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언어와 언어 공동체
Ⅱ. 본론
1.사회적 지위와 언어와의 상관관계
2.언어의 힘에 대한 이론적 배경
3.언어의 힘 선행연구
4.성에 따른 언어변화의 배경
5.언어 힘, 성, 지위의 관계
6.여성의 과점에서 본 성과 언어
7.젠더와 섹스 성 구분언어
8.인칭지시 관계에 따른 대화어법
9.독일어 번역에서 보이는 한국어의 경어법
Ⅲ. 결론
- 한국 언어의 남녀 언어차이
Ⅳ. 참고문헌
-언어와 언어 공동체
Ⅱ. 본론
1.사회적 지위와 언어와의 상관관계
2.언어의 힘에 대한 이론적 배경
3.언어의 힘 선행연구
4.성에 따른 언어변화의 배경
5.언어 힘, 성, 지위의 관계
6.여성의 과점에서 본 성과 언어
7.젠더와 섹스 성 구분언어
8.인칭지시 관계에 따른 대화어법
9.독일어 번역에서 보이는 한국어의 경어법
Ⅲ. 결론
- 한국 언어의 남녀 언어차이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교하면서 성 차별적 언어관습의 한 단편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어 속담에 반영된 여성관9에서는 우선 여성은 비주체적 존재나 사물로 파악되며 때문에 여자는 주인인 남자에 의해 인정받거나 길들여져야 하는 존재이거나 항상 주인이 간수해야 하는 대상으로 파악된다.
개와 여자는 맞아야 길이 든다.
여자하고 개는 길들이기에 달려있다.
여자와 바가지는 내돌리면 깨진다.
또한 전통사회의 속담에 나타나는 여성에 대한 인식은 남성 위주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하나의 부속물(이차적 존재)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예에서는 여자를 사람의 범주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남자는 나이 먹으면 어른이 되고, 여자는 나이 먹으면 여우가 된다.
여자는 사흘에 한번은 맞아야 사람이 된다.
물에 빠진 사람은 건져도, 여자에게 빠진 사람은 못 건진다.
9. 독일어 번역에서 보이는 한국어의 경어법
차현실 ( 1 9 9 9 )에 따르면 한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남편이 아내에게 격식체의 보통 높임‘하오체’를 사용하여 정중하게 말하고, 아내는 남편에게 비격식의 두루높임‘해요체’로 존대법을 쓴다. ‘하오’체는 지체가 높은 어른이나 나이 먹은 아랫사람에게 상대를 존중한다는 의도를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대우법으로 정중하기는 하나, 상대적으로 남편보다 아내의 지위가 낮다는 화용 의미가 함의되어 여성 비하의 어조이다. 아내가 남편에게 말하는 상황에서‘하오’체의 사용실례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부부의 말하기 방식을 총괄할 때, 아내는 주로 남편을 높여 부르고 비격식체의 존대를 사용하는 반면, 남편은 아내를 평대나 아랫 사람 부르는 방식으로 부르면서 비격식의 반말이나 격식체의‘하오’나‘해라’를 사용하고 있다.남편은 아내에게 말을 낮추고 아내는 남편을 높이는 말하기 방식에서의 차등현상은 남성보다 낮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 혹은 여성 비하 인식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본다.
절망에 빠진 알크메네는 이제는“너”라는 상대적인 2인칭의 말장난에 희생양이
된다. 사실을 확인하고 싶어하는 알크메네에게 제우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유피터: 네게 지금 다가가는 모든 것은 암피트리온이다.
알크메네: 아 나의 낭군이시여! 말씀해 주세요!
당신이었나요, 아닌가요? 아, 말씀하세요, 당신이었죠!
유피터: 나였소. 그게 누구이건 간에. 진정하시오.
당신이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만진 것은 나였소.
J u p i t e r : [...] alles, Was sich dir nahet, ist Amphiryon.
A l k m e n e : O mein Gemahl! Kannst du mir gutig sagen,
Warst dus, sarst du es nicht? O Sprich! du warsts!
J u p i t e r : Ich wars. Seis wer es wolle. Sei - sei ruhig.
Was du gesehen, gefuhlt, gedacht, empfunden,
War ich [...] (1262-1268)
여기서 보면 독일어에서 알크메네와 쥬피터는 서로 d u z e n을 하지만 번역에서‘-하오’체와‘-해요’체로 구분하고 있다
이보게 친구, 만약에 불길에 사로잡힌 집이 한 채 있다고 하세. 하인이 달려가 주인을 깨울 것일세: ‘주인님 일어나세요! 달아나세요! 집이 불타고 있어요. 발코니에까지 이미 불길이 번졌고, 지붕도 곧 무너질 것 같습니다.’- 이때 주인은 어쩌면 다음과 같이 대꾸할 수도 있을게야. ‘여보게, 자네가 가서 한번 살펴보게나, 밖에 비가 오고 폭풍우가 몰아치는지, 혹은 달빛 그윽한 밤인지를. 만약 아름다운 달밤이라면 우리 밖으로 함께 놀러가세나’
Was meinst du, Freund, wenn da ein Haus ware, das vom Feuer erg r i ffen wurde, und der Diener liefe, den Herren zu wecken: 'Steh auf, Herr! Flieh! Das Haus brennt! Schon flammen Balken, und das Dach will sturzen' - wurde wohl dann der Herr erwidern:'Geh, mein Lieber, und sieh nach, ob es drauBen regnet und sturmt, oder ob eine liebliche Mondnacht ist; und ist letzteres der Fall, dann wollen wir uns ins Freie b e g e b e n '
부부의 대화에서 남편과 아내의 어투를 서로 다른 격식체를 사용함으로써 남편과 아내의 지위가 다름을 드러내 보이는 번역투는 바로 이러한 위의 인용문에서처럼 그 어투가 하인과 주인의 어투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도 독일어의 원문은 하인과 주인이 같은 친칭d u z e n을 쓰고 있으나, 인물 설정에 따라 신분차이를 드러내는 다른 어투를 선택하고 있다.
