을 해 봤다. 또한, 산업화로 인한 도시에 다시 자연을 돌려주기 위해서는 우리가 앞으로 자연친화적 건축을 하여 발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그런 건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보면서 좀 답답했던 것은 도시에 꽉 차 보이는 집들과 그 사이사이에 좁은 골목들이었다. 물론 한정된 지형에 도시가 발전하다보면 그럴수도 있다. 하지만, 알맞은 도시계획을 가지고 한다면 이런 모습이 아닌 좀 더 넉넉하고 아늑한 분위기의 도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을 앞으로 우리가 하고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결 론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보기 전 우리는 만화속에서 건축이 어떠한 형태로 나오고 또 그것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많은 생각을 해 보았다.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은 만화속에 나오는 건축물 자체뿐이었다. 하지만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보고 나서는 만화속에 단지 건축물 자체뿐이 아니고 그것에 담겨진 의미, 그리고 건축물로써 이야기 하는 것 등 많은 것을 느낄수 있었다. 지금까지 많은 애니메이션을 봐 왔
다. 그때마다 단지 웃으며 “건축물 멋지내” 하며 아무생각없이 넘겼던 것이 의미를 부여하며 보았더니 그 나름대로의 의미가 많았다. 우선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보면서 공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공간은 시간을 초월하고 그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 형태조차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집이 움직인다. 그 누가 그것을 생각 할 수 있었을까. 여기서 집이 움직이는 것은 공간의 흐름. 즉, 공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한다.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건축은 종합예술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알아 본 만화에서 뿐만아니라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건축적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많은 것에서 건축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고 공부하고 또한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부여하여 발전시킬 때 우리자신이 더욱 발전 할 수 있을 것이고, 모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그런 건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사물 하나를 볼때도 그 의미를 생각해보고 이렇게 했으면 좋겠다는 비평도 해보고 나름대로 그 의미를 부여해 보면서 우리 자신의 능력을 키우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