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Ⅰ. 서 론
Ⅱ. 조기 영어교육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조기 영어교육이란?
2. 언어습득과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3. 외국어 학습과 민감기(sensitive period)
4. 어린아이와 성인과의 외국어학습 능력비교
5. 조기영어교육의 효과
Ⅲ. 우리나라 조기 영어교육의 실태분석
1. 사설영어학원의 현황
가. 프랜차이즈형 사설영어학원의 개설 현황
나. 사설학원의 영어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다. 사설영어학원의 강사진
2. 조기 영어교육의 실태분석
3.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사설영어학원 운영자의 인식
4.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5.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아동의 인식
Ⅳ. 영유아 대상 영어 실험교육
1. 전반적인 영어교육의 효과
2. 영어학습에 있어서의 연령에 따른 차이
Ⅴ. 스트레스(과잉교육)가 뇌에 미치는 영향과 조기 영어교육의 부작용
1. 스트레스와 좋은 환경이 산전과 생후에서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효과
2. 산전 생후에 주어지는 스트레스와 좋은 환경이 과립 세포층의 세포 분열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3. 산전 생후에 주어지는 스트레스와 좋은 환경이 과립 세포층의 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4. 산전 또는 산후의 스트레스와 좋은 환경이 시냅스회로 부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5. 산전 또는 산후의 스트레스와 좋은 환경이 신경세포성장인자(BDNF) 발현에 미치는 영향
6. 교차사육환경에서의 출산전과 출산후 환경의 기억력과 연접가소성에 대한 영향
Ⅵ. 영유아에 적합한 조기 영어교육의 정책적 대안 및 방안
Ⅶ.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Ⅱ. 조기 영어교육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조기 영어교육이란?
2. 언어습득과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3. 외국어 학습과 민감기(sensitive period)
4. 어린아이와 성인과의 외국어학습 능력비교
5. 조기영어교육의 효과
Ⅲ. 우리나라 조기 영어교육의 실태분석
1. 사설영어학원의 현황
가. 프랜차이즈형 사설영어학원의 개설 현황
나. 사설학원의 영어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다. 사설영어학원의 강사진
2. 조기 영어교육의 실태분석
3.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사설영어학원 운영자의 인식
4.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5.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아동의 인식
Ⅳ. 영유아 대상 영어 실험교육
1. 전반적인 영어교육의 효과
2. 영어학습에 있어서의 연령에 따른 차이
Ⅴ. 스트레스(과잉교육)가 뇌에 미치는 영향과 조기 영어교육의 부작용
1. 스트레스와 좋은 환경이 산전과 생후에서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효과
2. 산전 생후에 주어지는 스트레스와 좋은 환경이 과립 세포층의 세포 분열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3. 산전 생후에 주어지는 스트레스와 좋은 환경이 과립 세포층의 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4. 산전 또는 산후의 스트레스와 좋은 환경이 시냅스회로 부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5. 산전 또는 산후의 스트레스와 좋은 환경이 신경세포성장인자(BDNF) 발현에 미치는 영향
6. 교차사육환경에서의 출산전과 출산후 환경의 기억력과 연접가소성에 대한 영향
Ⅵ. 영유아에 적합한 조기 영어교육의 정책적 대안 및 방안
Ⅶ.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논문.
안수응(1992). EFL 환경에서의 영어 조기교육. 영어 교육, 43, 215-244.
양근만(2001, 1, 17). 영어유치원 효용 논란… 학습교화 검증안돼. 동아일보.
영어 조기교육, 초등영어, 또 하나의 과외(1997.2. 21). 한겨레 신문.
우남희(1994). 국제화, 개방화 시대와 유아 외국어 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8-93.
우남희, 이종희(1994). 한국의 조기 영어교육 실태조사.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1-42.
우남희, 이종희(1996a). 영어교육 조기화의 문제점 분석. 응용언어학, 제9-10호, 137-152.
