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국제외교환경 변화와 실무외교의 개선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 문제제기

Ⅱ. 약소국으로서의 대만
1. 약소국으로서의 대만
2. 약소국의 종류
3. 약소국 외교의 목적과 특징
4. 양안관계에서 대만의 외교

III. 대만의 환경과 90년대 국제외교환경의 변화
1. 대만의 외교적 고립의 배경과 원인
1) 분단체계에 대한 국제법의 명확한 규정문제
2) 현실적 측면에서의 중국의 대만고립정책
3) 정책적 측면에서의 양안의 외교적 제로합 게임
2. 90년대 대만의 국제외교환경의 변화
1) 국제사회의 체계변화와 지역정합현상
2) 대만과 중국 양안의 새로운 관계변화
3) 대만의 내부요인변화

IV. 대만의 대외관계와 실무외교의 전개 및 개선방안
1. 실무외교의 이론적 기초
2. 실무외교의 이념과 주요 책략
3. 실무외교의 난제와 개선방안

V.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층 밝게 해주는 요인으로 작용될 것이다. 대만은 국제사회에서 외교적으로 고립된 특수한 상황에 놓여있으면서도 아시아의 주요한 자본수출국, 세계 제13대 무역대국으로 성장하였다. 아시아에 불어닥친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900억 달러에 가까운 외환보유고와 중소기업을 위주로 하는 탄탄한 경제구조를 기반으로 별다른 동요 없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대만의 저력이야말로 실무외교를 가능하게 하였던 힘이 되어주었다.
V. 결 론
실무외교의 이념과 목적은 국제사회의 체계 속에서 타국과 평등한 상호관계를 유지하고, 정치실체로서 인정받는데 있다. 그러나 앞서 살펴보았듯이 이러한 주장이 곧 대만독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타국과 수교하고, 국제사회와 조직에 참여하는 것은 분단국으로서 필할 수 없는 선의의 경쟁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고립된 외교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 중화민국의 실무외교는 우선 필요한 현실판단 능력을 중요시하였다. 과거와 같이 맹목적으로 대립한다던가 혹은 외교적 강경노선을 주장하지도 않는다. 현실을 냉철하게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세워 보다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실무외교의 추진방안이다. 이것이 바로 현실주의에 바탕을 둔 외교정책의 일면이다.
1970년이래 지속되었던 정치ㆍ외교적인 좌절, 연합국에서 탈퇴한 이후 중화민국은 국제사회의 냉소와 외교적인 시련 속에서 스스로의 생존을 강구할 수밖에 없었다. 국제고아라는 불명예를 안고, 12억 인구의 중국과 대치하면서도 2천 1백만 대만인들은 국제무대에서 오늘도 '형식은 버리고 실익을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다. 아시아의 주요한 자본수출국, 세계 제13대 무역대국으로 성장한 것은 결코 우연한 결과가 아니라 열악한 내외적인 환경요인을 극복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국가의 생존과 발전은 내외적인 환경요인을 극복할 때 비로소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평가하여 볼 때 실무외교의 접근은 보다 현실적으로 당면한 대만의 국제환경과 외교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외교적 노선의 선택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선택이 대만의 독립을 획책(劃策)하기보다는 양안의 관계개선에 실질적으로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특히 양안의 실무적인 관계개선이 같은 분단국인 우리에게 시사하는 의미는 매우 크다. 앞서 제시하였듯이 통일의 마지막 단계가 정치적인 통일이라면 양안간에는 이보다 선행되어야하는 문화적 통일, 사회적 통일 그리고 경제적 통일단계에 있어서 이미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양안의 관계발전을 보면서 과거 우리는 지나치게 정치적 통일단계에만 집착하여 그 전 단계의 실행에는 혹시 소홀히 하지 않았는가를 생각해 보게 된다.
참고문헌
中華民國行政院大陸委員會. (1995-1999). 「兩岸經濟統計月報」. 臺北: 行政院大陸委員會.中華民國行政院大陸委員會. (1998). 「大陸政策參考資料」. 臺北: 行政院大陸委員會.
丘宏達. (1979). 「中美關係論集」. 臺北: 時報出版社.
包宗和, 吳玉山 主編. (1999). 「爭辯中的兩岸關係理論」. 臺北: 五南圖書出版公司.
李登科. (1995). “務實外交之回顧與展望”. 「李登輝總統治國理念與施政成果」. 臺北: 國立政治大學中山人文社會科學硏究所.
李登科. (1994). “南向政策與務實外交”. 「問題與硏究」. 第33卷第6期.臺北: 國立政治大學國際關係硏究中心.
李登輝. (1993). “一步一步突破當前困境”. 「李登輝先生言論集」. 第8冊. 臺北:正中書局.
李登輝. (1993). “我們正大步邁向成功”. 「李登輝先生言論集」. 第9冊. 臺北: 正中書局.
李登輝. (1982). “中國的統一是所有中國人共同的期望”. 「建立中華民族的新時代」. 臺北: 中國國民黨中央文化工作會.
芮正皐. (1999). 「中華民國務實外交的回顧與展望」. 臺北: 中華民國外交部.
胡克難. (1981). 「中華民國的國家利益國力與外交政策」. 臺北: 國立政治大學外交硏究所.
高英茂. (1993). “務實外交的推動與展望”. 「站在歷史的轉換點上: 李登輝先生政策理念之分析」. 臺北: 正中書局.
趙建民. (1994). 「兩岸互動與外交競逐」. 臺北: 永業出版社.
蔡政文. (1999). 「中華民國務實外交的理念ㆍ評 及展望」. 臺北: 中華民國外交部.
彭懷恩. (1995). 「中華民國政府與政治」. 臺北: 風雲論壇出版社.
錢復. (1994). “外交施政及最近國際情勢”. 「立法院第二屆第三會期外交及僑政委員會報告」. 臺北: 立法院外交及僑政委員會.
Dpwnen, Robert L. (1981). Of Grave Concern. Washington: Georgetown University Press.
Fei, John and Kuo, S. W. Y. (1979), Taiwan Successful St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Feuer, Guy and Cassan, Herve. (1985). Droit International Dudevelopment. Paris: Dalloz.
Joei, Bernard T. K. (1989). “ROC and the International Law of Development”. Area Studies. 10, No. 1.
Joei, Bernard T. K. (1990).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Its ‘Quasi’-Diplomacy”. Area Studies. 9 No. 2.
Kaplan, Morton and Katznbach, N. B. (1961). The Political Foundation of International Law. John Wiley & Son.
Scalapino, Robert A. (1979). Two China States. Berkley: University of Berkley.
Show, Chonghai Betey. (1978). A Study of R. O. C - U. S. Relations Since 1949. Texas: West Texas State University.
Soloman, Richard H. (1981). The China Factor. New York: Prentice-Hall.
  • 가격2,9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8.14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60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