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과정의 유형
교육과정 모형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과 조직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
교육과정 모형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과 조직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
본문내용
차 교육과정
(1981-1987)
<인간중심 교육과정>
①초등학교에 교과 통합의 개념 도입
②중학교에 자유선택과목 신설
③고등학교 교과를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구분
제5차 교육과정
(1987-1992)
<통합적 교육과정>
①초등학교 국어와 산수를 통합교과에서 분리
②초등학교에 1교과 다 교과서 체제 도입
③초등학교 사회과에 지역별 교과서 도입
④고등학교 ‘자유선택’교과가 ‘교양선택’으로 바뀜
제6차 교육과정
(1992-1997)
<통합적 교육과정>
①교육과정 결정의 분권화와 구조의 다양화
②초등학교에 학교 재량시간을 신설
③초등학교 산수 교과의 명칭이 수학으로 변경됨
3. 제7차 교육과정 (1997~ )
(1) 기본방향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
- 목표면 :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음 함양하는 기본교육의 충실
- 내용면 : 세계화, 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을 신장
- 운영면 :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천
- 제도면 : 지역 및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자율성 최대
(2) 추구하는 인간상
①전인적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②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③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④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3) 특징
①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편성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년간을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으로 설정
- 영역 : 교과, 재량시간, 특별활동
- 교과 :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실과,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
- 재량활동 : 교과 재량활동, 창의적 재량활동
- 특별활동 : 자치활동, 적응활동,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
②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학년별 교과서 대신 단계별 교과서를 사용하며 각 단계별로 평가기준 마련
-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중간수준에 맞는 기본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되 상위수준 학생은 심 화형, 하위학생은 보충학습으로 구별한다
-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
학생능력 수준과 관심의 차이를 반영하는 다양한 교과목 개설
③재량시간의 신설 및 확대
④교과별 학습량의 최적화와 수준의 조정
⑤고교 23학년의 학생선택 중심 교육과정 도입
⑥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체제 확립
⑦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창의성, 정보능력 배양
(1981-1987)
<인간중심 교육과정>
①초등학교에 교과 통합의 개념 도입
②중학교에 자유선택과목 신설
③고등학교 교과를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구분
제5차 교육과정
(1987-1992)
<통합적 교육과정>
①초등학교 국어와 산수를 통합교과에서 분리
②초등학교에 1교과 다 교과서 체제 도입
③초등학교 사회과에 지역별 교과서 도입
④고등학교 ‘자유선택’교과가 ‘교양선택’으로 바뀜
제6차 교육과정
(1992-1997)
<통합적 교육과정>
①교육과정 결정의 분권화와 구조의 다양화
②초등학교에 학교 재량시간을 신설
③초등학교 산수 교과의 명칭이 수학으로 변경됨
3. 제7차 교육과정 (1997~ )
(1) 기본방향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
- 목표면 :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음 함양하는 기본교육의 충실
- 내용면 : 세계화, 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을 신장
- 운영면 :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천
- 제도면 : 지역 및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자율성 최대
(2) 추구하는 인간상
①전인적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②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③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④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3) 특징
①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편성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년간을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으로 설정
- 영역 : 교과, 재량시간, 특별활동
- 교과 :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실과,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
- 재량활동 : 교과 재량활동, 창의적 재량활동
- 특별활동 : 자치활동, 적응활동,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
②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학년별 교과서 대신 단계별 교과서를 사용하며 각 단계별로 평가기준 마련
-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중간수준에 맞는 기본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되 상위수준 학생은 심 화형, 하위학생은 보충학습으로 구별한다
-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
학생능력 수준과 관심의 차이를 반영하는 다양한 교과목 개설
③재량시간의 신설 및 확대
④교과별 학습량의 최적화와 수준의 조정
⑤고교 23학년의 학생선택 중심 교육과정 도입
⑥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체제 확립
⑦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창의성, 정보능력 배양
추천자료
주제중심교육(주제중심학습)의 개념과 과정, 주제중심교육(주제중심학습)의 필요성, 주제중심...
쓰기지도(쓰기교육, 쓰기학습) 개념과 중요성, 쓰기지도(쓰기교육, 쓰기학습) 원리,과정, 쓰...
도덕과교육 대화학습(대화수업, 대화교육)의 의미, 도덕과교육 대화학습(대화수업, 대화교육)...
[가치갈등학습]도덕과교육 가치갈등학습(가치갈등수업모형)의 목표와 과정, 도덕과교육 가치...
읽기지도(읽기교육) 원리, 읽기지도(읽기교육) 관점, 읽기지도(읽기교육) 과정, 읽기지도(읽...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의 정의, 필요성, 전제조건,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의 ...
주제중심학습(주제중심교육)의 주제선정, 주제중심학습(주제중심교육) 의의와 중요성, 주제중...
WBI(웹기반학습,교육, 웹기반수업) 정의, 교육적기능, 특성, WBI(웹기반학습,교육, 웹기반수...
WBI(웹기반수업, 웹기반교육)의 정의와 유형, WBI(웹기반수업, 웹기반교육)의 특징과 장단점,...
초등과학교육방법론 ‘탐구 학습 모형’ 모의 수업 과학과 교수&#8228;학습 과정안[물의 여...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모형 중 CIPP 모형의 과정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해보시오.
수업설계(授業設計)에 대한 레포트 [교육공학] {ADDIE 모형, 정상적인 수업설계의 단계, 글레...
[교육방법 敎育方法] 교수-학습의 의의(개념정의), 교수 과정의 변인, 교수과정의 일반모형
[교육학개론]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의 성격 - 교육공학의 정의 및 발달과정,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