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봉제의 개념
1) 연봉제의 장점
2) 연봉제의 단점
2. 실태와 문제점
1) 우리나라 연봉제의 실태
2) 우리나라 연봉제의 문제점
3. 우리나라의 연봉제 사례 (동양제과)
1) 동양제과 연봉제의 도입 배경 및 과정
2) 동양제과 연봉제의 특징
3) 동양제과 평가제도의 특징
4) 동양제과의 연봉제 실시 결과
4. 연봉제 개선방향
1) 연봉제의 장점
2) 연봉제의 단점
2. 실태와 문제점
1) 우리나라 연봉제의 실태
2) 우리나라 연봉제의 문제점
3. 우리나라의 연봉제 사례 (동양제과)
1) 동양제과 연봉제의 도입 배경 및 과정
2) 동양제과 연봉제의 특징
3) 동양제과 평가제도의 특징
4) 동양제과의 연봉제 실시 결과
4. 연봉제 개선방향
본문내용
불만이 매우 높았으나 연봉제 도입으로 승진보다는 성과를 강조하게 됨에 따라 승진누락자의 불만 이 크게 완화되었다.
4. 연봉제 개선방향
1) 연봉제가 임금관리의 효율성이나 생산성 향상에는 성과가 크지만 인건비 절감이나 인력 조정의 유연성 제고 효과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연봉제 도입 전에 연봉제의 특질과 효용, 실시목적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2) 국내기업 경우 아직까지는 도입초기라 정밀한 직무분석평가에 기초한 직무내용보다 비노조원 위주로 적용대상범위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봉제의 적용대상 범위는 직무 내용에 따라 합리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3) 능력실적위주의 인사관리체계와 조직문화 형성해야 한다. 기존 연공서열형 인사관리 체계와 조직문화를 능력실적위주로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임금체계만 연봉제로 전환 하게 되면 연봉제가 실질적으로 효과를 거두기는 어렵다.
4) 국내 기업의 임금체계가 연봉제로 급속히 전환되는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노동법제 의 임금관련조항에 대한 전면적인 손질이 필요하다.
5) 기존 연공급개념에 기초하여 설계된 노동관련 법률의 각종 임금 관련 조항을 연봉제, 능력급제를 반영하여 재편해야 한다.
4. 연봉제 개선방향
1) 연봉제가 임금관리의 효율성이나 생산성 향상에는 성과가 크지만 인건비 절감이나 인력 조정의 유연성 제고 효과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연봉제 도입 전에 연봉제의 특질과 효용, 실시목적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2) 국내기업 경우 아직까지는 도입초기라 정밀한 직무분석평가에 기초한 직무내용보다 비노조원 위주로 적용대상범위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봉제의 적용대상 범위는 직무 내용에 따라 합리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3) 능력실적위주의 인사관리체계와 조직문화 형성해야 한다. 기존 연공서열형 인사관리 체계와 조직문화를 능력실적위주로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임금체계만 연봉제로 전환 하게 되면 연봉제가 실질적으로 효과를 거두기는 어렵다.
4) 국내 기업의 임금체계가 연봉제로 급속히 전환되는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노동법제 의 임금관련조항에 대한 전면적인 손질이 필요하다.
5) 기존 연공급개념에 기초하여 설계된 노동관련 법률의 각종 임금 관련 조항을 연봉제, 능력급제를 반영하여 재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