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교육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비판적 교육철학)
1. 비판이론의 개요
2.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성립
3.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
▶호르크하이머와 이성의 도구화
▶ 아도르노의 사회적 예술이론
▶ 마르쿠제의 비판이론
▶하버마스의 비판이론
4. 비판이론의 교육목적과 교육내용
5. 비판이론의 교육방법
6. 비판이론의 교육학적 의의와 한계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이란?
포스트모더니즘이 나타나게 된 배경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의의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방법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 및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리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 사회, 즉 수많은 담론이 그 나름대로의 정당성을 인정받게 되는 포스트모던의 사회라고 말한다.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교육이론이나 실천에 도입하는 문제에 반영시키고자하는 학자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유토피아적 인본주의 측면에 비중을 둔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학적 전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모더니즘의 유토피아적 인본주의가 본질적으로 근대적 인본주의와 같은 맥락이라는 전제 아래, 20세기 후반 사회문화 변화에 무기력해진 계몽적 근대교육학을 발전시킨다는 차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교육학적으로 전개하는 형태의 것이다.
비판적 교육학을 주창하는 학자들은 계급문제에서 주변적인 것으로 무시되던 문제로 관심영역을 확대하는 학문적 경계이동의 형태로 합리적 세계를 추구하는 새 차원의 비판 교육설인 포스트모던 교육학을 제안한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현실에서 경직성을 ‘해체하는 힘’으로 작용하여 폐쇄적 교육과 교육학의 경직성을 허무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지만, 포스트모던 교육학의 해체이념은 출발의 힘은 있으나 종착역이 어디인지가 묘연하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 점에서 여전히 하버마스 등이 지켜온 ‘비판적 이성’의 전통을 폐기해서는 안 되며, ‘해체’와 ‘재구성’의 대립 선생에서 통합하는 고리를 찾기 위한 ‘재건설’을 강조하는 비판철학의 원조를 요청하지 않을 수 없다. 기존틀을 무너뜨리려면 새 집에 대한 구상은 갖고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둘째, 거대 서사의 문화정전에 비해 지엽적인 문제로 무시되었지만 포스트모더니즘 아래에서 재조명되는 소서사적 문제에 교육학적으로 접근하는 형태이다.
목영해(1994)는 백인 중심의 정전에 의해 억압되어 오던 동양사상의 포스트모던적 의의를 확인하여 동양적 무아인(無我人)을 포스트모던적 교육인간상으로 제시한다.
이은선(1993)은 남성중심의 정전에 의해 억압되어 오던 여성성의 포스트모던적 의의를 확인하여 여성적 요소 확대 중심의 포스트모던 교육을 제안하며, 고그(1994)는 자연 정복적 근대 과학관에 의해 무시되었던 환경문제의 포스트모던적 중요성에 입각하여 환경교육을 제안한다.
셋째,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교육학과 관련 지움으로써 교육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형태이다.
첫째, 포스트모더니즘의 반이성과 행복감 추구에 비중을 두는 학자(Usher & Edward, 1994)는 욕망 도야 없이 포스트모던적 감성은 있을 수 없다는 관점에서 욕망의 도야를 위한 경험적 학습 중심의 포스트모던 교육을 제안한다.
그리고 차이의 존중이라는 특성에 비중을 두는 학자들(Burbles & Rice, 1991; Kanpol, 1992)은 자신과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할 줄 아는 태도 형성 중심의 교육을 제안한다.
둘째, 상대적 인신론과 탈정전성의 특성은 교육과정 영역에의 전개에서 주로 거론된다.
돌은 데카르트-뉴턴의 시계관에 근거한 닫힌 교육과정관 대신에 현대물리학의 유기체적 세계관에 근거한 열린 교육과정관으로 제시한다.
슬래트리는 인위적으로 분리하지 않은 통합된 것으로서 시간, 공간, 자아에 대한 예시적 이해가 포스트모던시대 교육과정 발전에 가장 본질적인 요소 중의 하나라고 주장한다. 이에 그는 현대 물리학의 시간공간을 예시적 이해의 전형으로 삼아 예시적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셋째, 교육행정학 영역에서 지식의 권력적 속성이라는 특성이 주로 거론된다.
포스트모던적 교육제도 및 학교 행정조직에 적합한 새로운 지도력을 추구하는 학자들(Maxcy, 1994)은 새로운 지도형태는 대립이 아닌 공존을 지향하는 공동체적 개인주의에 부합하는 지도력, 전자 정보 기기의 보급으로 재구조화되는 권력의 관계망에 대처할 수 있는 지도력, 창의적 예술 활동으로서 지도력을 제안하기도 한다.
넷째, 포스트모던적 심리학 정립에 관심 있는 학자들(Kvale, 1992)은 추상적, 합리적, 초사회적 견지에서 정신의 원형을 탐구하는 심리학 대신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적으로 행동하는 사회적 주체로서 인간을 연구하여 현재 세계 문화 지형도 제작에 초점을 맞추는 심리학을 제안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의의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의의는 교육에 대한 고정적이고 획일적인 사고의 틀을 벗어나라는 점을 시사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방법
이를 위한 교육방법으로는 열린지식의 습득 및 열린자아의 다원적 전개방법인 열린교육이 되어야 하며, 해석적 읽기중심의 방법보다는 해체적 쓰기중심의 방법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또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의 적극적인 대화프로그램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 및 나아가야 할 방향
뚜렷하게 개념 정립도 안 된 포스트모더니즘을 교육에 끌여 들여 논한다는 것은 성급한 일이라는 우려도 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어떤 이론을 주창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나타나는 실체에 역점을 두고 있다. 비록 행동의 근원을 밝히는 이론적 근거가 미약하더라도 청소년들의 일상행동은 그에 젖어 있어서 교육적 차원에서의 논의는 불가피하다고 본다. 교육학적인 입장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의 관계정립보다는 현실에서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해석을 심도 있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찬반논쟁과 관계없이 현 우리 사회에 깊숙이 젖어있는 듯하다. 기존의 전통이나 지적도덕적 권위를 부정하고 개인주의적이고 상대주의적인 사고와 자칫 허무주의적인 경향에 빠질 우려가 높은 것이다.
이에 목영해는 포스트모더니즘을 교육학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음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국교육학적 전개는 근대적인 주지주의 교육담론과 귄위적인 교육체제에서 비롯되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한국 교육 현실을 진단하고 극복 대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 문헌>
임채식 정찬주 한상규 共著, 교육철학 및 교육사, 서울:양서원, 2002.
<참고 사이트>
http://knut.kumoh.ac.kr
http://home.opentown.net/%7Esungkey/cyberlecture/post.htm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docid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9.04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8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