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 속 여성 찾기 - 유교사상이 여성인식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여성 속담에 나타난 의식구조
1) <의존>속담에 나타난 의식
2) <질투>속담에 나타난 의식
3) <수다>속담에 나타난 의식
4) <미모>속담에 나타난 의식
5) <불운/파괴>속담에 나타난 의식
6) <미숙>속담에 나타난 의식
7) <표독>속담에 나타난 의식
8) <구타>속담에 나타난 의식
9) <시집살이>속담에 나타난 의식

3. 맺음말

본문내용

가 더 맵더라>이 말은, 이것은 그른 말이 아니다. 한국의 여성들이 경험을 통해 얻은 삶의 진리다. 시집살이는 복종의 삶이다. 이것은 곧 명령을 거역하지 않고 그대로 따르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시어머니의 명령은 무서웠다. 한쪽은 일방적으로 시키는 입장이었고, 한쪽은 명령에 순응해야 하는 입장이었다. 시어머니도 며느리 시절이 있었건만, 과거를 회상하며 며느리의 입장을 이해하거나 대변하지 않는다.
여자가 시집을 가서 아내와 며느리로 그 존재적 가치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아들낳기’ 때문이었다. 시집을 간 것은 한 집안의 대를 잇기 위한 아들을 낳기 위해서였다. 아들을 낳아야만이 비로소 아내와 며느리로 인정을 받았던 것이다.
전통적으로 가정은 여성의 영역이었다. 이 폐쇄 공간에서 시어머니는 며느리를 마음대로 부려먹었다. 의식주 모든 면에서 며느리가 해야 할 일들은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새벽 일찍 일어나 밤 늦도록 쉬지 않고 일을 해야 했다. 과거 윌 여성들에 있어서 삼베와 모시 짜기는 가사노동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목화가 들어오기 전까지의 무명이나 명주실의 생산 과정은 비교적 손쉬웠던 데 비해서 삼베나 모시실을 만들려면 양손, 입, 무릎을 이용해야 했으므로 힘이 많이 들었다. 여성들은 무명 명주, 삼베, 모시 등의 원료를 재배하여 농사일이 끝난 저녁 시간을 이용하여 잠을 쫓아가며 옷감을 짜서 가족들의 의복을 책임졌던 것이다. 이배용,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청년사, 1999, 133쪽.
3. 맺음말
속담은 민족의 정신적 사고방식을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에 한 민족을 알려면 그 민족의 속담을 이해하는 것이 지름길이 된다.
한국의 전통가정은 아버지를 가장으로 하는 수직구조를 파악된다. 가장의 가족성원에 대한 지배를 지지하는 체계는 가부장제로서 이러한 지배는 구체적으로 남성들간의 위계관계, 남성의 여성지배로 나타난다. 따라서 가부장제는 남성의 여성억압체계라고 할 수 있다.
남성 중심의 유교사상은 오랜 동안 우리 민족의 사고방식에 영향을 끼쳤으며, 이것은 행동방식을 통해 그대로 나타났다. 여성은 유교의 최대 희생자였다. 이들은 엄청난 성차별의 중압감에 시달려야 했으며, 인간의 존엄성을 박탈당한 채 살아왔다. 이러한 사회에서 기대할 수 있는 사고방식은 부정적인 여성관뿐이다. 방운규, 「여성 관련 속담에 나타난 한국인의 의식구조」, 『겨레어문학』32, 2004, 79쪽.
남존여비 사상은 여성 속담에 그대로 녹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여성의 역할을 집안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여성을 소유의 개념으로 파악하며, 여성에 대한 폭력을 당연시하고, 여성의 특징을 부정적이고 무가치한 것으로 단정하고 있다. 또한 여성을 독립된 인격체로서 인정하고 않고 남성에 종속된 미성숙한 개체로 받아들이려고 하는 사회적 정신구조가 존재하고 있다. 아울러 여성에게 요구하는 모범은 수동적, 소극적인 것을 선으로 규정하려는 사회적 편견도 확인할 수 있다.
속담에 나타난 이와 같은 여성억압과 여성차별은 우리의 여성관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점에 있어서 자못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부정적인 여성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가치라고는 할 수 는 없지만, 우리의 여성관을 있는 그대로 보여 줌으로써 왜곡된 의식을 바로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보면 더욱 그렇다. 방운규, 위의 논문, 79쪽.
한 시대, 한 사회의 문학작품 속에서는 그 당신의 사회 의식적 산물이 녹아들어있다. 바로 그 문학을 구성하는 문장 속에 사회가 있고 사람들의 의식과 습관, 행동 등이 담겨 있는 것이다. 그러한 의식을 함축하고 있는 것이 바로 속담이다. 따라서 과거로부터 전해오는 속담을 보고는 당시 팽배했던 사람들의 의식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여성과 관련된 속담을 찾아보면서 터무니없이 비합리적인 여성에 대한 편견을 만날 수 있었다. 그 속담들이 지금까지 널리 쓰인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지만 아직까지 존재하고 은연중에 사용하는 속담은 분명히 존재한다.
언어는 사회를 반영한다. 그것은 분명한 진리이자 우리 눈앞에 이렇게 펼쳐진다.
*목차
1. 머리말
2. 여성 속담에 나타난 의식구조
1) <의존>속담에 나타난 의식
2) <질투>속담에 나타난 의식
3) <수다>속담에 나타난 의식
4) <미모>속담에 나타난 의식
5) <불운/파괴>속담에 나타난 의식
6) <미숙>속담에 나타난 의식
7) <표독>속담에 나타난 의식
8) <구타>속담에 나타난 의식
9) <시집살이>속담에 나타난 의식
3. 맺음말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07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3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