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마] 승마 A+ 완벽정리 (승마 어원, 역사, 발전과정, 종류, 경기장, 경기 규칙, 심판, 효과, 에티켓)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승마] 승마 A+ 완벽정리 (승마 어원, 역사, 발전과정, 종류, 경기장, 경기 규칙, 심판, 효과, 에티켓)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승마의 어원

2. 승마의 역사

3. 한국 승마의 역사와 발전과정

4. 승마 경기의 종류
(1) 마장마술 경기
(2) 장애물비월 경기
(3) 종합마술 경기
(4) 폴로경기(Polo)

5. 경기장
(1) 마장마술 경기장
(2) 장애물비월 경기장
(3) 종합마술 경기장

6. 승마의 경기규칙
(1) 종합마술 경기
(2) 마장마술경기
(3) 장애물비월경기

7. 심판 및 점수 계산 방식
(1) 심판
(2) 경기의 채점방식

8. 승마의 기본기
(1) 평보
(2) 속보
(3) 구보

9. 승마의 효과

10. 승마의 주의사항 및 에티켓
(1) 에티켓
(2) 승마 시 주의사항

본문내용

매우 심각한 실수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동작은 마체의 뻣뻣함, 정신적인 긴장, 무리한 굴요(머리의 위치), 재갈에 대한 반항 때문에 일어나는 실수이기도 하며 승마자가 고삐의 사용을 강하게 하거나 말의 뒷다리로부터 수축을 시키지 못하고 고삐에 의한 앞다리만을 수축시키기 때문이다. 교정 방법은 중간평보를 하며 정확한 걸음을 걷도록 하여주고 점차적으로 조심스럽게 걸음을 수축, 또는 신장시키도록 하는데 기본적인 평보의 운동은 중간평보를 하도록 한다.
2. 평보의 속도가 너무 느림 : 대부분의 실수는 승마자가 생각하는 수축운동을 오해하여 일어나는 동작이고 활달성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3. 걸음폭이 짧고 신장 평보 시 뒷다리가 앞다리 밟는 지점에 미치지 못함 : 평보 운동시 마필의 자연적인 움직임의 자유를 너무 구속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말의 목을 약간 아래쪽으로 뻗을 수 있도록 자유를 주고 걸음이 활발해지도록 요구하여주면 교정이 가능하다.
(2) 속보
속보(THE TROT)의 정의
2박자의 움직임으로 대각선(좌측 앞다리와 우측 뒷다리)의 다리가 한조가 되어 운동을 한다, 속보에는 4가지의 보법이 있는데 보통속보 (어린 말이나 기초급 마필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말의 보법으로 숙련된 말도 준비운동이나 종말운동 등에 사용된다), 수축속보, 중간속보, 신장속보 등이 있다, 특히 보통속보는 승마를 하면서 유용하게 사용하는 보법중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좌우측 말다리의 움직임이 대칭적이면 연속적이기 때문이다, 구보의 움직임보다 균형을 유지하기 쉽고 평보 동작보다 추진하기가 쉽기 때문일 것이다.
속보시 추구할 점
언덕을 올라갈 때와 같은 말의 밸런스와 마체를 유지하고, 말의 뒷다리가 왕성한 움직임이 되어야 하며 말의 목과 전체적인 마체의 곡선은 아치가 되도록 하면서 재갈에 대한 복종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속보시 실수하기 쉬운 사항
1. 승마자의 주먹에 강하게 기댄다 : 승마자의 부조에 말의 체중을 뒷다리 부위에 무리하게 싣고 또한, 말의 활달성의 부족이 요인이다.
2. 말 등 근육의 지나친 긴장 : 부적당하고 불충분한 준비운동과 승마자 자신의 긴장이 원인이며 특히 좌속보에서 일어나기 쉽다.
3. 파행 : 여기에서 말하는 파행은 말의 다리 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속보시 한쪽 뒷다리와 한쪽 앞다리가 동시에 지면을 밟아야 하나 여기에서는 뒷다리가 먼저 지면을 닿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신장속보시 나타나기 쉬우며 말머리의 고양을 위해 정확한 부조를 사용하지 못하고 주먹(고삐)에 의존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에 대한 교정은 말의 머리와 목을 약간 옆으로 펴지도록 양보를 하여주고 밸런스를 유지시켜주어 말의 등근육이 편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3) 구보
