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총의 <누항>과 박인로의 <누항사>
1. 누항의 의미
2. 누항(陋巷)
2.1 누항의 배경과 서사구조
3. 누항사(陋巷詞)
3.1 배경과 서사구조
4. 정총의 누항과 박인로의 누항사 유사점 및 차이점
1. 누항의 의미
2. 누항(陋巷)
2.1 누항의 배경과 서사구조
3. 누항사(陋巷詞)
3.1 배경과 서사구조
4. 정총의 누항과 박인로의 누항사 유사점 및 차이점
본문내용
게 직언을 했던 것처럼 자신의 강직함을 간직하겠다는 의미로 본 다면, <누항사>는 표면적인 의미 그대로 농사를 지으며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살겠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이현지,「復齋 鄭摠의 삶과 시세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과정, 2003)
김기탁, 「노계 박인로의 문학사상」,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영남어문학 제15집, 1988
<참고문헌>
이현지,「復齋 鄭摠의 삶과 시세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과정, 2003)
김기탁, 「노계 박인로의 문학사상」,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영남어문학 제15집, 1988
추천자료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
시사토론소설
작품 속에 나타나는 도시 공간(‘서울’의 의미)
동명왕편(주몽설화)
외국의 영화음악 (정의, 종류, 역사, 각 나라별, 기능 및 특징 등)
영웅소설 유충렬전의 대중화
마가복음 주해 연구보고서(마가복음 15장 33-39절)
누가복음 새로 읽기 리포트(성경해석학-심상법)
<발표및연구자료>전쟁체험과 1950년대 소설
고전소설(김만중의 구운몽)
반씨전(潘氏傳) 분석
구운몽
통속 소설과 상업주의 드라마 - 군담 소설 <조웅전>과 드라마 <아내의 유혹>의 통속성 비교ㆍ...
대중매체로서의 신화의 해석(단군신화해석, 신화의이해, 건국신화, 대중매체와문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