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를 이용한 TTC 검정과 삼투현상에 의한 원형질 분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자를 이용한 TTC 검정과 삼투현상에 의한 원형질 분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

2. 재료 및 방법
(1)종자를 이용한 TTC 검정
1) TTC 검정을 통한 종자의 부위별 활력 확인
2) TTC 검정을 통한 감자의 활력과 생존 여부 확인
(2)삼투현상에 의한 원형질 분리

3. 결과 및 고찰

4. 인용문헌

본문내용

이지 않고, 기존의 세포벽과 액포, 핵 등이 발견 되다. 1%의 TTC 용액에 담갔던 양파세포에도 원형질 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2%에 담갔던 양파세포에서는 군데군데 살짝 원형질 분리 현상을 볼 수 있고, 3%에서는 완전한 분리 형태를 보이는 것을 보면 2%TTC 용액부터 원형질 분리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 5% TTC 용액에서는 원형질이 동그란 형태로 완전 분리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삼투압은 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 쪽으로 세포막을 통한 물의 확산되는 것이다. 용질(분자, 이온)의 이동이 아닌 물의 이동을 말한다. 삼투는 세포와 세포 밖의 환경은 물의 교환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삼투현상은 막을 통한 물의 확산이다. 물 분자는 삼투현상이라 불리는 확산 과정에 의해 막을 통해 이동하기에 그 크기가 충분히 작고 양은 풍부하다. 이 완벽한 수동수송은 대사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며, 또 용액의 농도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삼투현상은 입자의 종류가 아니라, 거기에 존재하는 용질입자의 숫자에 달려 있다.
물 분자는 더 높은 용질 농도를 가진 용액 속으로 막을 통과하여 이동할 것이다. 다시 말해 , 물은 물의 농도가 더 높은(용질의 농도가 더 낮은) 지역에서 물의 농도가 더 낮은(용질의 농도가 더 높은) 지역으로 확산할 것이다.
세 가지 용어가 막에 의해 분리된 두 가지 용액의 용질 농도를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등장액은 전체 용질의 농도가 같다. 고장액은 비교되고 있는 용액보다 전체 용질의 농도가 더 높다. 저장액은 비교되고 있는 용액보다 전체 용질의 농도가 더 낮다.
물은 막을 통하여 저장액에서 고장액으로 이동한다.
세포와 용액의 농도에서 식물 세포의 삼투현상을 알아보면 저장액은 팽윤상태로 세포막이 세포벽을 밀어내는 현상이다. 등장액에서는 변화가 없다. 고장액에서는 세포막과 세포벽이 분리되는 원형질 분리현상이 일어난다.
동물세포의 삼투현상은 저장액에서 적혈구가 파괴되어 헤모글로빈이 나오는 현상인 용혈현상이 일어나고 등장액에서는 변화 없다고 한다. 고장액에서는 위축된다.
4. 인용문헌
* http://blog.naver.com/aida35.do?Redirect=Log&logNo=20014509674
* http://sanwoo.com.ne.kr/%BC%F6%C6%F2%C0%DA%B7%E12/%BC%BC%C6%F7-4.htm
* 생화학 길라잡이 -라이프사이언스- 53p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0.0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7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