고난이도를 선보이는 고등마술에 있어서 구보는 매우 중요한 운동이라 하겠다. 예를 들면 그랑프리 종목에서 구보의 운동에는 매 걸음마다 답보변환이 있고 삐루엣, 반대구보, 신장구보 그리고 각 운동간의 이행등이 있다. 구보의 연습을 소홀히 한다면 경기에서 좋은 점수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구보의 정의
3박자 운동으로 우측 구보의 경우 발의 움직임은 좌측 뒷다리가 지면을 밟고 다은 순간 대각선상의 우측 뒷다리와 좌측 앞다리, 그리고 우측 앞다리가 지면을 밟게 되며 그 다음에 네다리가 동시에 체공 시간을 갖게된다. 구보도 속보와 마찬가지로 4가지 종류의 보법이 있는데 준비운동에 사용되는 보통 구보, 그리고 수축, 중간, 신장구보가 있다.
구보 시 추구할 점
3박자의 정확한 움직임과 3박자의 걸음걸 이후 네다리가 공중에 떠있어야 하는 체공상태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말의 뒷다리의 원활한 움직임과 마체의 중심을 뒷다리로 적당하게 이동시켜야 한다. 또한 구보에서 앞다리의 구름 자세 중 말의 무릎을 적당하게 구부리며 앞다리를 높이 들어올려 걸음을 걷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9. 승마의 효과
* 상체를 바르게 교정해준다.
* 허리가 유연해진다.
* 정신집중력을 길러준다.
* 장기능이 강화된다.
* 신체의 리듬감을 길러준다.
* 폐활량이 늘어난다.
* 담력을 복돋아준다.
* 골반이 튼튼해진다.
* 절염 예방을 가져다준다.
* 다이어트의 효과가 있다. 승마는 전신운동으로 매우 액티브한 운동이다. 그만큼 에너지 소비가 많고 열량이 많이 소모된다.(조깅의 500배) 최근, 승마의 다이어트 효과가 알려지면서 여성 승마인이 증가하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10. 승마의 주의사항 및 에티켓
(1) 에티켓
승마자체가 살아있는 동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항상 위험이 따르는 운동이다. 때문에 지나칠 정도로 예의를 따지는데 마장에서의 기본예절은 다음과 같다.
가장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하는 모자는 안전모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낙마의 위험에 대비한 것이며, 보편적으로 검은색으로 통일되어 있다. 바지와 장화도 일반 용품들과 달리 승마용을 사용해야 한다. 그 외 장비는 개인의 취향대로 멋을 낼 수 있다.
이러한 용품들은 각 승마용품점이나, 승마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데 대략 35~50만원 선이면 기본적인 장비를 구입할 수 있다. 처음 타는 사람은 등산화가 아니면 어떤 신발이라도 좋다.
(2) 승마 시 주의사항
① 말은 자기 그림자만 보고도 놀랄 정도로 겁이 많은 동물이다.
- 과격한 행동과 동작으로 말을 긴장시키지 않도록 한다.
② 말에게 접근할 때에는 반드시 앞쪽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 말의 어깨부위 또는 목부위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다.
③ 말에 접근하여서는 말의 다리를 조심해야한다.
- 경우에 따라 사람의 발을 밟을 수도 있다.
④ 고삐의 조작은 부드럽게 하여야 한다.
- 말의 입속에는 금속으로 된 재갈이 물려 있다.
⑤ 말이 갑작스레 뛸 경우 당황하지 말고 대처해야 한다.
- 기수의 침착함은 말을 진정시킨다.
- 부드럽고 태연하게 속도를 줄이며 바란스를 유지해야한다.
⑥ 낙마를 하게 될 경우 고삐를 잡고 있으면 머리와 팔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⑦ 승마시 두려운 마음을 갖지 말고 즐겨야 한다.
⑧ 무리한 구보운동은 삼가한다.
- 기승시간 45분을 준수하여 말이 지치지 않게 해야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9.29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6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