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렁 각시》
1. 유형
2. 화소
3. 모티브 분석
4.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내 복에 산다》
1. 내용
2. 변형
3. 모티브 분석
4.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해와 달이 된 오누이》
1. 내용
2. 모티브 분석
1. 유형
2. 화소
3. 모티브 분석
4.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내 복에 산다》
1. 내용
2. 변형
3. 모티브 분석
4.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해와 달이 된 오누이》
1. 내용
2. 모티브 분석
본문내용
떻게 올라갔느냐고 묻자, 오빠가 참기름을 바르고 올라왔다고 말했다. 부엌에서 참기름을 찾아 손에 바르고 나무를 오르려니 미끄러워서 오를 수가 없었다. 이것을 보고 동생이 도끼로 나무를 콕콕 찍어서 올라왔다고 하였다. 그러자 호랑이는 도끼를 찾아 나무를 찍으며 올라왔다.
호랑이가 점점 가까이 올라오자 오누이는 하늘에 빌었다. “우리를 살려 주시려면 새 동아줄을 내려주시고 우리를 죽이시려면 썩은 동아줄을 내려주세요.” 과연 하늘에서 새 동아줄이 내려왔다. 오누이는 동아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 호랑이도 하늘에 대고, “죽이시려면 새 동아줄을 내려주고 살리시려면 썩은 동아줄을 내려주세요.” 하였더니 하늘에서 썩은 동아줄이 내려왔다.
썩은 동아줄을 타고 하늘에 올라가던 호랑이는 동아줄이 끊어지는 바람에 옥수수 밭에 떨어져 죽었다. 지금도 옥수숫대가 붉은 것은 그때 호랑이가 흘린 피 때문이다. 하늘에 올라간 오누이는 오빠는 해가 되고 동생은 달이 되었다. 동생이 달이 되어 밤에 다니니 귀신도 나오고 어두워서 무섭다며 오빠에게 역할을 바꾸자고 하였다. 그러나 오빠는 한 번 정해진 것이니 바꿀 수 없다고 하였다. 남자는 양(陽)이고 여자는 음(陰)인 이치가 여기에서 나왔다.
2. 모티브 분석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일월 신화(日月神話)에 속하는 이야기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설화이다. 일월 신화의 흔적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설화로는 경북 포항 지방에서 전해 내려오는 「연오랑 세오녀」를 들 수 있다. 민담 가운데서도 일상적 공간에서 일어날 수 없는 허구적이고 기묘한 이야기를 다룬 신이담에 속한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세계적 광포(廣布) 설화로, 대개 호랑이가 적대자로 등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여우가 등장하며, 호랑이가 수숫대 위에 떨어져 수숫대를 빨갛게 물들였다는 유래담으로까지 이어진다.
참고 문헌 - 최래옥, 『한국구비전설의 연구』(일조각, 1981)
조희웅, 『한국설화의 유형적 연구』(한국연구원, 1983)
『설화문학연구』상(황패강선생고희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8)
질 문
설화의 구전되는 특성상 설화의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한다. 국가 지도가 호랑이의 형상이라 할 만큼 호랑이가 국가의 상징적 동물로 간주되는 이 시점에서 아이들이 보는 전래동화(해님 달님)에서까지 호랑이는 악의 상징으로 표현된다. 구전되는 특성에도 불구하고 현 시점에 다른 동물로 대체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호랑이가 점점 가까이 올라오자 오누이는 하늘에 빌었다. “우리를 살려 주시려면 새 동아줄을 내려주시고 우리를 죽이시려면 썩은 동아줄을 내려주세요.” 과연 하늘에서 새 동아줄이 내려왔다. 오누이는 동아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 호랑이도 하늘에 대고, “죽이시려면 새 동아줄을 내려주고 살리시려면 썩은 동아줄을 내려주세요.” 하였더니 하늘에서 썩은 동아줄이 내려왔다.
썩은 동아줄을 타고 하늘에 올라가던 호랑이는 동아줄이 끊어지는 바람에 옥수수 밭에 떨어져 죽었다. 지금도 옥수숫대가 붉은 것은 그때 호랑이가 흘린 피 때문이다. 하늘에 올라간 오누이는 오빠는 해가 되고 동생은 달이 되었다. 동생이 달이 되어 밤에 다니니 귀신도 나오고 어두워서 무섭다며 오빠에게 역할을 바꾸자고 하였다. 그러나 오빠는 한 번 정해진 것이니 바꿀 수 없다고 하였다. 남자는 양(陽)이고 여자는 음(陰)인 이치가 여기에서 나왔다.
2. 모티브 분석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일월 신화(日月神話)에 속하는 이야기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설화이다. 일월 신화의 흔적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설화로는 경북 포항 지방에서 전해 내려오는 「연오랑 세오녀」를 들 수 있다. 민담 가운데서도 일상적 공간에서 일어날 수 없는 허구적이고 기묘한 이야기를 다룬 신이담에 속한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세계적 광포(廣布) 설화로, 대개 호랑이가 적대자로 등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여우가 등장하며, 호랑이가 수숫대 위에 떨어져 수숫대를 빨갛게 물들였다는 유래담으로까지 이어진다.
참고 문헌 - 최래옥, 『한국구비전설의 연구』(일조각, 1981)
조희웅, 『한국설화의 유형적 연구』(한국연구원, 1983)
『설화문학연구』상(황패강선생고희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8)
질 문
설화의 구전되는 특성상 설화의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한다. 국가 지도가 호랑이의 형상이라 할 만큼 호랑이가 국가의 상징적 동물로 간주되는 이 시점에서 아이들이 보는 전래동화(해님 달님)에서까지 호랑이는 악의 상징으로 표현된다. 구전되는 특성에도 불구하고 현 시점에 다른 동물로 대체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