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것인가
2.개념
3.공리주의는 타당한가.
4.소극적 공리주의의 정당성
5.가정-소극적 공리주의가 아닌 세상
6.결론
2.개념
3.공리주의는 타당한가.
4.소극적 공리주의의 정당성
5.가정-소극적 공리주의가 아닌 세상
6.결론
본문내용
주의에 대한 고찰을 해보았다. 공리주의는 그 기본 취지는 흠잡을 데 없이 좋지만, 자칫 잘못하면 아까 지적한데로 사회주의나 집단주의로 빠져버릴 수가 있다. 또한 단지 이상적인 사상으로만 그칠 확률이 굉장히 높다. 현실은 이러한 사상을 적용시키기에 너무 많은 난점을 만들고 있는 것 같다. 일단 많은 사람들이, 말로는 모두가 잘사는 게 좋다-라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극히 작다는 것이 문제다. 이론적으로는 알고 있지만, 마음이 잘 따르지 않아 결국은 자신의 이익이 따르는 쪽으로 움직여버리는 것이다. 이 이론대로만 된다면 그래도 세상 살기는 편해질 것 같다. 하지만 그렇게 되기엔 모든 사상들이 그렇듯 현실이 따라주지 못하고 있다. 자기만 생각하는 사람들-,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 불공평한 세상 속에서 그러한 사람들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공격을 가하는 것은 별 수 없는 선택이 되는 것 같다. 모두 자기가 우선인 세상-. 남을 생각해주는 사람이 ‘바보’가 되는 세상이라고 한다면 너무 비약해버린 것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 사는 세상은 발전은 되는데 자꾸만 자기중심적인 세상이 되어서, 인간미는 자꾸만 사라지고 있는 느낌이다.
추천자료
현대여성의 생활철학과 자기 계발
정상과 비정상에 관한 자기 철학/이상심리학
2011년 1학기 교육과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주요교육철학 개념과 강조점)
[과학기술시대][실천철학][정치사회][윤리학][과학기술시대의 과제]과학기술시대의 실천철학,...
교육철학 및 교육사 기말과제
[철학] 논증의 오류에 대한 과제
[서양근세철학사] 데카르트 \'성찰\' - 중요내용 정리
(교육철학 및 교육사 - 제1차 연구과제) 이상주의 - 이상주의 교육사상의 관점에서 역사교육...
(교육철학 및 교육사 - 제2차 연구과제) 실재주의(Realism) - 실재주의 교육사상이 교육에 미...
'인간 본성에 관한 10가지 철학적 성찰'을 읽고 '여러 철학가들의 사상에 대한 나의 견해'
대학생활college과 학습- 개인성찰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