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루소의 생애
Ⅲ. 루소의 중심사상
Ⅳ. 루소의 교육이념
1. 교육은 성장이며 자연적인 과정이어야 한다.
2. 교육은 아동 중심적이어야 한다.
3. 교육은 아동의 자유와 행복을 위한 것이다
4. 교육은 경험을 통해야 한다.
5. 교육은 개인의 발달을 위한 것이다.
6. 교육은 사회 아니면 적어도 사회적 인심을 위한 것이다.
Ⅴ. 루소의 교육사상
Ⅵ. 루소의 에밀
Ⅶ. 루소의 사상이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Ⅱ. 루소의 생애
Ⅲ. 루소의 중심사상
Ⅳ. 루소의 교육이념
1. 교육은 성장이며 자연적인 과정이어야 한다.
2. 교육은 아동 중심적이어야 한다.
3. 교육은 아동의 자유와 행복을 위한 것이다
4. 교육은 경험을 통해야 한다.
5. 교육은 개인의 발달을 위한 것이다.
6. 교육은 사회 아니면 적어도 사회적 인심을 위한 것이다.
Ⅴ. 루소의 교육사상
Ⅵ. 루소의 에밀
Ⅶ. 루소의 사상이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계적으로 읽히고 읽는 명저이다. 루소는 정규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다. 청년 시대의 독서가로서, 바랑 부인을 비롯하여 몇몇 뛰어난 조언자와 지도자를 가졌지만, 오로지 자기 스스로의 독서에 모든 교육을 의존했다고 한다. 이 같은 교육의 부재와 교육 실천상의 실패(실제로 그는 가정교사로서의 경험이 있고, 그 경험이 실패한 것이라도 스스로 말하고 있다.) 등이 오히려 루소로 하여금, <에밀>에서 이상적인 교육을 몽상할 수 있는 사상가로서의 이론을 정립할 수 있도록 만들었을 것이라고 역자는 서문에 밝히고 있다
Ⅶ. 루소의 사상이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공리주의자나 계몽주의적 자연법사상가와 마찬가지로 루소도 인간은 본래 남의 일을 고려 하지 않고 자기의 생명, 이익, 행복 등 주로 자기의 일만을 고려하는 존재라고 생각했다. 루소의 이러한 사상과 우리나라의 현재 교육현실을 비교해 보았을 때 공부하는 학생을 기준으로 그들은 남을 위해 공부를 하지 않는다. 자신의 불확실한 미래의 대한 준비와, 앞으로의 지위 등을 고려해 죽기살기식의 주입식 교육을 견디고 선의의 경쟁이 아닌 자신만의 이상을 위해 공부를 한다. 그리고 교육정책이 바뀌면서 고등학교 1학년들의 문제는 더 심각해졌다. 예전 이해찬 총리가 교육부 장관일 적에 한 가지만 잘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는 케치프레이즈를 내건 적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전 과목을 다 잘 해야 대학에 갈 수 있다. 여기에 반해 지금의 고등학교 1학년들에게 같은 반 학우들은 더 이상 친구가 아니다. 적으로서 옆자리에 존재하고, 경쟁자로서의 자격으로 같은 반에 모여 있다. 내신 성적의 비중이 높아 졌으니 학부모들은 학생들을 더욱 다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류대학에 보내기 위해 소위 일류학원, 명문학원이라 불리우는 곳에 문을 두드리고 아이들을 늦은 시간까지 혹사시킨다. 이렇듯 현재 우리의 교육은 학생들만의 전쟁이 아닌 이들을 뒤에서 조종하는 학부형들의 싸움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루소의 말을 빌려 인간이란 원래 자기의 행복이나 이익을 추구하는 이기주의적 존재로 점차 변하는 추세다. 루소는 자연상태에서 선하며 이렇게 선한 사람들이 사회에서의 경험 때문에 불행하게 되고 타락하게 된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유아기에는 부모의 속박을 그다지 많이 받지는 않는다. 이 때에는 조금이나마 자유로우며 활동에 폭도 넓힐 수 있다. 그러나 학교에 들어서면서 점차 변질되어 간다. 이 때부터 학원이란 곳에 다니게 되고 더 나아가 과외도 받게 된다. 이때부터 아이들은 활동에 폭이 좁아진다. 집·학교·학원에 순환이 계속 되는 것이다. 아침 일찍 집을 나서고, 자정이 다 되어서야 학교문을 나선다, 그리고 여기서 또 학원을 가 새벽이 되어서야 집으로 돌아온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치열한 경쟁상황을 버거워 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해외로 눈을 돌려 유학을 시키고 이민을 택한다, 일부의 학부모들은 대안학교의 문을 두드리기도 한다, 국내의 있는 학부모들은 일류과외 ,일류학원 등등을 전전하고 있다. 학교라는 곳이 좀 더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쌓고 따뜻한 인성교육과 정서함양을 위한 배움터여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학생들에 입시를 위한 전쟁터인 것 같다.
