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영 문화] 한국,일본,미국의 군대문화 비교 분석 및 사례와 나의 견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 일본인의 군대에 대한 인식
1. 제국시대-병영국가
2. 현재-군대가 없는 일본
3. 대중매체를 통해 바라본 일본의 군대문화
1) 현대의 자위대를 다룬 영화
2) 패전 전의 군대를 다룬 영화

Ⅲ. 일본의 군대
1. 자위대 - 회사형 군대
2. 패전 전의 일본 군대
1) 근대화의 공간
2) 인생의례로서의 공간 - 성인식 기능
3) 군대에서의 평등성
4) 농촌, 고등소학교 출신 - 군대의 주공급원
5) 사회와 군대의 괴리
6) 지원병 제도
7) 예비역·후비역 병사, 하극상
8) 소결

Ⅳ. 한국 군대
1. 분리
2. 교육 및 재사회화
3. 사회로의 복귀
4. 사회에 미치는 영향
1) 긍정적인 영향
2) 부정적인 영향
5. 한국 군대에 대한 인식
1) 언론에 비친 한국 남성에 대한 일본 여성들의 평가
2) 직접 조사
3) 만화를 통해 본 한국 군대 - ‘꾸나꼬무’

Ⅴ. 미국군대
1. 미국 군대 문화의 특징
2. 미국 군대 문화와 남성성의 문제
3. 영화를 통해 본 미국 군대 문화

Ⅵ. 평가
1. 한국군대와 (패전 전) 일본 군대
2. 군대와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조사의 한계
3. 생각해볼 문제

