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I. 서 론
Ⅱ. 정보공개제도의 개요
1. 정보공개제도란
2. 정보공개제도의 필요성
3. 정보공개제도의 연혁
Ⅲ. 행정서비스 정보의 전자적 전달
1. 미국에서의 전자정부론
2. 일본의 전자정부론 추진정책
3. 우리나라의 전자정부론 추진정책
4. 미국의 전자적 정보자유법 제정과정
Ⅳ. 우리나라에서의 전자적 정보공개제도 환경 및 제정과정
1. 정보공개법 및 시행령(안)의 검토
2. 사무관리 규정의 검토
Ⅴ. 정보공개제도 추진을 위한 정책방안
1. 기술적 관점
2. 법과 제도적 관점
VI. 결 론
참고문헌
I. 서 론
Ⅱ. 정보공개제도의 개요
1. 정보공개제도란
2. 정보공개제도의 필요성
3. 정보공개제도의 연혁
Ⅲ. 행정서비스 정보의 전자적 전달
1. 미국에서의 전자정부론
2. 일본의 전자정부론 추진정책
3. 우리나라의 전자정부론 추진정책
4. 미국의 전자적 정보자유법 제정과정
Ⅳ. 우리나라에서의 전자적 정보공개제도 환경 및 제정과정
1. 정보공개법 및 시행령(안)의 검토
2. 사무관리 규정의 검토
Ⅴ. 정보공개제도 추진을 위한 정책방안
1. 기술적 관점
2. 법과 제도적 관점
VI.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비스의 내용 및 전달체계에 대한 기대수준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도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행정개혁을 이루어내야 할 시점이며 이번에 제정된 정보공개법이 이것을 실천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대상의 하나이다. 만일 정보의 공개를 전자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면 이제까지 우리나라 행정전산화의 가장 큰 문제로 제시됐던 행정정보의 공동활용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국민의 정부 정보에의 자유로운 접근을 보장하여 부정부패를 방지하고 행정의 책임성을 제고시키고자 행정개혁의 일환으로 제정된 정보공개제도를, 이제부터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전자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정부가 처리하는 모든 업무들이 전자문서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자료의 수집과 저장도 디지털의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불가능하게만 느껴졌던 이러한 일들을 실현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자료들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로 공유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인 관점보다는 제도적인 측면에 더 초점을 두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전자적인 정보공개를 담당할 추진조직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범부처적인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정부의 전자적인 정보공개를 총괄·관리하는 독립적인 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것은 전자적인 정보공개라는 정책이 일개 부처의 수준에서 진행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정보의 전자적인 공개를 담당하는 조직은 단순히 기술적인 차원이 아니라 정부의 업무처리 절차나 방식까지도 개혁시킬 수 있는 정책의지와 또한 그러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여러 부처들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성태, 「정부정책론과 전자정부론」법문사, 1999
김광웅, “전자화정부론”, 「행정논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장인봉., “행정정보공개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복지행정연구, 20권
김경섭. (1996). 효율적인 정보자원관리를 위한 행정 DB 공동활용.「국가기간전산망 저널」, 3(2) : 39-56.
박석규. (1996). 정부사무관리 규정중 개정령 해설. 「정보화사회」, 96. 8: 43-45.
박세정·박통희·유홍림. (1996). 고객지향적 정부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고객지향적 정부구축을 위한 민관합동 대토론회」. 45-79. 1996. 7. 5.
방석호. (1996). 미국 문서감축법안(Paperwork Reduction Act of 1995)의 의미와 분석.「국가기간전산망 저널」. 3(2) : 69-80.
서삼영. (1995) 서비스행정 증진을 위한 정보화 정책. 「한국행정연구」. 4(2). 21-38.
송희준. (1996). 한·미·일의 전자정부 구축 사례에 대한 국제 비교. 「국가기간전산망 저널」, 3(3) : 96-106.
신일순·고기정·김도환·손상영·강홍렬. (1995).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응용서 비스에 관한 연구」. 서울 : 통신개발연구원.
안문석. (1996). 정보화사회에서의 행정개혁과 정보공개제도. 한국언론학회·한국행정학회 공동심포지엄논문집, 「정보화와 정부언론의 역할」, 67-82.
이윤식. (1996). 우리나라 "초고속정보통신기반"보안관리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미 국의 NII 및 GII의 경험을 기초로-. 통신개발연구원.
정보통신부. (1996).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조선일보」. (1997). 정부 홈페이지 긴긴 겨울잠. 1. 25: 41.
총무처. (1996a). 「사무관리 실무편람」.
(1996b).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최흥석. (1996). 미국 연방정부 정보자원관리의 교훈. 「국가기간전산망 저널」. 3(1) : 100-111.
한국전산원. (1996). 「전자정부 개념정립 및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신문」. (1997). 한국전산원: 정보연계센터 구축. 1. 25.
한국행정연구원. (1992). 「행정정보공개제도에 관한 연구」
Clinton, J. William. (1996). Statement by President, The White House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Oct. 2.(http://www.npr.gov/library/speeches/100296.html).
Dempsey, X. James. (1996). Electronic FOIA Act Adopted; Will Affect Paper Records Too. (http://www.seas.gwu.edu/nsarchive/nsa/efoiacom.html).