우남희, 이종희(1996b). 유치원 영어교육의 적합성 진단: 문헌고찰 및 실태 연구. 어린이교육 제 14집, 73-86.
이기숙(2001).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 혁신. 유아교육정책과제 2001-24. 교육인적자원부.
이명조(1995). 유치원에서의 영어 조기 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107-126.
이병민(2002). 우리 나라에서 조기 영어교육이 갖는 효과와 의미, 2002년 언어교육학술대회 자료집. 7-26,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외국어연구소/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이옥로(1982). LAD와 조기 영어 교육. 영어 교육, 23, 13-26.
이정민(1994). 국제화·개방화 시대와 유아 외국어 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3-82.
임호찬, 진영선(1996). 언어 자극에 대한 반구비대칭성의 발달적 변화-아동기에서 사춘기까지. 발달심리학회 춘계 논문 발표회 자료집. 40-50.
조미옥(1999). 효율적인 조기 영어교육을 위한 학습지도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수민(2002, 9, 15). 유아대상 유명 영어학원 '거짓광고'등 불공정 행위. 국민일보.
한영일(2001, 9, 20). [교육] "어린이 영어교육 우리가 최고", 한국일보.
Appel & Muysken (1987). Language contact and bilingualism, chapter 1 (pp.1-11).
Barrett, M.(1999).(Ed.). The development of language. East Sussex, UK: Psychology Press Ltd, Publishers.
Bell, P. C., & Nipp, S. H.(1985). Wee for baby. A price Stern Sloan Classic.
Benson, D. L., Schnapp, L. M., Shapiro, L., & Huntley, G. W.(2000). Making memories stick: cell-adhesion molecules in synaptic plasticity. Trends Cell Biol, 10, 473-482.
Bloom, P.(1994).(ed.).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MA: The MIT Press.
Bloom, P.(2002). How children learn the meanings of words. Cambridge, MA: The MIT Press.
Bradford, M. M.(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Brown, H. D.(198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Carroll, J. B.(1981). Twenty-five years of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aptitude. In K. Diller(Ed.), Individual differences and universals in language learning aptitude(pp.83-113). Rowley, MA: Newbury House.
Chomsky, M. (1979). Language and responsibility. New York: Pantheon Books.
Chugani, H. T., Phelps, M. E. & Mazziotta, J. C.(1987)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of human brain functional development. Ann. Neurol. 22, 487-97.
Clark, H. H., & Clark, E. V.(1977). Psychology and language.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Curtiss, S.(1977). Genie: A psycholinguistic study of a modern-day "wild child". New York: Academic Press.
De Quervain, D. J., Roozendaal, B., & McGaugh, J. L.(1998). Stress and glucocorticoids impair retrieval of long-term spatial memory. Nature, 394,787-790.
Drnyei, Z. (1998). Motivation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Language Teaching, 31, 117-135.
Duman, R. S., Malberg, J., & Thome, J.(1999). Neural plasticity to stress and antidepressant treatment. Biol Psychiatry, 46, 1181-1191.
Ellis, R.(2000). The stud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안수응(1992). EFL 환경에서의 영어 조기교육. 영어 교육, 43, 215-244.
양근만(2001, 1, 17). 영어유치원 효용 논란… 학습교화 검증안돼. 동아일보.
영어 조기교육, 초등영어, 또 하나의 과외(1997.2. 21). 한겨레 신문.
우남희(1994). 국제화, 개방화 시대와 유아 외국어 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8-93.
우남희, 이종희(1994). 한국의 조기 영어교육 실태조사.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1-42.
우남희, 이종희(1996a). 영어교육 조기화의 문제점 분석. 응용언어학, 제9-10호, 137-152.
우남희, 이종희(1996b). 유치원 영어교육의 적합성 진단: 문헌고찰 및 실태 연구. 어린이교육 제 14집, 73-86.
이기숙(2001).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 혁신. 유아교육정책과제 2001-24. 교육인적자원부.
이명조(1995). 유치원에서의 영어 조기 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107-126.
