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최인훈의 생애 및 작품세계
2. 최인훈과 우리시대의 화두
3. 인류 보편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사와 한국사회
2. 최인훈과 우리시대의 화두
3. 인류 보편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사와 한국사회
본문내용
던가, 해방이 되자 찾아든 소련군, 들이닥친 미군, 그 사이에서 목숨을 부지하려는 개인이 선택해야했던 진실은 무엇이었던가, W시에서 겪은 지워지지 않는 하나의 원 기억, \'나\'의 되돌아봄은 그것을 맴돌며 첩첩이 쌓인다.
<낙동강>에 대한 감상문을 극찬해 주던 작문선생님과 내 글을 문제삼아 자아비판을 하게했던 지도원, 똑같은 내 글에 대한 해석은 왜 그리 달랐던가. 하나는 축복받은 소명의식이요, 다른 하나는 늘 위협받아야 했던 현실이었다. 그리고 이 두개는 각기 모순의 진리로서 줄곧 그를 따라다닌다. 그는 삶의 긴 여정을 통해 실체란 시간에 따라 변모하고 인간은 얼마나 불안정한 존재인지 깨닫는다. 그리고 신이 죽은 시대에 들어선 유일한 이성은 혁명이 아니요, 되돌아보는 시선이고, 그것은 체제도 이념도 아닌 너 자신이 신의 역할을 대신해야한다는 준엄한 결론에 이른다.
레닌의 마지막 운명에 접하면서 인간의 슬픔은 진화 때문이 아니라 그 진화가 언제든지 회수가능하며 불안정한 것이라는 대목에 이르면 독자는 가슴이 아파지다. 현실뒤에 도사린 권력을 봄으로서 예술이 승리하고 인간의 나약함을 인정해 존엄성을 찾는 소설, 그래서 그는 꼼꼼히 자세히 쓸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낙동강>에 대한 감상문을 극찬해 주던 작문선생님과 내 글을 문제삼아 자아비판을 하게했던 지도원, 똑같은 내 글에 대한 해석은 왜 그리 달랐던가. 하나는 축복받은 소명의식이요, 다른 하나는 늘 위협받아야 했던 현실이었다. 그리고 이 두개는 각기 모순의 진리로서 줄곧 그를 따라다닌다. 그는 삶의 긴 여정을 통해 실체란 시간에 따라 변모하고 인간은 얼마나 불안정한 존재인지 깨닫는다. 그리고 신이 죽은 시대에 들어선 유일한 이성은 혁명이 아니요, 되돌아보는 시선이고, 그것은 체제도 이념도 아닌 너 자신이 신의 역할을 대신해야한다는 준엄한 결론에 이른다.
레닌의 마지막 운명에 접하면서 인간의 슬픔은 진화 때문이 아니라 그 진화가 언제든지 회수가능하며 불안정한 것이라는 대목에 이르면 독자는 가슴이 아파지다. 현실뒤에 도사린 권력을 봄으로서 예술이 승리하고 인간의 나약함을 인정해 존엄성을 찾는 소설, 그래서 그는 꼼꼼히 자세히 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