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Ⅱ. 민족의 자주권과 정치권
Ⅲ. 식민지 시대의 정치적 유산: 권위주의적 정치문화의 영향
1. 권위주의 정치문화
2. 조합주의와 패트런주의
Ⅳ. 식민지 시대의 경제적 봉건성과 종속성
1. 아시엔다와 봉건적 구조
2. 식민지 경제의 종속성과 중상주의
Ⅴ. 식민지 시대의 혼혈인종 탄생과 인종에 따른 계급구조의 형성문제
1. 혼혈인종의 탄생
2. 인종에 따른 계급구조의 형성
VI. 결 론
참고문헌
Ⅱ. 민족의 자주권과 정치권
Ⅲ. 식민지 시대의 정치적 유산: 권위주의적 정치문화의 영향
1. 권위주의 정치문화
2. 조합주의와 패트런주의
Ⅳ. 식민지 시대의 경제적 봉건성과 종속성
1. 아시엔다와 봉건적 구조
2. 식민지 경제의 종속성과 중상주의
Ⅴ. 식민지 시대의 혼혈인종 탄생과 인종에 따른 계급구조의 형성문제
1. 혼혈인종의 탄생
2. 인종에 따른 계급구조의 형성
VI.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공이 사회적 신분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신분사이의 경계는 바로 식민지 사회가 모든 구성원을 위한 자리를 만들어 줄 수 없는 데에서 기인했다. 진입하기 힘든 상류층과 바다처럼 넓은 평민계층 사이에 중간층의 존재가 희박한 식민지 사회에서 신분 상승의 시도는 인종적 차이에 의해 철저히 차단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인종에 따라 소수의 백인 지배층 엘리트와 다수의 원주민, 흑인, 혼혈인 노예, 농노, 소작인, 농민, 일용노동자로 형성된 양대 계급 구조의 강화는 사실상 오늘날까지도 본질적으로 큰 변화 없이 이어져오고 있다. 독립은 사회구조의 근본적 변혁을 가져오지 않았으며, 1930년대이래 추진된 산업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세력의 등장조차도 백인과 원주민 및 혼혈인 사이의 인종에 따른 근본적 차이를 해결하지 못한 채 여전히 라틴아메리카를 세계 최고의 불평등 지역으로 만들고 있다.
VI. 결 론
식민지 시대의 역사가 가지는 의미는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 수준보다 훨씬 더 큰 것이다. 그 이유는 라틴아메리카 역사가 보여주는 지속성에 있다. 본문에서 제기된 다양한 식민지 시대의 유산들은 오늘날 라틴아메리카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19세기 초 라틴아메리카의 독립도 사회의 전반적 구조를 크게 바꾸지는 않았으며, 20세기에 전개된 다양한 변혁의 물결도 사회의 기본 구조를 바꾸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이러한 식민지 시대의 유산 중 정치적 측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바로 권위적, 조합주의적, 패트런적 정치문화이다. 이러한 정치문화는 스페인의 전통이 고스란히 식민지에 이식된 것이다. 유럽 대륙에서 가장 먼저 민족국가를 형성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대화에서는 가장 뒤진 스페인의 영향을 받은 라틴아메리카에서 근대화에 가장 앞선 영국의 문화가 이식된 북미의 미국에 비해 민주적 정치문화가 뒤떨어진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경제적 측면에서 식민지의 유산은 라틴아메리카 경제의 봉건성과 종속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재정복 과정에서 발전된 스페인의 봉건주의는 유럽에서 중세가 막을 내리고 르네상스 시대가 막 열리려는 시점에 신대륙에서 그 꽃을 피우게 된다. 신대륙의 광활한 토지와 풍부한 원주민 노동력은 봉건주의가 발전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해 주었다.