루소는 교육에 있어서는 지식과 독서 위주의 교육을 지양해야 하며 이성에 앞서 생도의 감정교육이 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라나라의 교육 문제를 교육당국이나 교육정책에만 탓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그 근본에는 학부모가 있다. 참된 교육은 가정에서부터의 실현인데 학생들을 밖으로만 내모니 이것 또한 문제가 있다. 부모는 돈이나 말이 아닌 행동으로서 모범을 보여야 할 필요가 있다. 돈을 쏟아 부어 좋은 대학 입학시킨다고 그 학생이 훌륭해지고 행복해지며 건강한 사회인으로 자라는 것도 아니다. 현재의 한국적 교육현실의 난맥상은 교육당국의 갈지자 행보가 그 첫 번째 원인이겠지만 학부모들의 더 큰 조바심과 가족적 이기주의가 더욱 문제일지도 모른다. 우리 학부모들이 먼저 스스로를 치유해야 교육당국과 교육정책이 올바르게 해결 될 것 같다.
참고문헌
장자크 루소 지음, 이환 옮김, 『사회계약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에밀 지은이 장 자크 루소 지음 김중현 옮김 출판사 한길사
홍신 문화사의 <에밀>
‘근대 민주주의 기획자’ 루소 한겨레 생활/문화
이용철, 『루소 (분열된 영혼)』, 태학사, 2006
한국사회 윤리연구회, 『사회계약론 연구』, 철학과현실사,2003
『루소의 정치철학』 저자:김용민
출판사: 인간사랑 2004. 11 출간
백종현, 『서양근대철학』
Ⅶ. 루소의 사상이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공리주의자나 계몽주의적 자연법사상가와 마찬가지로 루소도 인간은 본래 남의 일을 고려 하지 않고 자기의 생명, 이익, 행복 등 주로 자기의 일만을 고려하는 존재라고 생각했다. 루소의 이러한 사상과 우리나라의 현재 교육현실을 비교해 보았을 때 공부하는 학생을 기준으로 그들은 남을 위해 공부를 하지 않는다. 자신의 불확실한 미래의 대한 준비와, 앞으로의 지위 등을 고려해 죽기살기식의 주입식 교육을 견디고 선의의 경쟁이 아닌 자신만의 이상을 위해 공부를 한다. 그리고 교육정책이 바뀌면서 고등학교 1학년들의 문제는 더 심각해졌다. 예전 이해찬 총리가 교육부 장관일 적에 한 가지만 잘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는 케치프레이즈를 내건 적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전 과목을 다 잘 해야 대학에 갈 수 있다. 여기에 반해 지금의 고등학교 1학년들에게 같은 반 학우들은 더 이상 친구가 아니다. 적으로서 옆자리에 존재하고, 경쟁자로서의 자격으로 같은 반에 모여 있다. 내신 성적의 비중이 높아 졌으니 학부모들은 학생들을 더욱 다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류대학에 보내기 위해 소위 일류학원, 명문학원이라 불리우는 곳에 문을 두드리고 아이들을 늦은 시간까지 혹사시킨다. 이렇듯 현재 우리의 교육은 학생들만의 전쟁이 아닌 이들을 뒤에서 조종하는 학부형들의 싸움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루소의 말을 빌려 인간이란 원래 자기의 행복이나 이익을 추구하는 이기주의적 존재로 점차 변하는 추세다. 루소는 자연상태에서 선하며 이렇게 선한 사람들이 사회에서의 경험 때문에 불행하게 되고 타락하게 된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유아기에는 부모의 속박을 그다지 많이 받지는 않는다. 이 때에는 조금이나마 자유로우며 활동에 폭도 넓힐 수 있다. 그러나 학교에 들어서면서 점차 변질되어 간다. 이 때부터 학원이란 곳에 다니게 되고 더 나아가 과외도 받게 된다. 이때부터 아이들은 활동에 폭이 좁아진다. 집·학교·학원에 순환이 계속 되는 것이다. 아침 일찍 집을 나서고, 자정이 다 되어서야 학교문을 나선다, 그리고 여기서 또 학원을 가 새벽이 되어서야 집으로 돌아온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치열한 경쟁상황을 버거워 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해외로 눈을 돌려 유학을 시키고 이민을 택한다, 일부의 학부모들은 대안학교의 문을 두드리기도 한다, 국내의 있는 학부모들은 일류과외 ,일류학원 등등을 전전하고 있다. 학교라는 곳이 좀 더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쌓고 따뜻한 인성교육과 정서함양을 위한 배움터여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학생들에 입시를 위한 전쟁터인 것 같다.
