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1. 세균독소
2. 진균독
3. 독소의 표적기관
Ⅱ. 담배의 독성
1. 화학물질에 의한 용량-독성반응 관계
2. 담배 흡연 기간 및 흡연 빈도
3. 담배의 화학물질의 주요 인체노출 경로
4. 담배중의 발암물질 (Carcinogenesis)
5. 담배중의 최기형성물질
Ⅲ. 니코틴의 독성
1. 니코틴의 급성 전신 독성 (acute systemic effects)
2. 니코틴의 급성중독 (acute poisoning)
3. 니코틴의 급성 국소 독성 (local toxic effects)
4. 니코틴의 만성 전신 독성 (chronic systemic toxicity)
1) 심혈관질환, 특히 관상심장질환과 뇌졸중
2) 고혈압의 악화
3) 창상 치유 지연
4) 소화성 궤양
5) 암
6) 임신과 생식계 영향
Ⅳ. 일산화탄소의 독성
1. 일산화탄소에 의한 생체지표들의 변화
2. 일산화탄소와 사망율
3. 태아와 신생아에 대한 영향
4. 일산화탄소와 심혈관계 질환
5. 일산화탄소에 의한 중추신경계 증상
6. 일산화탄소에 의한 상처회복의 지연
7. 일산화탄소의 기타 건강 영향
Ⅴ. 다이옥신의 독성
Ⅵ. 부위마취의 독성
1. 감시체계(monitoring system)
2. 주의 사항
3. 국소마취제의 최대 허용량
4. 중추신경계 억제제의 효과
참고문헌
1. 세균독소
2. 진균독
3. 독소의 표적기관
Ⅱ. 담배의 독성
1. 화학물질에 의한 용량-독성반응 관계
2. 담배 흡연 기간 및 흡연 빈도
3. 담배의 화학물질의 주요 인체노출 경로
4. 담배중의 발암물질 (Carcinogenesis)
5. 담배중의 최기형성물질
Ⅲ. 니코틴의 독성
1. 니코틴의 급성 전신 독성 (acute systemic effects)
2. 니코틴의 급성중독 (acute poisoning)
3. 니코틴의 급성 국소 독성 (local toxic effects)
4. 니코틴의 만성 전신 독성 (chronic systemic toxicity)
1) 심혈관질환, 특히 관상심장질환과 뇌졸중
2) 고혈압의 악화
3) 창상 치유 지연
4) 소화성 궤양
5) 암
6) 임신과 생식계 영향
Ⅳ. 일산화탄소의 독성
1. 일산화탄소에 의한 생체지표들의 변화
2. 일산화탄소와 사망율
3. 태아와 신생아에 대한 영향
4. 일산화탄소와 심혈관계 질환
5. 일산화탄소에 의한 중추신경계 증상
6. 일산화탄소에 의한 상처회복의 지연
7. 일산화탄소의 기타 건강 영향
Ⅴ. 다이옥신의 독성
Ⅵ. 부위마취의 독성
1. 감시체계(monitoring system)
2. 주의 사항
3. 국소마취제의 최대 허용량
4. 중추신경계 억제제의 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을 호소하는 빌딩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을 유발하는 중요 원인의 하나이다. 담배연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가 빌딩증후군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산화탄소에 의한 실내공기 오염은 건강한 성인보다 노인, 임산부, 태아, 심혈관계와 호흡기계 질환을 앓은 사람들에게 민감하게 작용한다.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과 같은 만성 폐색성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산소운반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낮은 농도의 일산화탄소에도 민감한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빈혈이 있는 경우에도 산소를 운반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낮은 농도의 일산화탄소에도 건강상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Ⅴ. 다이옥신의 독성
생체(生體)에 다이옥신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에 대해서 많은 실험이 실시되어 왔다. 실험 동물에 다이옥신을 투여했다고 하서 금방 죽지는 않는다. 우선 몸무게가 감소하고 1주일 가량 지난 후에 조금씩 죽어 간다는 것이다. 독성의 세기는 생물에 따라서 큰 차이가 있으며, 실험 동물 가운데 가장 약한 모르모트에, 몸무게 1㎏당 1㎍의 다이옥신을 투여하면 그 절반이 즉었다. 그에 비해 가장 강한 생쥐의 경우, 그 절반이 죽는 데에는 약 200배의 다이옥신이 필요하다. 이처럼 동물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음으로, 다이옥신이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자. 대기나 물, 토양 등에서의 경로와 비교하여, 다이옥신류의 90%이상은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섭취된다. 음식물 가운데에서도 특히 어패류를 통한 다이옥신 섭취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바닷물과 해저를 오염시킨 다이옥신이 먹이사슬을 따라 어패류를 거쳐 최종 소비자인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같은 물고기도 연근해 어종이 원양 어종보다 다이옥신 함유율이 월등히 높다. 인체에 대한 영향 가운데 모유를 통한 다이옥신 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모유는 모자의 정신적인 유대를 강하게 하거나 영양과 면역력을 길러 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 모유를 먹이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태아의 발육에 필요한 T4라는 갑상선 호르몬이 오염에 의해 저하된다는 보고도 나와 있다.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자궁내막증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이옥신류가 그 발증 요인의 하나가 아닌가 하는 지적이 있다.
