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구비서사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제주도 본풀이
1.천지왕본풀이
2.괴뇌깃당본풀이
3.양이목사본․고대장본

Ⅲ. 제주도 본풀이의 총체적 작품분석
1.무속영웅의 성격
2.무속영웅의 투쟁대상
3.무속영웅의 과업

Ⅳ.변천과정
1.소재의 측면에서 본 변천과정
(1)투쟁요소가 변모되는 경우
2.갈래 상호간의 관계에서 본 변천과정
(1)투쟁요소가 변모되는 경우

Ⅴ. 끝내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선이라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지만 이민족을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민족을 수호하며 민족의 위상을 제고하는 것 등의 과업을 내용으로 하는 서사시에서 무속영웅은 무사적 능력을 발휘하는 식의 물리적 투쟁을 하였다면, 중앙권력에 대한 저항을 내용으로 하는 서사시에의 무속영웅은 물리적 투쟁보다는 정신적 투쟁을 하였다는 차이점으로 인해 그 과업의 성격이 달라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2.갈래 상호간의 관계에서 본 변천과정
(1)투쟁요소가 변모되는 경우
제주도의 무속영웅서사시는 당신본풀이와 조상신본풀이로 전승되고 있는데 이것은 한 때 제주도를 지배했던 지배세력의 서사시와 그들이 중앙권력에 의해 피지배세력이 되었을 때의 서사시를 모두 보여주고 있다. 천지왕본풀이와 괴뇌깃당본풀이는 당신본풀이, 양이목사본과 고대장본은 조상신본풀이에 해당되어 전승되고 있다. 이 두 갈래는 상당한 차이를 보여준다. 괴뇌깃당본풀이에서는 본토에 대한 제주도의 우월의식이 나타나고 있는데 비해 양이목사본, 고대장본 등에서는 본토와 제주도의 관계가 적대적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우월의식은 17세기 들어 적대적인 관계로 바뀌고 있음을 조상신본풀이는 말해주고 있다.
Ⅴ. 끝내기
제주도의 영웅서사시가 영웅의 성격이나 대결구도가 달라져온 것을 필두로 해서 분류를 하고 또 거기에서 원시, 고대, 중세로 분류할 수 있을 때, 무속서사시는 무당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전승된 것이어서 고대이후에는 원시창세서사시의 시대처럼 건국 영웅을 노래했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지금까지 구비전승되어온 것을 생각해볼 때 구비서사시의 성격이 점차 변모해왔음을 알 수 있다. 즉, 고대장본에서 해석되듯이 본토의 중앙세력이 유교사상을 심어 놓기 위해 무속을 탄압하는 때에 고을 사또로부터 기우제를 지낼 것을 명받은 것은 무당의 역할이나 위치가 정치와 종교를 모두 일임하는 지도자가 탄생하기까지의 과도기를 겪고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이는 무당은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장치로서 부분적으로 탈바꿈해온 것을 말한다. 또한 이들이 구비해온 서사시에서의 무속영웅의 과업은 투쟁대상을 물리치는 것인데 각기 자연재방을 근본적인 차원에서 해결하려는 의지부터 자민족의 우월의식 고취, 중앙권력에 대한 저항의지의 발휘까지 점차 그 양상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역할의 변화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우리나라 구비서사시는 우리 민족문학의 한 분류로 고유한 옛 문화를 전승받는 유일한 수단이다. 과거로부터 숱하게 지배민족과의 탄압을 이기면서 그들만의 독자성을 유지해 온 것이기에 더 구체적인 검토와 비교를 통해 서양 중심의 개념으로 해석하여 우리 민족문화의 흐름을 바꿔놓은 것을 재확립하고 재인식이라는 능동적인 자세를 취해 주체성 있는 민족사적 관점에서 우리 민족문화에 적합한 개념적민족문학을 확립해야 한다.
< 참고 문헌 >
최원오, 「동아시아 비교서사시학」,『무속영웅서사시의 작품세계 검토와 비교』,2001년
조동일, 「동아시아 구비서사시의 양상과 변천」,『제주도』,1997년.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0.24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