후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까 ‘직접 조사‘ 부분에서도 군대갔다온 사람들이 자신이 현실적으로 되었다고 느끼고, 주변에서도 그렇게 느끼는 측면에서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군대에서의 경험과 학습이 남성을 현실적으로 만들었다기보다 군대에서 소비한 2년이라는 시간이 남성에게 군대 이전에는 현실과 직접적으로 맞닥뜨리지 않아도 되었던 환경을 군필 이후에는 현실과 직접 맞닥뜨리게 만드는 변화화는 환경과의 관련성에 주목하는 것이 더 타당한 설명이라고 느끼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군대가 남성을 현실적으로 만들었다고 한다면 군대에서의 학습이 중요 요소인지, 아니면 군대에서 소비한 시간 때문에 느끼는 심리적 다급함이 현실적으로 만드는지에 좀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군대 연구가 지나치게 획일적으로 남성성을 묶어서 비판하는 인권이나 페미니즘을 강조하는 모습을 지적하고 싶다. 물론 이러한 측면이 군대 문화의 나쁜 점을 비판할 때 선명성을 부여해 줄 수는 있지만, 좀 더 남성성이 군대에서 수용되는 측면에 대하여 일본 군대에서 보듯이 학력이나 출신배경, 나이 등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서 군대문화가 남성들에게 어떻게 수용되는지를 밝혀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아까 직접 조사에서도 B씨의 경우는 그가 군대에 갔다온 이후에도 여성과의 관계가 물신화되거나 하는 일이 없었다는 점을 보면 그가 고학력자라는 측면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나이가 많을 경우와 어릴 경우에 아무래도 군대에서의 남성성의 습득이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관찰이 군대 문화의 사회화 역할을 좀 더 명확하게 볼 수 있게 해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가 전무하다시피 한 것 같다. 학교 내에서 반학교문화에 대해 굉장히 다양한 고찰을 했던 폴 윌리스의 연구가 군대문화를 연구할 때도 많은 아이디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후기
이미 사회적으로 ‘남성적’이라고 인정받는 남성의 남성성은 군대문화에 의해 사회화되는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적응에 편리한 특성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닌지로 처음에는 고민하였고,(군대와 사회 관계) 나중에는 쓸만한 자료의 부족으로 고민하였다. 자료는 어쩌면 풍부하다고 할 수도 있지만, 요시다 유타카의 책을 제외하면 거의 군대에서의 병사들끼리의 관계나 생활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는 책들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초기에 일본 군대 문화에 대한 연구에 주력하다보니 한국 군대 문화에 대해 하고 싶었던 여러 가지 분류 작업들이나 변화하는 사회와 군대의 상호작용에는 거의 손을 대지 못했다. 이는 다른 조의 발표 대상이기도 했기 때문에 우리 조는 다만 한국 군대 문화가 기존의 연구보다 상당히 다양하게 분석될 수 있음을 지적하는 아이디어들을 제공하는 수준에 만족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Saburo Ienaga, The Glorification of war in Japanese Education, International Security Vol 18, No 3
Robert Guillain(1952), The Resurgence of Military Elements in Japan, Pacific Affairs Vol 25, No. 3
·Naoko Shimazu(2003), Popular Representation of the Past:The case of Postwar Japan, Journal of Contemporary Histiory, Vol 38, No 1
·James H. Buck(1967), The Japanese Self-Defense Forces, Asian Survey Vol 7, No 9
·요시다 유타카(2002), 일본의 군대: 병사의 눈으로 본 근대일본, 논형
·우메사오 다다오(1976),『일본인의 생활』중 요네야마 요시나오-사람의 일생 174~206p 혜인
·이토 키미오, 남성학입문 = Introduction to men's studies , 교육과학사
·가나이 케이코, 일본군 병사의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표상, 여성문학연구
·신치범, 육상자위대 OAC과정 유학기, 한일군사문화연구 제2권
·이준왕, 일본 육상자위대 정신교육, 한일군사문화연구 제4권
·홍두승, ‘군사문화‘와 ’군대문화‘는 별개의 것이다-군사문화가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 군사 문화 (군사문화와 군대문화를 굳이 구별해서 얻는 실익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조성숙, 군대와 남성, 남성문화에 대한 여성학적 이해
·온만금(2006), 군대사회학, 황금알
·하정열(2004), 일본의 전통과 군사사상 : 일본자위대의 뿌리를 찾아서, 팔복원
·김경민(2003), (어디까지 가나)日本 자위대, 아침바다 (군대 문화보다는 군사력에 관심이 많은 경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책)
·손수태, 선진 민주주의 국가의 군대와 사회, 아카데미북
·홍두승(1996), 한국군대의 사회학, 나남출판
·임지현(2003),우리 안의 파시즘, 삼인
·조혜정(1997), 한국의 남성과 여성, 문학과 지성사
·정희진(2006),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권인숙(2005), 대한민국은 군대다, 청년사
·표명렬(2003), 개혁이 혁명보다 어렵다, 동아시아
·일본학교육협의회(2006), 일본의 이해, 태학사
◆신문기사
·한국군에 ‘병폐’ 남겨준 일본군은 모병제·인적청산, 한겨레 2005-11-03
·박노자, 일본, 복종형 근로자의 탄생, 한겨레21 2006-12-05
·한류스타와 군대, 동아일보(05/04/19)
·나도 신병때 인권주장 고참되니 군대알아 중앙일보(05/06/22)
·자위대 구인난' 처우 개선키로, 한국일보 2007-02-13
'·전우의 성기를 넘고 넘어…, 한겨레21 2005-07-08
·자위대 자살 급증으로 고민 , 한국일보 2003-08-18
·나도 신병때 인권주장 고참되니 군대알아, 중앙일보(05/06/22)
◆영화자료
-한국군대: 용서받지 못한 자
-미국군대: 씬레드라인, 과달카날전투, 아버지의깃발, 윈드토커
-일본군대 우리들의야마토(男たちの大和,) 로렐라이, 이오지마로부터 온 편지
-일본자위대: 1549전국자위대(1549戰國自衛隊), 일본침몰, 망국의 이지스(亡國のイジス)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9.29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