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어사연구의 의의와 대상
2. 역사비교언어학적 방법
3. 국어사의 연구방법
4. 국어사의 시대구분문제
5. 국어 계통 연구의 3가지 단계
2. 역사비교언어학적 방법
3. 국어사의 연구방법
4. 국어사의 시대구분문제
5. 국어 계통 연구의 3가지 단계
본문내용
한국어 요소가 원시몽골, 투르크의 언어재를 물려받은 것과 동일한 모습을 보여준다. 한국어는 위의 세 어파가 보여주는 긴밀한 유사성을 갖지 못한다.
투르크어는 음운론적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한국어는 퉁구스어와 가장 긴밀한데 투르크어가 가장 먼저 분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알 타 이 諸 語 단 일 체 |
+---------------+--------------------------------------+----------+
+---------------+------------------------+ +---+----------+
| 츄바쉬-투르크-몽골-만주-퉁구스 단일체 | | 원시 한국어 |
+---------------+--------------+---------+ +---+----------+
+---------------+-----+ +------+----------+ |
| 츄바쉬-투르크 단일어| |몽골-만주 퉁구스 | |
+--------+------------+ +---+----------+--+ |
+----+-----+ +---+-----+ +--+--------+ |
|선투르크어| |원시 몽골| |원시퉁투스 | |
++--------++ +---+-----+ +---+-------+ |
| | | | |
z 방언 r 방언 | | |
| | | | |
원시투르크 츄바쉬조어 몽고어 퉁구스어 한국어
| |
투르크어 츄바쉬어
* 이기문(1961): 진수의 삼국지 위지동이전을 통해서 숙신어는 부여어와 비슷하나 같지는 않다. 퉁구스어의 일파라고 생각함. 고구려어는 부여말과 비슷하며 성질이 약간 다름. 한에서 진한과 변한은 같은 언어이나 마한은 다름.
백제어는 지배족이 피지배족의 언어를 동화시키지 못하고 영향만 끼침. 신라어와 비슷하다.
신라어는 6세기에 가야를 통합하면서 한반도 남부의 유력한 공용어가 됨. 7세기 후반에는 백제와 고구려어에까지 영향을 줌. 통일이후에는 북방에까지 상당하나 영향을 주어서 중세국어의 모태가 되었다. 삼국사기지리지의 지명과 금석문, 향가 25수 등으로 신라어의 윤곽을 살필수는 있다.
중세국어는 10세기초 고려왕조가 개성으로 도읍을 정하면서 언어중심지가 개성으로 옮겨졌다. 따라서 신라어와 고구려어가 합쳐져서 중세국어를 형셩하게 됨. 이는 계림유사에서 확인해 볼수 있다.
* 한국어의 계통도는 따라서 다음과 같다.
+----------------------+
| 알 타 이 諸 語 |
+---------------+------+
+------+-------------+
| 부여, 한 공통어 |
+--+--------------+--+
+------+-------+ +---+-----------+
| 원시부여어 | | 원시 한어 |
+--------------+ +---------------+
| | \ | |
예어 고구려어 옥저어 백제어 신라어
|
중세국어 (한국어와 직결됨)
투르크어는 음운론적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한국어는 퉁구스어와 가장 긴밀한데 투르크어가 가장 먼저 분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알 타 이 諸 語 단 일 체 |
+---------------+--------------------------------------+----------+
+---------------+------------------------+ +---+----------+
| 츄바쉬-투르크-몽골-만주-퉁구스 단일체 | | 원시 한국어 |
+---------------+--------------+---------+ +---+----------+
+---------------+-----+ +------+----------+ |
| 츄바쉬-투르크 단일어| |몽골-만주 퉁구스 | |
+--------+------------+ +---+----------+--+ |
+----+-----+ +---+-----+ +--+--------+ |
|선투르크어| |원시 몽골| |원시퉁투스 | |
++--------++ +---+-----+ +---+-------+ |
| | | | |
z 방언 r 방언 | | |
| | | | |
원시투르크 츄바쉬조어 몽고어 퉁구스어 한국어
| |
투르크어 츄바쉬어
* 이기문(1961): 진수의 삼국지 위지동이전을 통해서 숙신어는 부여어와 비슷하나 같지는 않다. 퉁구스어의 일파라고 생각함. 고구려어는 부여말과 비슷하며 성질이 약간 다름. 한에서 진한과 변한은 같은 언어이나 마한은 다름.
백제어는 지배족이 피지배족의 언어를 동화시키지 못하고 영향만 끼침. 신라어와 비슷하다.
신라어는 6세기에 가야를 통합하면서 한반도 남부의 유력한 공용어가 됨. 7세기 후반에는 백제와 고구려어에까지 영향을 줌. 통일이후에는 북방에까지 상당하나 영향을 주어서 중세국어의 모태가 되었다. 삼국사기지리지의 지명과 금석문, 향가 25수 등으로 신라어의 윤곽을 살필수는 있다.
중세국어는 10세기초 고려왕조가 개성으로 도읍을 정하면서 언어중심지가 개성으로 옮겨졌다. 따라서 신라어와 고구려어가 합쳐져서 중세국어를 형셩하게 됨. 이는 계림유사에서 확인해 볼수 있다.
* 한국어의 계통도는 따라서 다음과 같다.
+----------------------+
| 알 타 이 諸 語 |
+---------------+------+
+------+-------------+
| 부여, 한 공통어 |
+--+--------------+--+
+------+-------+ +---+-----------+
| 원시부여어 | | 원시 한어 |
+--------------+ +---------------+
| | \ | |
예어 고구려어 옥저어 백제어 신라어
|
중세국어 (한국어와 직결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