한편 신대륙의 광산에서 나는 풍부한 부의 원천은 식민지 자체를 살찌우는 데 쓰이지 않았다. 스페인 본국은 식민지를 철저히 본국의 이익을 위해서만 기능하도록 만들어 놓았다. 식민지에서의 공산품의 생산은 상인들과 많지 않은 본국 산업을 위해 철저히 거부되었다. 식민지는 단순히 본국의 생산물을 소비하는 시장과 원료를 제공하는 기능만을 담당하게끔 구조화되었다. 60년대 라틴아메리카에서 크게 제기되었던 종속이라는 문제의 뿌리는 바로 식민지 시대에 그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측면에서의 식민지 유산은 혼혈과 인종에 따른 양대 계급의 형성이다. 식민지 시대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이민자들의 남녀 성비 차와 통치의 필요성에 따라 혼혈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졌었다. 이러한 사실로 인해 라틴아메리카는 오늘날 심각한 정체성의 문제를 앉고 있기는 하지만 보다 심각한 문제는 혼혈에도 불구하고 인종간의 차이가 전혀 좁혀지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대신 사회는 피부색에 따라 혼혈인을 포함하여 흑인 인디오 등 다수의 유색인종과 소수의 백인사회로 양분되었다. 이러한 외모에 의한 계층의 분리는 보다 심각한 사회적 불평등 상황을 야기함으로써 오늘날 라틴아메리카는 세계에서도 가장 부의 불평등이 심각한 지역으로 남게 되었다.
참고문헌
송건호(2002). 민족통일을 위하여. 송건호 전집 2, 서울: 한길사
이도성(1995). 실록 박정희와 한일회담. 서울: 도서출판 한송
역사문제연구소(1993). 인물로 보는 친일파 역사. 서울: 역사비평사
진덕규(1997). 현대정치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
김기현 외, 라틴아메리카. 마야, 잉카로부터 현재까지의 역사와 문화, 송산출판사, 2000.
김창환, 중남미사, 송산출판사, 1980.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수탈된 대지, 범우사, 1988.
주종택, 한국의 이베리아 라틴아메리카 연구의 회고와 전망, 미간
카를로스 푸엔테스, 라틴아메리카의 역사, 까치, 1992.
Bag , Sergio, Econom a de la Sociedad Colonial, Grijalbo, 1992.
Bethell, Leslie (Ed.), Historia de Am rica Latina. 2. Am rica Latina Colonial: Europa y Am rica en los Siglos XVI, XVII, XVI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Cr tica, 1990.
_______, Historia de Am rica Latina. 3. Am rica Latina Colonial: Econom 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r tica, 1990.
_______, Historia de Am rica Latina. 4. Am rica Latina Colonial: Poblaci n, Sociedad y Cultu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r tica, 1990.
Cardoso, Eliana y Ann Helwege, La Econom a Latinoamericana, F.C.E., 1992.
Gonz lez Casanova, Pablo (Coord.), Cultura y Creaci n Intelectual en Am rica Latina, Siglo XXI, 1984.
Halperin Donghi, Tulio, Historia Contempor nea de Am rica Latina, Alianza Editorial, 1987.
Stein, Stanley J. y Barbara H. Stein, La Herencia Colonial de Am rica Latina, Siglo XXI, 1986.
Wiarda Howard J., Latin American Politics,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5.
이렇게 인종에 따라 소수의 백인 지배층 엘리트와 다수의 원주민, 흑인, 혼혈인 노예, 농노, 소작인, 농민, 일용노동자로 형성된 양대 계급 구조의 강화는 사실상 오늘날까지도 본질적으로 큰 변화 없이 이어져오고 있다. 독립은 사회구조의 근본적 변혁을 가져오지 않았으며, 1930년대이래 추진된 산업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세력의 등장조차도 백인과 원주민 및 혼혈인 사이의 인종에 따른 근본적 차이를 해결하지 못한 채 여전히 라틴아메리카를 세계 최고의 불평등 지역으로 만들고 있다.
