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체험일시 (2017년 8월 18일 16:00~20:00)
2. 체험자원 명 (창경궁)
3. 체험활동 내역
1) 창경궁 한복체험 프로그램 참여
2) 창경궁 야간특별관람
3) 궁중의례 재현 행사
4) 궁중 진찬 및 과거시험 재현
5) 궁중 장 담그기·음식 만들기
4. 체험후기
5. 체험사진 1장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체험일시 (2017년 8월 18일 16:00~20:00)
2. 체험자원 명 (창경궁)
3. 체험활동 내역
1) 창경궁 한복체험 프로그램 참여
2) 창경궁 야간특별관람
3) 궁중의례 재현 행사
4) 궁중 진찬 및 과거시험 재현
5) 궁중 장 담그기·음식 만들기
4. 체험후기
5. 체험사진 1장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뒤쪽에는 명정전이 보이는데 경복궁이나 창덕궁의 정전과는 다르게 창경궁 명정전은 동향으로 지어졌고 이중의 월대를 두어 그 위에 건물 기단을 마련되어 있다.
멀리 가지 않아도 도심 속에서 얼마든지 피서를 즐길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여유로운 마음 시간을 갖고자 책 한권 들고 피서지로 떠나는데 그런 곳으로 안성맞춤인 곳이 바로 이곳 창경궁의 숲속이다. 모두가 피서 떠난 8월초 한산한 고궁의 숲속은 그야말로 휴식을 취하기에 제격이다. 시원한 아이스커피에 책 한권 들고 벤치에 누워서 파란 하늘을 보는 것이 왜 이리도 낯설게 느껴지는지.. 창경궁은 창덕궁의 후원 같은 곳이 아니었을까.. 왕이 거의 거처하지 않았다니까 말이다. 이곳에는 100년이 넘는 느티나무 회화나무 백송 주목 등이 있다고 한다. 여기에 일제시대 심은 나무들이 다양하게 자라고 있다. 다른 고궁에는 없는 숲 해설가가 이곳에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배롱나무에 느티나무 버들나무 소나무 향나무 등 깊은 산림 속에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춘당지에는 사람도 보이지 않는다. 학습견학 나온 아이들 그룹 몇 줄만이 보일 뿐이다. 창덕궁의 비원 한쪽 공간이었을 온실 부분은 공사로 볼 수 없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왕릉에 온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울창한 숲속에서 보낸 시간들이었다. 안과 밖의 조화는 돌담길 따라 한켠에 그늘진 곳으로 가면 알 수 있다. 또 다른 시원함이 반겨 주니 말이다. 지금은 공사로 창덕궁으로 가는 길은 막아 놓았지만 창경궁 돌담길 따라 걷는 길도 운치가 있어서 좋았다. 왕이 되어서 거닐어 보는 느낌, 생각만 해도 설레이는 길이었다.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면 창덕궁으로 넘어가고 싶었다.
5. 체험사진 1장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교재나 강의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자원 ‘창경궁’을 선택하여 직접 체험한 후 과제물 작성기준을 준수하여 체험후기를 작성해 보았다. 문화유산을 관람하는 관광객들의 동기와 욕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 변천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모하고, 그 가치 또한 증대됨으로써 기존 관람형태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특히 고궁을 관람대상으로 한 관광공급의 행태는 기존의 우리나라가 가진 국제관광의 부정적인 인식과 이미지를 탈피하고, 경쟁력을 갖춘 관광자원으로서의 그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고궁은 당대 최고의 자제와 기술로 이룩한 훌륭한 문화유산이며, 당시의 왕과 왕실, 궁녀, 노복, 관원, 군인, 내시 등 다양한 신분과 계층의 사람들이 생활하던 공간으로서 각종 의식, 무용, 음악 등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당대 문화예술의 역량이 집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서태양(2006). 문화 관광론. 대왕사.
윤방언(2002).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문화재청.
문화재청(2007). 문화재 활용 가이드북. 문화재청.
한영우(2003). 창덕궁과 창경궁. 열화당 ·효형출판.