루소는 교육에 있어서는 지식과 독서 위주의 교육을 지양해야 하며 이성에 앞서 생도의 감정교육이 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라나라의 교육 문제를 교육당국이나 교육정책에만 탓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그 근본에는 학부모가 있다. 참된 교육은 가정에서부터의 실현인데 학생들을 밖으로만 내모니 이것 또한 문제가 있다. 부모는 돈이나 말이 아닌 행동으로서 모범을 보여야 할 필요가 있다. 돈을 쏟아 부어 좋은 대학 입학시킨다고 그 학생이 훌륭해지고 행복해지며 건강한 사회인으로 자라는 것도 아니다. 현재의 한국적 교육현실의 난맥상은 교육당국의 갈지자 행보가 그 첫 번째 원인이겠지만 학부모들의 더 큰 조바심과 가족적 이기주의가 더욱 문제일지도 모른다. 우리 학부모들이 먼저 스스로를 치유해야 교육당국과 교육정책이 올바르게 해결 될 것 같다.
참고문헌
장자크 루소 지음, 이환 옮김, 『사회계약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에밀 지은이 장 자크 루소 지음 김중현 옮김 출판사 한길사
홍신 문화사의 <에밀>
‘근대 민주주의 기획자’ 루소 한겨레 생활/문화
이용철, 『루소 (분열된 영혼)』, 태학사, 2006
한국사회 윤리연구회, 『사회계약론 연구』, 철학과현실사,2003
『루소의 정치철학』 저자:김용민
출판사: 인간사랑 2004. 11 출간
백종현, 『서양근대철학』
추천자료
루소의 유아교육 사상과 21세기의 유아교육(에밀) 아동교육
루소의 생애와 교육사상
사상-사회계약론(루소,홉스,로크)과 비판(흄,버크,벤담,꽁트)
[교육철학, 교육사] 교육 사상사 ( 루소 ) - 교육철학, 목적, 과정, 생애, 방법 ,시사점 등 정리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을 찬성하는 입장
[교육학] 루소「에밀」내용정리와「에밀」에 나타나는 교육사상 한계 및 자연주의 교육의 실...
<루소의 소극적 교육의 의미> 논문을 통해 본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퀸틸리아누스의 유아교육철학(유아교육사상), 코메니우스, 로크, 루...
루소와 공산주의적 계몽사상가들 그리고 바뵈푸와 사회주의
서양근대정치사상 ,루소와_정치참여,루소 정치사례,사회계약, 인민주권,홉스 vs 로크 vs 루소
루소, 프뢰벨, 듀이의 보육사상을 정리하고 이러한 사상들이 시사하는 바를 현장에서 어떻게 ...
아동발달 연구에 영향을 준 철학자 중 로크(John Locke)와 루소(Jean Jacques Rousseau)에 대...
외국 영유아보육철학 중 자신의 보육철학에 가치가 된 사상가에 대한 철학과 가치에 대해 논...
[보육학개론] 현대 아동중심 보육사상에 영향을 미친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