다이옥신의 독성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발암성’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암연구 기구는 발암성평가를 재검토하였다. 이제까지는 발암의 ’가능성이 있다‘고 해 온 것을, 가장 위험한 정도에 해당하는 ’발암성이 있다‘고 평가를 변경하고 있다. 그러나 이직까지 사람에 대한 영향 데이터의 축적은 부족한 실정이다. ’생식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다이옥신이 남자의 정자 감소에도 관여한다는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Ⅵ. 부위마취의 독성
1. 감시체계(monitoring system)
국소마취제의 전신적인 작용을 감시하는 방법은 쓰이는 약물의 종류, 투여량 그리고 투여하는 부위에 따라서 결정된다. 적은 양을 사용하는 국소마취의 경우에는 환자와의 대화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상완신경총차단이나 경막외마취 등 많은 양의 국소마취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신마취에 준하는 감시체계가 필요하다.
국소 및 부위마취를 위한 준비
최소한 산소 및 산소공급장치, 흡인기(suction), 기도유지장비, 기본적인 약물을 포함한 심폐소생술 장비
차단이 실패할 경우에 대비하여 전신마취에 필요한 장비와 약물
Thiopental, midazolam, diazepam과 같은 발작을 치료하기 위한 중추신경계억제제
정맥주사로 사전 확보
2. 주의 사항
독성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혈액의 역류 여부를 계속 확인하면서 천천히 간헐적으로 국소마취제를 주입하는 것이다. Epinephrine(5mcg/ml)을 포함한 국소마취제를 정맥내로 주사하면 혈압과 맥박의 상승을 가져온다. 환자에게 이명이나 입주위의 무감각(numbness), 어지러움증 등과 같은 국소마취제의 중추신경계독성과 관계가 있는 증상을 질문하면서 약물을 천천히 간헐적으로(30초 당 2.5 ml) 주입하면 정맥내로 많은 양의 마취제가 들어가기전에 혈관내 주사의 최초 징후를 포착하여 주사를 멈출 수가 있다. 혈관내 주사나 과량을 피하면 국소마취제의 전신적인 독작용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 중추신경계나 심혈관계의 부작용을 즉시 치료하면 그 결과는 매우 양호하다.
3. 국소마취제의 최대 허용량
혈장내 최고 약물 농도는 주사 경로와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여기에 제시되어 있는 최대 허용량이 어떤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은 아니다. 처음 투여한 용량보다 일정 기간동안에 투여한 전체 용량이 중요하므로 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최소량을 사용한다. 특히 통각신경은 낮은 농도로 차단이 가능하므로 최소한의 농도 및 최소량을 사용한다. 마취제의 독성은 일반적으로 농도의 제곱에 비례해서 증가하므로 1% 100ml와 동일한 독성을 나타내는 2%의 용액은 25ml이며 3% 용액은 11ml가 된다.
4. 중추신경계 억제제의 효과
발작의 역치(threshold)를 높이고 전신적인 독성을 줄이기 위해서 부위마취 전에 benzodiazepine을 처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처치는 발작의 역치를 높여주나 bupivacaine과 같은 약제의 심장독성을 줄이지는 못한다. Benzodiazepine의 전투여가 이론적으로 이점이 있으나 국소마취제의 독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심스러운 기술과 용량 선택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남궁기 / \'니코틴의 약리학적 특성\' / http://www.tobaccolawsuit.co.kr
\'다이옥신 위험도 평가 및 다이옥신 방출억제 대책\' / 일본 환경청.
미야타 히데아키, 옥곤 역 / \'알기쉬운 다이옥신\' / 지인당 출판 / 1999.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편집위원회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 서울:계축문화사 / 1995.
이영돈 저 / \'술-담배-스트레스-그 위험한 비밀\' / KBS영상사업단 / 2000.
이규문 / \'신체 활동과 건강\' / 개신 / 2002.