윤전현(2000). 조선시대 궁궐중심공간의 구조와변화.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조태영(2008). 문화관광체험이 고유성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멀리 가지 않아도 도심 속에서 얼마든지 피서를 즐길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여유로운 마음 시간을 갖고자 책 한권 들고 피서지로 떠나는데 그런 곳으로 안성맞춤인 곳이 바로 이곳 창경궁의 숲속이다. 모두가 피서 떠난 8월초 한산한 고궁의 숲속은 그야말로 휴식을 취하기에 제격이다. 시원한 아이스커피에 책 한권 들고 벤치에 누워서 파란 하늘을 보는 것이 왜 이리도 낯설게 느껴지는지.. 창경궁은 창덕궁의 후원 같은 곳이 아니었을까.. 왕이 거의 거처하지 않았다니까 말이다. 이곳에는 100년이 넘는 느티나무 회화나무 백송 주목 등이 있다고 한다. 여기에 일제시대 심은 나무들이 다양하게 자라고 있다. 다른 고궁에는 없는 숲 해설가가 이곳에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배롱나무에 느티나무 버들나무 소나무 향나무 등 깊은 산림 속에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춘당지에는 사람도 보이지 않는다. 학습견학 나온 아이들 그룹 몇 줄만이 보일 뿐이다. 창덕궁의 비원 한쪽 공간이었을 온실 부분은 공사로 볼 수 없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왕릉에 온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울창한 숲속에서 보낸 시간들이었다. 안과 밖의 조화는 돌담길 따라 한켠에 그늘진 곳으로 가면 알 수 있다. 또 다른 시원함이 반겨 주니 말이다. 지금은 공사로 창덕궁으로 가는 길은 막아 놓았지만 창경궁 돌담길 따라 걷는 길도 운치가 있어서 좋았다. 왕이 되어서 거닐어 보는 느낌, 생각만 해도 설레이는 길이었다.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면 창덕궁으로 넘어가고 싶었다.
5. 체험사진 1장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교재나 강의에서 다루고 있는 문화자원 ‘창경궁’을 선택하여 직접 체험한 후 과제물 작성기준을 준수하여 체험후기를 작성해 보았다. 문화유산을 관람하는 관광객들의 동기와 욕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 변천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모하고, 그 가치 또한 증대됨으로써 기존 관람형태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특히 고궁을 관람대상으로 한 관광공급의 행태는 기존의 우리나라가 가진 국제관광의 부정적인 인식과 이미지를 탈피하고, 경쟁력을 갖춘 관광자원으로서의 그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고궁은 당대 최고의 자제와 기술로 이룩한 훌륭한 문화유산이며, 당시의 왕과 왕실, 궁녀, 노복, 관원, 군인, 내시 등 다양한 신분과 계층의 사람들이 생활하던 공간으로서 각종 의식, 무용, 음악 등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당대 문화예술의 역량이 집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서태양(2006). 문화 관광론. 대왕사.
윤방언(2002).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문화재청.
문화재청(2007). 문화재 활용 가이드북. 문화재청.
한영우(2003). 창덕궁과 창경궁. 열화당 ·효형출판.
윤전현(2000). 조선시대 궁궐중심공간의 구조와변화.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조태영(2008). 문화관광체험이 고유성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추천자료
우하영의 실학사상
붕당정치와 탕평론의 대두
나희덕 시인에 대해서
종교개혁의 의미
김소월 시론
한국의 여가문화 실태와 여가 스포츠의 미래 비전정리
한국문학사(한국문학역사) 분류, 한국문학사(한국문학역사) 구분, 한국문학사(한국문학역사) ...
초등교원(초등학교교사)의 적성과 능력, 초등교원(초등학교교사)의 업무, 초등교원(초등학교...
[철학자, 피타고라스, 베이컨, 데카르트, 칸트,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 야스퍼스]철학자 피...
[기독교의 발견] 성서와 사람들 - 어떻게 구약성서가 기록되었는가, 무엇이 구약성서를 이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획서- 인디음악 라이브중계 어플 제작
템플스테이- 참된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pptx
문화탐방보고서 - Food Week 2009(국제식품박람회)
[가족상담및치료] 다양한 가족문제 중 한 가지를 선택한 후 가족 상담 및 치료의 관점으로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