Ⅲ. 결론
남녀의 성에 따라 언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어쩌면 전혀 새로운 사실은 아니다.‘ 성과 언어’를 통한 연구들을 통하여 우리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은 어떻게 대화태도에서 차이가 생겨나며, 어떤 사회화 과정이 여기에 영향을 끼치며, 어떤 연령에서부터 의사소통 태도에서 남자아이들과 여자아이들의 차이가 보이기시작하며, 이러한 차이가 이미 어린아이들에게서 성 특징적 언어습득의 과정으로 주어져있는가 하는 것 등이다. 언어에 반영되어 있는 남녀 차이의 인정을 통해 이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새로이 인식하게 되는 그 인식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천현숙> 성과 언어 힘의 지위 효과 비교
최명원> 언어와 성
네이버사전> 언어의 정의
*목차
Ⅰ. 서론
-언어와 언어 공동체
Ⅱ. 본론
1.사회적 지위와 언어와의 상관관계
2.언어의 힘에 대한 이론적 배경
3.언어의 힘 선행연구
4.성에 따른 언어변화의 배경
5.언어 힘, 성, 지위의 관계
6.여성의 과점에서 본 성과 언어
7.젠더와 섹스 성 구분언어
8.인칭지시 관계에 따른 대화어법
9.독일어 번역에서 보이는 한국어의 경어법
Ⅲ. 결론
- 한국 언어의 남녀 언어차이
Ⅳ. 참고문헌
한국어 속담에 반영된 여성관9에서는 우선 여성은 비주체적 존재나 사물로 파악되며 때문에 여자는 주인인 남자에 의해 인정받거나 길들여져야 하는 존재이거나 항상 주인이 간수해야 하는 대상으로 파악된다.
개와 여자는 맞아야 길이 든다.
여자하고 개는 길들이기에 달려있다.
여자와 바가지는 내돌리면 깨진다.
또한 전통사회의 속담에 나타나는 여성에 대한 인식은 남성 위주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하나의 부속물(이차적 존재)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예에서는 여자를 사람의 범주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남자는 나이 먹으면 어른이 되고, 여자는 나이 먹으면 여우가 된다.
여자는 사흘에 한번은 맞아야 사람이 된다.
물에 빠진 사람은 건져도, 여자에게 빠진 사람은 못 건진다.
9. 독일어 번역에서 보이는 한국어의 경어법
차현실 ( 1 9 9 9 )에 따르면 한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남편이 아내에게 격식체의 보통 높임‘하오체’를 사용하여 정중하게 말하고, 아내는 남편에게 비격식의 두루높임‘해요체’로 존대법을 쓴다. ‘하오’체는 지체가 높은 어른이나 나이 먹은 아랫사람에게 상대를 존중한다는 의도를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대우법으로 정중하기는 하나, 상대적으로 남편보다 아내의 지위가 낮다는 화용 의미가 함의되어 여성 비하의 어조이다. 아내가 남편에게 말하는 상황에서‘하오’체의 사용실례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부부의 말하기 방식을 총괄할 때, 아내는 주로 남편을 높여 부르고 비격식체의 존대를 사용하는 반면, 남편은 아내를 평대나 아랫 사람 부르는 방식으로 부르면서 비격식의 반말이나 격식체의‘하오’나‘해라’를 사용하고 있다.남편은 아내에게 말을 낮추고 아내는 남편을 높이는 말하기 방식에서의 차등현상은 남성보다 낮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 혹은 여성 비하 인식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본다.
절망에 빠진 알크메네는 이제는“너”라는 상대적인 2인칭의 말장난에 희생양이
된다. 사실을 확인하고 싶어하는 알크메네에게 제우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유피터: 네게 지금 다가가는 모든 것은 암피트리온이다.
알크메네: 아 나의 낭군이시여! 말씀해 주세요!
당신이었나요, 아닌가요? 아, 말씀하세요, 당신이었죠!
유피터: 나였소. 그게 누구이건 간에. 진정하시오.
당신이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만진 것은 나였소.
J u p i t e r : [...] alles, Was sich dir nahet, ist Amphiryon.
