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업의 생산거점 U턴 현상과 시사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해외진출 일본기업의 U턴 현황 및 배경
1. 해외진출 일본기업의 U턴 현황
2. 해외진출 일본기업의 U턴 배경

III. 일본 제조기업『생산거점 U턴 현상』사례연구
1. Toyota 자동차 생산 설비 일본 내 구축
2. Sharp의 액정 패널․액정TV
3. Canon의 셀 생산 방식 도입과 ‘제조라인 무인화’

IV. 우리 제조기업의 현황과 시사점
1. 우리 제조업의 현황
2. 시사점
가. 기업측면
나. 정부측면
3. 우리나라 제조업의 U턴 가능성

V. 결론

- 논문 및 참고 문헌 -

- Web site -

본문내용

을 폐지함으로써 저임금 노동을 찾아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으로 이전했던 생산거점을 일본 현지로 옮기고 있다. 일본 내 신규공장 설립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일본으로 유입되는 외국인직접투자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자동차기업 Toyota는 일본 내 투자를 북미시장보다 3배 이상 늘리기로 하였으며 Honda도 30년 만에 일본 본토에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이와 같이 일본 기업들이 국내생산을 중시하게 된 배경은 다음 5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0년 불황’을 겪으면서 추진한 기술개발, 구조조정과 생산혁신 등을 통해 제조력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였다. 둘째, Sony가 비디오카메라의 생산거점을 일본으로 이관한 사례에서 보듯이 일본 내 첨단 소재부품과의 연계를 중시한다. 셋째, 핵심기술의 해외유출을 우려하여 국내생산으로 선회했다. 넷째, 국내와 해외에서 생산할 품목을 명확히 구분하여 국내는 고부가가치 위주로 생산하겠다는 의도이다. 다섯째, 短납기 대응과 같은 ‘국내생산의 이점’을 활용하여 내수시장을 공략하겠다는 포석이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과 투자활성화 정책이다. 그래서 우리는 생산거점을 U턴시킨 대표적인 기업으로 Canon과 Sharp 그리고 Toyota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기업의 현황으로는 IMF관리체제 이후 주춤했던 제조기업들의 생산기지 해외이전 움직임이 최근 다시 가속화 되고 있다. 과거 수출한국을 이끌었던 신발/섬유 산업의 경우 20년 전과 비교 했을 때, 10%도 못되는 규모의 국내생산에 그치고 있고, 현재 국내 제조업을 이끄는 전자제품의 생산기지 역시 중국 등 해외로 속속 이전하고 있다. 우려할만한 사실은 2002년 이후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는 국내 제조업 설비투자액과 급감하는 외국인의 제조업 투자액을 보았을 때, 이러한 국내 제조업 공동화 현상이 점차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이다. 고임금, 높은 땅값과 물류비, 정부의 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들이 기업들을 더욱 해외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 기업 U턴을 위해 기업과 정부 함께 발전 방향에 도모해야 할 것이다.
먼저 기업은 위험을 회피하지 않고 감수하는 기업 정신으로 ‘하면 된다’는 자신감과 도전 의식을 갖춰야 할 것이다. 단지 비용절감을 위해 해외 이전 여부를 결정하기보단 선진 기술 정보유출 방지를 미래 경쟁력의 관점에서 결정해야 할 것이다. 정부 측에서도 규제 완화 및 수출 경쟁력을 유지 할 수 있는 금융 정책 보완에 힘써야 할 것이며, 안정적인 노사 관계 유지 및 생산성 향상을 고려한 임금 인상으로 국내 기업들이 국내에서 경영 활동을 펼치기 위한 투자 여건 조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시대에 맞지 않는 불합리한 법과 제도를 과감히 고치고, 노사관계 안정과 노동생산성을 고려한 임금 인상, 환율 안정 등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본문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정부의 정책과 기업 전략, 역량이 확보된다면 국내로의 유턴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그에 따라 산업 경쟁력 또한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 논문 및 참고 문헌 -
Sharf ‘Annual Report 2007 Year Ended’ 2007.03.31
경향신문 ‘“일본기업의 U-턴을 주시하라”‥규제개혁 필요성 시사’ 2007.10.07
구본관 ‘일본 제조기업의 생산거점 U턴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2004.09.01.
구본관 ‘일본의 개혁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삼성경제연구소 2006.11.02
김민성 ‘일본 기업의 자국 내 투자 U턴 현상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2007.10.08
김영래 일본형 기업경영 개신, 2003
김태윤 ‘제조업 공동화 가속과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03.08.20
동아일보 ‘“日 규제 푸니 해외진출 기업들 U턴”’ 2007.10.08
동아닷컴 ‘“日기업 국내 U턴 그만한 이유 있었다.”’ 2007.10.08
매일경제 ‘Canon, 잘나가는 이유…`실력종신주의, 셀 방식생산`’ 2006.11.10
매일경제 ‘Toyota, 북미공장 증설 중단’ 2007.06.21
매일경제 ‘일본 기업 U턴에서 배워라’ 2007.10.08
무역연구원 ‘제조 수출업체 생산시설 해외이전에 관한 조사’ 2003. 6.
서울경제 ‘Toyota “美생산 안늘려”’ 2007.06.21
서울경제 ‘Toyota “일본서 만들어 수출”’ 2007.07.18
손세원 ‘최근 제조업체 국내 U턴 현황과 전망 조사’ 대한상공회의소 2005.12.30
손영기 ‘외국과 비교한 국내 투자여건 만족도 조사’ 전국경제인연합회 2006.11.03
위클리조선 ‘신기술로 살린 “Made in Japan”’ 2005.07.26
전국경제인연합회 ‘우리나라 대기업의 해외투자 현황과 해외경영 애로사항’ 2007.07
정성춘 ‘일본기업의 해외사업 전개 동향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06.04
중앙일보 ‘잃어버린 10년` 일본의 탈출 비결은’ 2007.3.29
중앙일보 ‘해외 진출 日 기업 본국으로 'U턴'’ 2007.03.28
한국경제 ‘日경제부활의 원천-제조업의 힘’ 2007.04.28
한국경제 ‘한국 해외 투자 기업 U턴 거의 없어’ 2007.07.22
한국경제 ‘한은-시중은행 외화대출 규제 갈등’ 2007.09.27
홍순영 ‘2007년 하반기 및 2008년도 경제전망’ 삼성경제연구소 2007.09.17
- Web site -
통계청 : http://www.nso.go.kr/
일본 내각부 : http://www.cao.go.jp/
Canon 홈페이지 : http://www.canon.com/ir/annual/2006/report2006.pdf
Sharp 홈페이지 : http://sharp-world.com/index.html
Toyota 홈페이지 : http://www.toyota.co.jp/en/index.html
http://www.global-autonews.com/board/view.php3
http://www.etimesi.net/news/detail.html?id=200602020170
http://blog.naver.com/sigetaeyup/140005935296
  • 가격1,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9.22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