VI. 결 론
식민지 시대의 역사가 가지는 의미는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 수준보다 훨씬 더 큰 것이다. 그 이유는 라틴아메리카 역사가 보여주는 지속성에 있다. 본문에서 제기된 다양한 식민지 시대의 유산들은 오늘날 라틴아메리카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19세기 초 라틴아메리카의 독립도 사회의 전반적 구조를 크게 바꾸지는 않았으며, 20세기에 전개된 다양한 변혁의 물결도 사회의 기본 구조를 바꾸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이러한 식민지 시대의 유산 중 정치적 측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바로 권위적, 조합주의적, 패트런적 정치문화이다. 이러한 정치문화는 스페인의 전통이 고스란히 식민지에 이식된 것이다. 유럽 대륙에서 가장 먼저 민족국가를 형성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대화에서는 가장 뒤진 스페인의 영향을 받은 라틴아메리카에서 근대화에 가장 앞선 영국의 문화가 이식된 북미의 미국에 비해 민주적 정치문화가 뒤떨어진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경제적 측면에서 식민지의 유산은 라틴아메리카 경제의 봉건성과 종속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재정복 과정에서 발전된 스페인의 봉건주의는 유럽에서 중세가 막을 내리고 르네상스 시대가 막 열리려는 시점에 신대륙에서 그 꽃을 피우게 된다. 신대륙의 광활한 토지와 풍부한 원주민 노동력은 봉건주의가 발전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해 주었다.
한편 신대륙의 광산에서 나는 풍부한 부의 원천은 식민지 자체를 살찌우는 데 쓰이지 않았다. 스페인 본국은 식민지를 철저히 본국의 이익을 위해서만 기능하도록 만들어 놓았다. 식민지에서의 공산품의 생산은 상인들과 많지 않은 본국 산업을 위해 철저히 거부되었다. 식민지는 단순히 본국의 생산물을 소비하는 시장과 원료를 제공하는 기능만을 담당하게끔 구조화되었다. 60년대 라틴아메리카에서 크게 제기되었던 종속이라는 문제의 뿌리는 바로 식민지 시대에 그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측면에서의 식민지 유산은 혼혈과 인종에 따른 양대 계급의 형성이다. 식민지 시대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이민자들의 남녀 성비 차와 통치의 필요성에 따라 혼혈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졌었다. 이러한 사실로 인해 라틴아메리카는 오늘날 심각한 정체성의 문제를 앉고 있기는 하지만 보다 심각한 문제는 혼혈에도 불구하고 인종간의 차이가 전혀 좁혀지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대신 사회는 피부색에 따라 혼혈인을 포함하여 흑인 인디오 등 다수의 유색인종과 소수의 백인사회로 양분되었다. 이러한 외모에 의한 계층의 분리는 보다 심각한 사회적 불평등 상황을 야기함으로써 오늘날 라틴아메리카는 세계에서도 가장 부의 불평등이 심각한 지역으로 남게 되었다.
참고문헌
송건호(2002). 민족통일을 위하여. 송건호 전집 2, 서울: 한길사
이도성(1995). 실록 박정희와 한일회담. 서울: 도서출판 한송
역사문제연구소(1993). 인물로 보는 친일파 역사. 서울: 역사비평사
진덕규(1997). 현대정치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
김기현 외, 라틴아메리카. 마야, 잉카로부터 현재까지의 역사와 문화, 송산출판사, 2000.
김창환, 중남미사, 송산출판사, 1980.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수탈된 대지, 범우사, 1988.
주종택, 한국의 이베리아 라틴아메리카 연구의 회고와 전망, 미간
카를로스 푸엔테스, 라틴아메리카의 역사, 까치, 1992.
Bag , Sergio, Econom a de la Sociedad Colonial, Grijalbo, 1992.
Bethell, Leslie (Ed.), Historia de Am rica Latina. 2. Am rica Latina Colonial: Europa y Am rica en los Siglos XVI, XVII, XVI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Cr tica, 1990.
_______, Historia de Am rica Latina. 3. Am rica Latina Colonial: Econom 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r tica, 1990.
_______, Historia de Am rica Latina. 4. Am rica Latina Colonial: Poblaci n, Sociedad y Cultu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r tica, 1990.
Cardoso, Eliana y Ann Helwege, La Econom a Latinoamericana, F.C.E., 1992.
Gonz lez Casanova, Pablo (Coord.), Cultura y Creaci n Intelectual en Am rica Latina, Siglo XXI, 1984.
Halperin Donghi, Tulio, Historia Contempor nea de Am rica Latina, Alianza Editorial, 1987.
Stein, Stanley J. y Barbara H. Stein, La Herencia Colonial de Am rica Latina, Siglo XXI, 1986.
Wiarda Howard J., Latin American Politics,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