이병민(2002). 우리 나라에서 조기 영어교육이 갖는 효과와 의미, 2002년 언어교육학술대회 자료집. 7-26,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외국어연구소/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이옥로(1982). LAD와 조기 영어 교육. 영어 교육, 23, 13-26.
이정민(1994). 국제화·개방화 시대와 유아 외국어 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3-82.
임호찬, 진영선(1996). 언어 자극에 대한 반구비대칭성의 발달적 변화-아동기에서 사춘기까지. 발달심리학회 춘계 논문 발표회 자료집. 40-50.
조미옥(1999). 효율적인 조기 영어교육을 위한 학습지도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수민(2002, 9, 15). 유아대상 유명 영어학원 '거짓광고'등 불공정 행위. 국민일보.
한영일(2001, 9, 20). [교육] "어린이 영어교육 우리가 최고", 한국일보.
Appel & Muysken (1987). Language contact and bilingualism, chapter 1 (pp.1-11).
Barrett, M.(1999).(Ed.). The development of language. East Sussex, UK: Psychology Press Ltd, Publishers.
Bell, P. C., & Nipp, S. H.(1985). Wee for baby. A price Stern Sloan Classic.
Benson, D. L., Schnapp, L. M., Shapiro, L., & Huntley, G. W.(2000). Making memories stick: cell-adhesion molecules in synaptic plasticity. Trends Cell Biol, 10, 473-482.
Bloom, P.(1994).(ed.).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MA: The MIT Press.
Bloom, P.(2002). How children learn the meanings of words. Cambridge, MA: The MIT Press.
Bradford, M. M.(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Brown, H. D.(198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Carroll, J. B.(1981). Twenty-five years of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aptitude. In K. Diller(Ed.), Individual differences and universals in language learning aptitude(pp.83-113). Rowley, MA: Newbury House.
Chomsky, M. (1979). Language and responsibility. New York: Pantheon Books.
Chugani, H. T., Phelps, M. E. & Mazziotta, J. C.(1987)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of human brain functional development. Ann. Neurol. 22, 487-97.
Clark, H. H., & Clark, E. V.(1977). Psychology and language.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Curtiss, S.(1977). Genie: A psycholinguistic study of a modern-day "wild child". New York: Academic Press.
De Quervain, D. J., Roozendaal, B., & McGaugh, J. L.(1998). Stress and glucocorticoids impair retrieval of long-term spatial memory. Nature, 394,787-790.
Drnyei, Z. (1998). Motivation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Language Teaching, 31, 117-135.
Duman, R. S., Malberg, J., & Thome, J.(1999). Neural plasticity to stress and antidepressant treatment. Biol Psychiatry, 46, 1181-1191.
Ellis, R.(2000). The stud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추천자료
영어 교수 ․ 학습 방법 (영어교육학)
학습 이론을 적용한 영어교육 과정과 교수원리의 영어교육 적용방안
[역할극]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의의, 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학습전개, 역할...
학생중심수업(학습자중심수업)의 의미와 구성, 학생중심수업(학습자중심수업)의 방법, 학생중...
[초중등 연계교육]초중등 연계교육의 개념, 초중등 연계교육의 특성, 초중등 연계교육의 영어...
[초중등 연계교육]초중등 연계교육의 정의, 초중등 연계교육의 필요성, 초중등 연계교육의 영...
조기 영어교육으로 인한 기러기 가족의 실태를 조명하고 장단점을 기술하시오
조기 영어교육으로 인한 기러기 가족의 실태를 조명하고 장단점을 기술하시오
조기영어 교육으로 인한 기러기가족의 실태와 조기유학의 장단점
[영어교육] 게임과 노래를 통한 영어학습 지도방법과 학습자료 예시 _ 게임과 노래 지도방법 ...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읽기수업 계획해보기(학습대상자를 정하여 그에 따른 수업목적...
외국어로서의한국어휘교육론)관용표현을 한개 선정하여 중급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제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