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료제론 용어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료제론 용어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치관 [a sens of values]

2) 갈등 [conflict]

3) 관리자 [administrator]

4) 권력 [power]

5) 무의식 [the unconscious]

6) 민족성 [ethnicity]

7) 사회이동[ social mobility ]

8) 의사소통 [ communication ]

9) 페미니즘 [feminism]

10) 혁명 [revolution]

본문내용

행동을 구체적으로 가리켜 표현하는 말, Be 언어는 상대방의 문제행동을 지적해 준다기보다는 그 행동을 전반적인 성격특성으로 확대시켜서 표현하는 말
- 출처: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김애순 -
9) 페미니즘 [feminism]
모든 생활 영역에서 남성의 권리와 동일한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
의견) 진정한 페미니즘이란?
진정한 페미니즘, 모든 성차별주의와 폭력에 반대
벨 훅스는 페미니즘이란 '성차별주의와 성차별주의에 근거한 착취와 억압을 종식시키는 운동'이라고 정의한다. 그는 이 명제가 남성을 적으로 상정하고 있지 않고, 동시에 그 행위자가 누구든 간에 모든 성차별 주의적 사고와 행동을 문제의 핵심으로 보기 때문에 마음에 든다고 말한다. 출처: 행복한 페미니즘/ 벨 훅스 저
10) 혁명 [revolution]
대중적 사회운동의 동원을 포함, 폭력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기존의 정권을 타도하고 새로운 정부를 세우는 정치적 변동과정. 쿠데타와 구분, 쿠데타는 정부 체계를 변화시키지 않고 기존의 정치 지도자를 대체하려는 개인들이 무력을 사용하여 권력을 장악.
의견) 바람직한 혁명은 무엇일까?
대한민국은 1945년 이후 독립한 130여 개국 가운데 ‘유일’하게 근대화에 성공한 나라이다. 근대화에 성공한 여러 나라 중의 하나가 아니라 정치의 민주화, 근대경제 성장, 사회문화적 다원화를 동시에 성취한 유일한 민주공화국이다. 나는 이를 ‘한국혁명’이라 부른다. 영국 산업혁명, 프랑스의 1789년 시민혁명, 대중사회화의 미국혁명이 있듯이, 20세기 후반 비(非)서방국가로서는 유일한 한국의 근대화 성공을 ‘한국혁명’이라 불러 부족할 것이 없다. (중략) 무엇보다 오늘의 우선순위는 한국혁명의 정착에 있어야 한다. 그것은 한국혁명의 성공에서 자율적 요인과 타율적 외부적 요인을 냉철히 분석하고, 타율적·외부적 요인을 내면화·자생화 하는 노력이다. 이것이 진짜 개혁이다. 민주화는 운동권의 희생 만에 의해 이룩된 것인가, 한강의 기적은 관료·기업인·노동자들만의 노력 덕인가, 시민사회화는 NGO의 목소리만으로 된 것인가 등에 대한 통열한 성찰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런 참회 어린 성찰 위에서만 문명사적 기록인 ‘한국혁명’이 정착되고 종합 국력의 획기적 신장으로 결실될 것이다. 그것만이 한국혁명이 제2의 위기를 거쳐 실패한 혁명으로 좌절되지 않도록 하는 유일한 길이다
- 출처: '한국혁명'이 가야할 길/ 김진현/세계평화포럼 이사장 -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9.1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8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