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화-신화, 전설, 민담의 결말구조와 금기의 기능에 대해 서술하시오
2. 건국신화-북방계, 남방계 신화의 차이점
3. 민요-부요의 특성(양적, 질적으로 많은 이유와 미적우수성)
4. 의식요-삶의 가치관과 연결
5. 바리데기의 종교사상-무속, 불교, 유고 신앙을 바탕으로
6. 판소리-민중성과 반민중성을 중심으로
2. 건국신화-북방계, 남방계 신화의 차이점
3. 민요-부요의 특성(양적, 질적으로 많은 이유와 미적우수성)
4. 의식요-삶의 가치관과 연결
5. 바리데기의 종교사상-무속, 불교, 유고 신앙을 바탕으로
6. 판소리-민중성과 반민중성을 중심으로
본문내용
다. 이외에도 유교적인 색채가농후한 그 당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은, 바리데기가 시련을 회피하지 않음을 통한 효사상의 강조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는 것을 중요시하는 모습으로, 가부장적 세계관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혼은 고생이라는 전통적 결혼관이 투영되어 있다. 이렇게 바리데기 신화는 여러 면을 다 담고 있으면서도 신화 마지막 부분에 바리공주가 무당이 되는 부분을 강조하고, 신화 전반에 무속적 색채를 많이 가미함으로써 무가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6. 판소리-민중성과 반민중성을 중심으로
판소리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비슷한 시기에 나타난 민속극과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판소리와 민속극의 민중의식은 같으면서 다르다. 판소리와 민속극은 조선후기에 상승된 예술 갈래이기에 시대적 모순에 대한 자각이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향유계층과 소통방식에 따라서 둘의 민중의식은 철저하게 다르다. 민속극은 민중에 의해 향유되고, 민중예술과 연대를 같이 하고, 민중적 항거를 내용으로 삼기에 민중의식이 공격적으로 나타난다. 중세 질곡에서 비롯된 관념적 허위의 격파, 신분적 특권의 비판, 남성적 권위에 대한 도전 등으로 요약되는 민중의 항거는 치열하다. 이에 반해서 판소리는, 민중인 광대가 부르고, 민중과 양반 모두를 향유계층으로 삼으니 주제나 민중의식이 겉 다르고 속 다르게 나타나게 되었다. 겉과 속의 조화와 부조화가 민중의식의 표현과 변질이라는 것으로 나타난다. ‘심청가’에서 심청의 효심 어린 비장미와 심봉사의 허랑방탕한 골계미가 이러한 양면성을 드러내고 본디 미의식이 변질된 것으로 판단된다.
6. 판소리-민중성과 반민중성을 중심으로
판소리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비슷한 시기에 나타난 민속극과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판소리와 민속극의 민중의식은 같으면서 다르다. 판소리와 민속극은 조선후기에 상승된 예술 갈래이기에 시대적 모순에 대한 자각이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향유계층과 소통방식에 따라서 둘의 민중의식은 철저하게 다르다. 민속극은 민중에 의해 향유되고, 민중예술과 연대를 같이 하고, 민중적 항거를 내용으로 삼기에 민중의식이 공격적으로 나타난다. 중세 질곡에서 비롯된 관념적 허위의 격파, 신분적 특권의 비판, 남성적 권위에 대한 도전 등으로 요약되는 민중의 항거는 치열하다. 이에 반해서 판소리는, 민중인 광대가 부르고, 민중과 양반 모두를 향유계층으로 삼으니 주제나 민중의식이 겉 다르고 속 다르게 나타나게 되었다. 겉과 속의 조화와 부조화가 민중의식의 표현과 변질이라는 것으로 나타난다. ‘심청가’에서 심청의 효심 어린 비장미와 심봉사의 허랑방탕한 골계미가 이러한 양면성을 드러내고 본디 미의식이 변질된 것으로 판단된다.
추천자료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의 비교
구비설화에 담긴 `효`관념의 연구
구비단문-속담과 수수께끼
구비단문 속담과 수수께끼
제주도의 구비서사시
[한시]한시 심층 분석 및 사례(구비의 확산과 한시의 구비수용 양상, 한시 기본악보, 민요와 ...
[문학][인간학][인간][인간문제][소설][대중문학][문학교육]문학과 인간학, 문학 교육과 인간...
[구비서사시][구비서사시 종류][구비서사시 특징][판소리]]구비서사시의 개념, 구비서사시의 ...
[구비서사시][제주도][아이누][허저족][므엉족]제주도 구비서사시, 아이누 구비서사시, 폴란...
시가(시가문학)와 전환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개화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신라시대시가...
[궁예, 궁예 출신과 신라관, 궁예 사상, 궁예 구비전승, 궁예 리더쉽(리더십), 궁예와 삼국사...
[효, 구비설화, 구비설화 속 효 정의, 구비설화 속 효 특성, 구비설화 속 효 효과, 구비설화 ...
[철학][공익철학][법철학][구비철학][기독교철학][철학적 해석학]철학의 개념, 철학과 공익철...
[구비 문학의 이론과 실제] 동양의 신화(神話) - 한국의 신화, 중국의 신화, 인도의 신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