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 측정 실험 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1.1. 실험 목적
1.2. 확인 사항

2. 실험 준비, 방법 및 주변 환경
2.1. 실험일자 및 시간
2.2. 실험 장소
2.3. 소음원
2.4. 측정 장비
2.5. 측정 일시
2.6. 날씨
2.7. 주변 소음원
2.8. 실험 시 유의사항

3. 배경이론
3.1.소리의 원리
3.2. 소리의 종류
3.3. 음의 3가지 기본 속성
3.4. 소음 측정 기기와 소음기준
3.5. Combination of sound sources
3.6. Loudness and loudness level
3.7. Sound Pressure(음압), Sound Pressure Level
3.8. Weighted Level
3.9. PSIL(Preferred Speech-Interference Level)의 계산
3.10. Recommended noise criteria range
3.11. 6-dB Doubling Rule
3.12. Wave Equation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실험1 여러 장소에서의 background noise 측정
4.2. 실험2 거리에 따른 SPL의 변화
4.3. 실험3 2가지의 소음원의 각각에 대한 SPL과 전체소음원에 의한 SPL의 측정및분석
4.4. 실험4 측정기의 fast/slow mode에서 SPL측정 및 그 차이에 대한 원인 분석
4.5. 실험5 소음원과 측정기에 대한 측정자의 위치에 따른 SPL의 비교
4.6. 실험6 벽의 유무가 주는 SPL의 차이와 그 원인 분석
4.7. 실험7 스폰지의 유무에 따른 SPL의 차이와 그 원인 분석
4.8. 실험8 플라스틱 밀폐 용기의 IL(Insert Loss) 측정
4.9. 실험9 학교 내 신양학술 정보관 전산실에서의 대역별 BPL을A,B,C
4.10. 실험10 신양학술정보관 전산실에서의 NC rating

5. 토의
5.1. 실험 전체에 대한 토의와 후기
5.2.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문제에 대한 토의

6. 참고문헌

본문내용

nd wave가 통과되지 못한 면도 무시할 수 없었다. 이번 실험결과는 아주 사소한 오차가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고 어느 한 부분이라도 쉽게 넘어가서는 안 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배우는 계기가 되었다.
벽이 만드는 효과와 측정기와 측정자의 위치변화에 따른 효과?
우선 다음 자료를 보면 벽이 만드는 효과와 측정기와 측정자의 위치변화에 따른 효과를 알 수 있다.
우선 벽에 의한 SPL의 변화를 살펴보면 벽이 있을 때와 없을 때 SPL이 무려 평균 10dB이나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벽에 의한 reverberant field 효과라고 할 수 있다. 벽이 있음으로 해서 그만큼 SPL이 높게 측정되는 것이다. 이것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처럼 벽이 있으면 그에 의한 반사효과로 인해 SPL이 상승한다는 것이 맞아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측정기와 측정자의 위치에 따른 SPL의 변화를 살펴보면 측정기와 측정자가 일적선상일 때가 수직선상일 때보다 바로뒤 일직선상보다 바로 앞 일직선상이 크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통하여 측정기와 측정자의 위치가 SPL값 변화의 원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측정자가 소음원과 측정기의 일직선상에 서 있게 되면 소음원에서 발산하는 소음이 측정자에 의해 반사되어 SPL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측정자와 측정기 그리고 소음원의 관계는 SPL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실제로는 reflect surface를 생성하여 그것이 SPL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어떤 소음원이 있을 때 그것의 SPL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또 정밀한 작업을 요구하는 것인지 짐작할 수 있었다.
소음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그 측정값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이것은 풀밭에서 소음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그 측정값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질문이다. 이미 거리가 2배가 되면 6dB이 증가한다는 것을 수업시간에 배운바 있다. 우리는 이론적으로 알고 있는 값과 우리가 측정한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서 그 사실을 알아보기로 했다. 결론적으로 이론적인 6-dB Doubling rule은 실험값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었다.
측정값
거리\횟수
1
2
3
4
5
평균
1 m
74.1
73.5
72.2
71.9
72.9
72.92
2 m
69.7
69.2
70.7
69
66.5
69.02
4 m
67
68.1
67.7
66
66.5
67.06
이론값 (1m에서 측정한 SPL을 기준으로 각 위치마다 6dB씩 감소시킴)
시행 /
거리\평균
평균
1 m
72.92
2 m
66.92
4 m
60.92
그래프를 통한 오차분석
1, 2, 4, 8m에서의 측정값과 이론값 그리고 그 둘의 오차가 위 표에 나와 있다. 주의해서 보아야 할 점은 그 둘의 오차이다. 거리가 2배 증가 할 때 마다 측정값은 꼭 6dB씩 감소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렇게 측정된 원인은 측정한 거리의 부정확성, 단일 소음원 문제, 측정장소의 적합성 등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우선 측정을 할 때에 거리를 2배로 늘리고 그 때의 SPL변화를 측정해야 하지만 줄자로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거리가 멀어질 수록 오차가 큰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당시 하나의 소음원으로 측정을 하려고 하였으나 옆 풀밭의 자동차소리와 작업기계소리 산속의 새소리 등이 겹치면서 정확한 SPL의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측정장소가 완전한free flied가 아니라 주위에 숲과 건물이 있었기 때문에 그로 인한 reflection 효과를 무시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이런 요인들로 인하여 이론값인 6dB보다 감소폭이 다소 작게 측정되었다.
실험값과 이론값 사이에 오차가 있기는 하였지만 아주 크지는 않았고, 수업시간에 배운 6-dB Doubling rule을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6. 참고문헌
www.naver.com
차일환 - 음향공학개론, 한신문화사
Irwin and Graf ‘Industrial Noise and Vibration Control’
*목차
1. 개요
1.1. 실험 목적
1.2. 확인 사항
2. 실험 준비, 방법 및 주변 환경
2.1. 실험일자 및 시간
2.2. 실험 장소
2.3. 소음원
2.4. 측정 장비
2.5. 측정 일시
2.6. 날씨
2.7. 주변 소음원
2.8. 실험 시 유의사항
3. 배경이론
3.1.소리의 원리
3.2. 소리의 종류
3.3. 음의 3가지 기본 속성
3.4. 소음 측정 기기와 소음기준
3.5. Combination of sound sources
3.6. Loudness and loudness level
3.7. Sound Pressure(음압), Sound Pressure Level
3.8. Weighted Level
3.9. PSIL(Preferred Speech-Interference Level)의 계산
3.10. Recommended noise criteria range
3.11. 6-dB Doubling Rule
3.12. Wave Equation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실험1 여러 장소에서의 background noise 측정
4.2. 실험2 거리에 따른 SPL의 변화
4.3. 실험3 2가지의 소음원의 각각에 대한 SPL과 전체소음원에 의한 SPL의 측정및분석
4.4. 실험4 측정기의 fast/slow mode에서 SPL측정 및 그 차이에 대한 원인 분석
4.5. 실험5 소음원과 측정기에 대한 측정자의 위치에 따른 SPL의 비교
4.6. 실험6 벽의 유무가 주는 SPL의 차이와 그 원인 분석
4.7. 실험7 스폰지의 유무에 따른 SPL의 차이와 그 원인 분석
4.8. 실험8 플라스틱 밀폐 용기의 IL(Insert Loss) 측정
4.9. 실험9 학교 내 신양학술 정보관 전산실에서의 대역별 BPL을A,B,C
4.10. 실험10 신양학술정보관 전산실에서의 NC rating
5. 토의
5.1. 실험 전체에 대한 토의와 후기
5.2.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문제에 대한 토의
6. 참고문헌
  • 가격2,5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08.10.01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1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