A l k m e n e : O mein Gemahl! Kannst du mir gutig sagen,
Warst dus, sarst du es nicht? O Sprich! du warsts!
J u p i t e r : Ich wars. Seis wer es wolle. Sei - sei ruhig.
Was du gesehen, gefuhlt, gedacht, empfunden,
War ich [...] (1262-1268)
여기서 보면 독일어에서 알크메네와 쥬피터는 서로 d u z e n을 하지만 번역에서‘-하오’체와‘-해요’체로 구분하고 있다
이보게 친구, 만약에 불길에 사로잡힌 집이 한 채 있다고 하세. 하인이 달려가 주인을 깨울 것일세: ‘주인님 일어나세요! 달아나세요! 집이 불타고 있어요. 발코니에까지 이미 불길이 번졌고, 지붕도 곧 무너질 것 같습니다.’- 이때 주인은 어쩌면 다음과 같이 대꾸할 수도 있을게야. ‘여보게, 자네가 가서 한번 살펴보게나, 밖에 비가 오고 폭풍우가 몰아치는지, 혹은 달빛 그윽한 밤인지를. 만약 아름다운 달밤이라면 우리 밖으로 함께 놀러가세나’
Was meinst du, Freund, wenn da ein Haus ware, das vom Feuer erg r i ffen wurde, und der Diener liefe, den Herren zu wecken: 'Steh auf, Herr! Flieh! Das Haus brennt! Schon flammen Balken, und das Dach will sturzen' - wurde wohl dann der Herr erwidern:'Geh, mein Lieber, und sieh nach, ob es drauBen regnet und sturmt, oder ob eine liebliche Mondnacht ist; und ist letzteres der Fall, dann wollen wir uns ins Freie b e g e b e n '
부부의 대화에서 남편과 아내의 어투를 서로 다른 격식체를 사용함으로써 남편과 아내의 지위가 다름을 드러내 보이는 번역투는 바로 이러한 위의 인용문에서처럼 그 어투가 하인과 주인의 어투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도 독일어의 원문은 하인과 주인이 같은 친칭d u z e n을 쓰고 있으나, 인물 설정에 따라 신분차이를 드러내는 다른 어투를 선택하고 있다.
Ⅲ. 결론
남녀의 성에 따라 언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어쩌면 전혀 새로운 사실은 아니다.‘ 성과 언어’를 통한 연구들을 통하여 우리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은 어떻게 대화태도에서 차이가 생겨나며, 어떤 사회화 과정이 여기에 영향을 끼치며, 어떤 연령에서부터 의사소통 태도에서 남자아이들과 여자아이들의 차이가 보이기시작하며, 이러한 차이가 이미 어린아이들에게서 성 특징적 언어습득의 과정으로 주어져있는가 하는 것 등이다. 언어에 반영되어 있는 남녀 차이의 인정을 통해 이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새로이 인식하게 되는 그 인식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천현숙> 성과 언어 힘의 지위 효과 비교
최명원> 언어와 성
네이버사전> 언어의 정의
*목차
Ⅰ. 서론
-언어와 언어 공동체
Ⅱ. 본론
1.사회적 지위와 언어와의 상관관계
2.언어의 힘에 대한 이론적 배경
3.언어의 힘 선행연구
4.성에 따른 언어변화의 배경
5.언어 힘, 성, 지위의 관계
6.여성의 과점에서 본 성과 언어
7.젠더와 섹스 성 구분언어
8.인칭지시 관계에 따른 대화어법
9.독일어 번역에서 보이는 한국어의 경어법
Ⅲ. 결론
- 한국 언어의 남녀 언어차이
Ⅳ.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언어와 문학(탈춤 언어의 유희성-숫자놀이를 중심으로)
중국내 조선족의 법적지위
각 발달이론가들의 관점비교, 분석, 비판-언어발달영역 중심으로
남녀간 인식차이의 원인과 그 구체적 모습 - 사랑표현방법, 말하는 방식, 신체언어, 성교에 ...
인터넷언어(채팅언어) 특징, 인터넷언어(채팅언어) 사용원인, 인터넷언어(채팅언어) 사용실태...
남북한언어(남북언어, 남북한말)의 정의와 변화, 남북한언어(남북언어, 남북한말)의 맞춤법과...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성격,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 이론적방법, 유아언어교육(...
유아언어지도(유아언어교육)의 요소, 유아언어지도(유아언어교육)의 환경구성원리, 유아언어...
성차별(여성차별, 남녀차별)과 문화, 언어, 성차별(여성차별, 남녀차별)과 동화, 성차별(여성...
[언어지도] <언어> 언어의 개념 과 언어의 특성 및 언어의 유형, 말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방법에 대하여 예를 논하라 (영유아 언...
[언어지도] 유아의 음성언어 발달과정(또는 문자언어 발달과정)을 기초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
[유아언어발달] 유아 언어 발달 이론 중 자신이 생각하는 언어발달 이론에 대해 설명하시고 ...
영유아기 언어지도 개념 및 방법에 대해 음성언어(듣기, 말하기) 및 문자언어(읽기, 쓰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