황종우 / \'담배혁명\' / 문화샘.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과 같은 만성 폐색성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산소운반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낮은 농도의 일산화탄소에도 민감한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빈혈이 있는 경우에도 산소를 운반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낮은 농도의 일산화탄소에도 건강상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Ⅴ. 다이옥신의 독성
생체(生體)에 다이옥신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에 대해서 많은 실험이 실시되어 왔다. 실험 동물에 다이옥신을 투여했다고 하서 금방 죽지는 않는다. 우선 몸무게가 감소하고 1주일 가량 지난 후에 조금씩 죽어 간다는 것이다. 독성의 세기는 생물에 따라서 큰 차이가 있으며, 실험 동물 가운데 가장 약한 모르모트에, 몸무게 1㎏당 1㎍의 다이옥신을 투여하면 그 절반이 즉었다. 그에 비해 가장 강한 생쥐의 경우, 그 절반이 죽는 데에는 약 200배의 다이옥신이 필요하다. 이처럼 동물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음으로, 다이옥신이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자. 대기나 물, 토양 등에서의 경로와 비교하여, 다이옥신류의 90%이상은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섭취된다. 음식물 가운데에서도 특히 어패류를 통한 다이옥신 섭취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바닷물과 해저를 오염시킨 다이옥신이 먹이사슬을 따라 어패류를 거쳐 최종 소비자인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같은 물고기도 연근해 어종이 원양 어종보다 다이옥신 함유율이 월등히 높다. 인체에 대한 영향 가운데 모유를 통한 다이옥신 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모유는 모자의 정신적인 유대를 강하게 하거나 영양과 면역력을 길러 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 모유를 먹이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태아의 발육에 필요한 T4라는 갑상선 호르몬이 오염에 의해 저하된다는 보고도 나와 있다.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자궁내막증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이옥신류가 그 발증 요인의 하나가 아닌가 하는 지적이 있다.
다이옥신의 독성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발암성’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암연구 기구는 발암성평가를 재검토하였다. 이제까지는 발암의 ’가능성이 있다‘고 해 온 것을, 가장 위험한 정도에 해당하는 ’발암성이 있다‘고 평가를 변경하고 있다. 그러나 이직까지 사람에 대한 영향 데이터의 축적은 부족한 실정이다. ’생식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다이옥신이 남자의 정자 감소에도 관여한다는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Ⅵ. 부위마취의 독성
1. 감시체계(monitoring system)
국소마취제의 전신적인 작용을 감시하는 방법은 쓰이는 약물의 종류, 투여량 그리고 투여하는 부위에 따라서 결정된다. 적은 양을 사용하는 국소마취의 경우에는 환자와의 대화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상완신경총차단이나 경막외마취 등 많은 양의 국소마취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신마취에 준하는 감시체계가 필요하다.
국소 및 부위마취를 위한 준비
최소한 산소 및 산소공급장치, 흡인기(suction), 기도유지장비, 기본적인 약물을 포함한 심폐소생술 장비
차단이 실패할 경우에 대비하여 전신마취에 필요한 장비와 약물
Thiopental, midazolam, diazepam과 같은 발작을 치료하기 위한 중추신경계억제제
정맥주사로 사전 확보
2. 주의 사항
독성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혈액의 역류 여부를 계속 확인하면서 천천히 간헐적으로 국소마취제를 주입하는 것이다. Epinephrine(5mcg/ml)을 포함한 국소마취제를 정맥내로 주사하면 혈압과 맥박의 상승을 가져온다. 환자에게 이명이나 입주위의 무감각(numbness), 어지러움증 등과 같은 국소마취제의 중추신경계독성과 관계가 있는 증상을 질문하면서 약물을 천천히 간헐적으로(30초 당 2.5 ml) 주입하면 정맥내로 많은 양의 마취제가 들어가기전에 혈관내 주사의 최초 징후를 포착하여 주사를 멈출 수가 있다. 혈관내 주사나 과량을 피하면 국소마취제의 전신적인 독작용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 중추신경계나 심혈관계의 부작용을 즉시 치료하면 그 결과는 매우 양호하다.
3. 국소마취제의 최대 허용량
혈장내 최고 약물 농도는 주사 경로와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여기에 제시되어 있는 최대 허용량이 어떤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은 아니다. 처음 투여한 용량보다 일정 기간동안에 투여한 전체 용량이 중요하므로 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최소량을 사용한다. 특히 통각신경은 낮은 농도로 차단이 가능하므로 최소한의 농도 및 최소량을 사용한다. 마취제의 독성은 일반적으로 농도의 제곱에 비례해서 증가하므로 1% 100ml와 동일한 독성을 나타내는 2%의 용액은 25ml이며 3% 용액은 11ml가 된다.
4. 중추신경계 억제제의 효과
발작의 역치(threshold)를 높이고 전신적인 독성을 줄이기 위해서 부위마취 전에 benzodiazepine을 처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처치는 발작의 역치를 높여주나 bupivacaine과 같은 약제의 심장독성을 줄이지는 못한다. Benzodiazepine의 전투여가 이론적으로 이점이 있으나 국소마취제의 독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심스러운 기술과 용량 선택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남궁기 / \'니코틴의 약리학적 특성\' / http://www.tobaccolawsuit.co.kr
\'다이옥신 위험도 평가 및 다이옥신 방출억제 대책\' / 일본 환경청.
미야타 히데아키, 옥곤 역 / \'알기쉬운 다이옥신\' / 지인당 출판 / 1999.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편집위원회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 서울:계축문화사 / 1995.
이영돈 저 / \'술-담배-스트레스-그 위험한 비밀\' / KBS영상사업단 / 2000.
이규문 / \'신체 활동과 건강\' / 개신 / 2002.
황종우 / \'담배혁명\' / 문화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