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타르코프스키 감독
2. 촬영감독, 닉비스트의 절묘한 카메라 워크
3. 작품 분석
4. 긴 호흡 깊은 사유, 기적을 가능케하는 '희생'
5. 여러 이미지들의 상징성
2. 촬영감독, 닉비스트의 절묘한 카메라 워크
3. 작품 분석
4. 긴 호흡 깊은 사유, 기적을 가능케하는 '희생'
5. 여러 이미지들의 상징성
본문내용
그러나 고통에 찬 어조로 말하고 있다. 총체적인 부패구조 속에 너나 할 것 없이 일그러진 공범자의 표정으로 서로를 삿대질하기에 급급한 우리 현실을 생각할 때 이러한 메시지는 명료한 울림을 갖고 다가온다.
[희생]의 또다른 울림은 영화를 만든 사람의 진정 어린 자세에서 연유한다. 해상도가 뛰어난 마지막 장면에서 누워 있는 소년과 한 그루 조촐한 나무의 모습이 천천히 비춰질 때 한 감독이 영화에 모든 것을 건다는 것이 뭘 말하는지 어렴풋이 이해하게 된다.
5. 여러 이미지들의 상징성
여기서 '집'과 집 밖의 '세계'는 대별되는 의미로 읽힌다. 철저히 정돈되고 구획된 집안은 서구 문명의 사회의 '죽음'의 세계를 그리고 무수히 반짝이는 빛의 바다와 녹색의 초원은 '생명'의 세계이다. 이 두 세계를 이어주는 것이 '희생'이요 불의 이미지다.
타르코프스키는 인류의 구원을 '동양정신'에서 찾았던 것이 아닐까? 알렉산더가 '집'에 불을 지르기 전 일본의 음악을 틀고, 일본의 옷을 입는 것은 일본어를 공부했던 그의 이력 이상의 의미를 짐작케 한다.
한편 바하의 <마태 수난곡> 중의 아리아 "주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이 음악은 알렉산더의 내면세계 속에 담겨있는 우수와 애절함 그리고 절망 속의 희망의 느낌을 상징적으로 전달해 주고 있었다. 철저한 유럽적 우화임을 보여주는 긴 호흡의-그래서 2시간 반이 눈꺼풀과 힘겨운 싸움이 되어버리는- 이 영화는 실어증에 걸린 고센이 첫 장면의 나무를 베고 누워 말문을 트는 마지막 장면에서 우리의 인내력에 보답해 준다.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고요, 아빠.. 그게 무슨 뜻인가요?"
[희생]의 또다른 울림은 영화를 만든 사람의 진정 어린 자세에서 연유한다. 해상도가 뛰어난 마지막 장면에서 누워 있는 소년과 한 그루 조촐한 나무의 모습이 천천히 비춰질 때 한 감독이 영화에 모든 것을 건다는 것이 뭘 말하는지 어렴풋이 이해하게 된다.
5. 여러 이미지들의 상징성
여기서 '집'과 집 밖의 '세계'는 대별되는 의미로 읽힌다. 철저히 정돈되고 구획된 집안은 서구 문명의 사회의 '죽음'의 세계를 그리고 무수히 반짝이는 빛의 바다와 녹색의 초원은 '생명'의 세계이다. 이 두 세계를 이어주는 것이 '희생'이요 불의 이미지다.
타르코프스키는 인류의 구원을 '동양정신'에서 찾았던 것이 아닐까? 알렉산더가 '집'에 불을 지르기 전 일본의 음악을 틀고, 일본의 옷을 입는 것은 일본어를 공부했던 그의 이력 이상의 의미를 짐작케 한다.
한편 바하의 <마태 수난곡> 중의 아리아 "주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이 음악은 알렉산더의 내면세계 속에 담겨있는 우수와 애절함 그리고 절망 속의 희망의 느낌을 상징적으로 전달해 주고 있었다. 철저한 유럽적 우화임을 보여주는 긴 호흡의-그래서 2시간 반이 눈꺼풀과 힘겨운 싸움이 되어버리는- 이 영화는 실어증에 걸린 고센이 첫 장면의 나무를 베고 누워 말문을 트는 마지막 장면에서 우리의 인내력에 보답해 준다.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고요, 아빠.. 그게 무슨 뜻인가요?"
추천자료
죽은 시인의 사회 감상문(영화를 통한 영미문화 분석)
쉰들러 리스트 감상문
고령화 쇼크 감상문
전태일 평전 감상문
영화 일급살인 감상문
[영화 감상문] 영화'명장'을 보고 영화의 본 뜻을 생각하다
[영화 감상문] 모래성 - Ⅰ. 굳센 모래
[영화 감상문] 인터넷 윤리와 관련한 영화 - 킬 위드 미 (Untraceable)
영화 노스텔지아를 보고 감상문
영화 레인맨을 보고 감상문
지아장커 감독의 스틸라이프 감상문
대중독재의 영웅 만들기 감상문
[기독교 영화 감상문]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The Passion Of The Christ)를 보고 - 감사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