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평가
1.1 개념적 지식의 평가
<정의와 평가 방법>
<Kulm의 전통적인 개념적 지식의 평가>
<Kulm의 개념적 지식의 평가를 위한 채점 기준>
◆ 개념적 지식의 평가과제(Kulm,1994) ◆
1.2 절차적 지식의 평가
<정의와 평가 방법>
<Kulm의 절차적 평가를 위한 채점 기준>
◆ 절차적 지식의 평가과제(Kulm,1994) ◆
연구과제
1.1 개념적 지식의 평가
<정의와 평가 방법>
<Kulm의 전통적인 개념적 지식의 평가>
<Kulm의 개념적 지식의 평가를 위한 채점 기준>
◆ 개념적 지식의 평가과제(Kulm,1994) ◆
1.2 절차적 지식의 평가
<정의와 평가 방법>
<Kulm의 절차적 평가를 위한 채점 기준>
◆ 절차적 지식의 평가과제(Kulm,1994) ◆
연구과제
본문내용
적 지식이 형성한 후 절차적 지식을 통한 문제해결이 상보적인 관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연구과제2)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평가방법을 각각 설명하여라.
* 개념적 지식의 평가방법 :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 기호, 정의를 바르게 기억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개념을 적절한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또, 개념과 다른 개념들 사이의 관계성 파악도 개념적 지식의 평가의 중요한 요소이다.
수학적 법칙이나 원리가 성립하는 것을 추론하고 증명할 수 있는 능력의 평가도 개념적 지식의 평가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 때, 평가방법은 관찰법, 면담법, 선다형 또는 단답형 지필검사, 서술식 지필검사 등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다.
* 절차적 지식의 평가방법 : 수학적 법칙이나 알고리즘을 단순히 암기하고 처리하는 기계적인 처리 기능 뿐 만 아니라 그 절차의 타당성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즉, 어떤 절차를 수행한 결과만을 보고 평가할 것이 아니라, 절차의 처리과정을 분석하고 오류의 배경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평가방법은 지필검사, 관찰, 면담, 계산기와 컴퓨터의 활용 등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다.
연구과제3) 앞에서 제시된 대안적인 개념적 지식의 평가문항을 모두 해결하고 전통적인 개념적 지식의 평가 문항과의 차이점에 대하여 토론하여라.
* 전통적인 평가는, 절차적 지식의 평가와 개념의 용어에 강조점을 두었고 그 때문에 개념적 지식을 하향시켰으며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거의 연결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은 상호보완적이고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
주어진 대안적인 개념적 지식의 평가문항은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적절한 상보적 관계를 이룬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연구과제4) 앞에서 지식된 대안적인 절차적 지식의 평가문항을 모두 풀어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① 두 개 이상의 답이 있는 문제들은 어떤 것들인가?
② 어림 전략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문제는 어떤 것들인가?
③ 계산기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는 어떤 것들인가?
연구과제 5) 대학 입학을 위한 수학능력시험 중 수리영역 문제를 분석하여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는지 알아보아라.
* 요즘 수능은 기본적인 개념만을 묻는 쉬운 수능의 경향에서 벗어나 개념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또는 여러 개념을 결합시켜 고차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 위주로 출제가 되고 있다.
수리영역 문제를 분석하여 보면, 개념원리를 중요시하고, 문항마다 여러 개념을 결합시켜 묻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수리영역의 특성상 평균점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개념만을 묻는 문항이 다소 필요하고, 이 외 변별력을 위하여 문제 풀이 전략을 세우는데 시간이 다소 걸리거나, 계산이 복잡한 문항을 출제하고 있다. (why? 요즘 학생들은 수학문제를 풀 때 답을 구하는 데 조급해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어려워한다. 따라서 풀이과정이나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연구과제 6)‘수열의 극한’을 주제로 하여 개념적 지식의 평가문항과 절차적 지식의 평가문항을 하나씩 만들어 보아라.
* 개념적 지식의 문제 : 두 도시 A와 B가 있다. A도시에 거주하는 사람의 5%가 B도시로 이주하고 B도시에 거주하는 사람의 3%가 A도시로 이주한다고 한다. 두 도시의 인구의 합이 항상 일정하다고 할 때, 세월이 많이 흐른 뒤에 두 도시 A, B의 인구의 비는 얼마이겠는가?