Information Infrastructure Task Force. (1994). 「국가정보기반과 행정서비스: 미국의 작 고 효율적인 전자정부 구축계획」, 한국전산원(역), 서울: 한국전산원; AVision for Government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GITS)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Lewis, R.T. Jeremy. (1995). Reinvention(Open) Government: State and Federal Trend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12(4) : 427-455.
Moen, E. William. (1994). Information Technology Standards: A Component of Federal Information Policy,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11(4):357-371.
National Performance Review. (1993). Reenginering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1995). Reinvention Roundtable: Helping Federal Workers Create a Government That Works Better and Costs Less, 2(2) : 1-13.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정부가 처리하는 모든 업무들이 전자문서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자료의 수집과 저장도 디지털의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불가능하게만 느껴졌던 이러한 일들을 실현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자료들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로 공유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인 관점보다는 제도적인 측면에 더 초점을 두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전자적인 정보공개를 담당할 추진조직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범부처적인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정부의 전자적인 정보공개를 총괄·관리하는 독립적인 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것은 전자적인 정보공개라는 정책이 일개 부처의 수준에서 진행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정보의 전자적인 공개를 담당하는 조직은 단순히 기술적인 차원이 아니라 정부의 업무처리 절차나 방식까지도 개혁시킬 수 있는 정책의지와 또한 그러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여러 부처들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성태, 「정부정책론과 전자정부론」법문사, 1999
김광웅, “전자화정부론”, 「행정논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장인봉., “행정정보공개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복지행정연구, 20권
김경섭. (1996). 효율적인 정보자원관리를 위한 행정 DB 공동활용.「국가기간전산망 저널」, 3(2) : 39-56.
박석규. (1996). 정부사무관리 규정중 개정령 해설. 「정보화사회」, 96. 8: 43-45.
박세정·박통희·유홍림. (1996). 고객지향적 정부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고객지향적 정부구축을 위한 민관합동 대토론회」. 45-79. 1996. 7. 5.
방석호. (1996). 미국 문서감축법안(Paperwork Reduction Act of 1995)의 의미와 분석.「국가기간전산망 저널」. 3(2) : 69-80.
서삼영. (1995) 서비스행정 증진을 위한 정보화 정책. 「한국행정연구」. 4(2). 21-38.
송희준. (1996). 한·미·일의 전자정부 구축 사례에 대한 국제 비교. 「국가기간전산망 저널」, 3(3) : 96-106.
신일순·고기정·김도환·손상영·강홍렬. (1995).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응용서 비스에 관한 연구」. 서울 : 통신개발연구원.
안문석. (1996). 정보화사회에서의 행정개혁과 정보공개제도. 한국언론학회·한국행정학회 공동심포지엄논문집, 「정보화와 정부언론의 역할」, 67-82.
이윤식. (1996). 우리나라 "초고속정보통신기반"보안관리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미 국의 NII 및 GII의 경험을 기초로-. 통신개발연구원.
정보통신부. (1996).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조선일보」. (1997). 정부 홈페이지 긴긴 겨울잠. 1. 25: 41.
총무처. (1996a). 「사무관리 실무편람」.
(1996b).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최흥석. (1996). 미국 연방정부 정보자원관리의 교훈. 「국가기간전산망 저널」. 3(1) : 100-111.
한국전산원. (1996). 「전자정부 개념정립 및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신문」. (1997). 한국전산원: 정보연계센터 구축. 1. 25.
한국행정연구원. (1992). 「행정정보공개제도에 관한 연구」
Clinton, J. William. (1996). Statement by President, The White House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Oct. 2.(http://www.npr.gov/library/speeches/100296.html).
Dempsey, X. James. (1996). Electronic FOIA Act Adopted; Will Affect Paper Records Too. (http://www.seas.gwu.edu/nsarchive/nsa/efoiacom.html).
Information Infrastructure Task Force. (1994). 「국가정보기반과 행정서비스: 미국의 작 고 효율적인 전자정부 구축계획」, 한국전산원(역), 서울: 한국전산원; AVision for Government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GITS)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Lewis, R.T. Jeremy. (1995). Reinvention(Open) Government: State and Federal Trend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12(4) : 427-455.
Moen, E. William. (1994). Information Technology Standards: A Component of Federal Information Policy,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11(4):357-371.
National Performance Review. (1993). Reenginering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1995). Reinvention Roundtable: Helping Federal Workers Create a Government That Works Better and Costs Less, 2(2) : 1-13.
키워드
추천자료
환경영향평가추진정책의발전과정과개선방향
한국 환경법제도의 기본구조
옴부즈만 제도jo
[환경영향평가제도]환경영향평가제도의 정의,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발달과정과 환경영향평가제...
[환자의 알권리]환자의 권리와 책임, 환자의 알권리와 병원경영투명성 확보, 환자의 진료비정...
강의평가공개제도의 필요성 및 문제점
[환경보건윤리및정책] 환경정의를 정책의 관점에서 논술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
환경영향평가제도
[환경법, 환경법 개념, 환경법 문제점, 환경오염, 환경규제수단, 환경영향평가제도]환경법의 ...
[미국안전보건, 산업재해보상제도, 법제정, 산업안전보건법, 직업안전보건법]미국안전보건과 ...
[사이버인권]사이버인권(인터넷 인권)의 개인정보, 사이버인권(인터넷 인권)의 정체성, 사이...
[기업][기업정보관리][기업정보공개정책][기업정보시스템][기업정보화]기업정보관리, 기업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