(답 3:5)
* 절차적 지식의 문제 : 으로 정의되는 수열 {}에 대하여 을 의 식으로 나타내어보고, 을 구하여라.
(답 , )
연구과제2)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평가방법을 각각 설명하여라.
* 개념적 지식의 평가방법 :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 기호, 정의를 바르게 기억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개념을 적절한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또, 개념과 다른 개념들 사이의 관계성 파악도 개념적 지식의 평가의 중요한 요소이다.
수학적 법칙이나 원리가 성립하는 것을 추론하고 증명할 수 있는 능력의 평가도 개념적 지식의 평가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 때, 평가방법은 관찰법, 면담법, 선다형 또는 단답형 지필검사, 서술식 지필검사 등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다.
* 절차적 지식의 평가방법 : 수학적 법칙이나 알고리즘을 단순히 암기하고 처리하는 기계적인 처리 기능 뿐 만 아니라 그 절차의 타당성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즉, 어떤 절차를 수행한 결과만을 보고 평가할 것이 아니라, 절차의 처리과정을 분석하고 오류의 배경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평가방법은 지필검사, 관찰, 면담, 계산기와 컴퓨터의 활용 등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다.
연구과제3) 앞에서 제시된 대안적인 개념적 지식의 평가문항을 모두 해결하고 전통적인 개념적 지식의 평가 문항과의 차이점에 대하여 토론하여라.
* 전통적인 평가는, 절차적 지식의 평가와 개념의 용어에 강조점을 두었고 그 때문에 개념적 지식을 하향시켰으며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거의 연결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은 상호보완적이고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
주어진 대안적인 개념적 지식의 평가문항은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적절한 상보적 관계를 이룬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연구과제4) 앞에서 지식된 대안적인 절차적 지식의 평가문항을 모두 풀어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① 두 개 이상의 답이 있는 문제들은 어떤 것들인가?
② 어림 전략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문제는 어떤 것들인가?
③ 계산기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는 어떤 것들인가?
연구과제 5) 대학 입학을 위한 수학능력시험 중 수리영역 문제를 분석하여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는지 알아보아라.
* 요즘 수능은 기본적인 개념만을 묻는 쉬운 수능의 경향에서 벗어나 개념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또는 여러 개념을 결합시켜 고차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 위주로 출제가 되고 있다.
수리영역 문제를 분석하여 보면, 개념원리를 중요시하고, 문항마다 여러 개념을 결합시켜 묻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수리영역의 특성상 평균점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개념만을 묻는 문항이 다소 필요하고, 이 외 변별력을 위하여 문제 풀이 전략을 세우는데 시간이 다소 걸리거나, 계산이 복잡한 문항을 출제하고 있다. (why? 요즘 학생들은 수학문제를 풀 때 답을 구하는 데 조급해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어려워한다. 따라서 풀이과정이나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연구과제 6)‘수열의 극한’을 주제로 하여 개념적 지식의 평가문항과 절차적 지식의 평가문항을 하나씩 만들어 보아라.
* 개념적 지식의 문제 : 두 도시 A와 B가 있다. A도시에 거주하는 사람의 5%가 B도시로 이주하고 B도시에 거주하는 사람의 3%가 A도시로 이주한다고 한다. 두 도시의 인구의 합이 항상 일정하다고 할 때, 세월이 많이 흐른 뒤에 두 도시 A, B의 인구의 비는 얼마이겠는가?
(답 3:5)
* 절차적 지식의 문제 : 으로 정의되는 수열 {}에 대하여 을 의 식으로 나타내어보고, 을 구하여라.
(답 , )
추천자료
유아수학교육의 이론적 배경
수학교육의 목적 및 목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시사점
유아수학교육의 새로운 방향
수학교육
유아수학교육의 이론
수학교육에 관한 비고츠키(Vygotsky)의 이론과 실제
수학교육학신론(개정판)
수학교육학신론(개정판 2011 황혜정 외)ox문제와 답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개정판 2011 경문사, 김남희 외)
[오류, 오류분석]오류 분석의 4단계, 발음교정, 수학교육의 오류, 부진문항, 실학의 오류, 불...
수학교육, 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아동수학교육 측면에서 브루너의 표상이론에 대해 서술 (표상이론)
유아수학교육의 동향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아래의 두 문항을 골라 기술.
유아수학교육 활동 중 그래프 활동 하나를 선정하고 이에 대해 전개해보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