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구
1) 외막(outer coat)
(1) 각막(cornea)
(2) 공막(sclera)
2) 중막(middle coat)
2. 안부속기(accessory organ)
1) 안와(orbit)
2) 안검(eyelid)
3) 결막(conjunctiva)
4) 누기(lacrimal apparatus)
1) 외막(outer coat)
(1) 각막(cornea)
(2) 공막(sclera)
2) 중막(middle coat)
2. 안부속기(accessory organ)
1) 안와(orbit)
2) 안검(eyelid)
3) 결막(conjunctiva)
4) 누기(lacrimal apparatus)
본문내용
이 합쳐져서 누낭의 외벽에 연결된다.
누낭은 안와연의 비측, 전후누낭능 사이의 누낭와 내에 있는 주머니로 외측벽에 누소관이 연결되고 밑으로 좁아지면서 비루관이 된다. 비루관은 약 15~24mm로 하비강의 외벽에 개통된다. 이 관의 방향은 내안각과 같은 측의 비익을 연결하는 선과 일치한다.
눈물의 기능은 결막낭 내의 습기를 보존하여 건조를 방지하며, 각막의 건조를 방지하고 각막에 산소를 공급한다. 그리고 누액 속에는 리소자임(lysozyme)이라는 효소가 있어 결막낭 내의 세균을 분해 또는 증식을 억제하며, 안검과 안구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기능도 한다. 눈을 감거나 수면을 취할 때, 눈물의 분비는 없다.
5) 외안근(extraocular muscle)
안구를 움직이는 주요 근육은 네 개의 직근과 두 개의 사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근에는 내직근, 외직근, 상직근, 하직근이 있고, 사근에는 상사근과 하사근이 있다. 직근의 길이는 약 40mm이고, 각막윤부로부터 4~9mm에 부착되어 있다.
외안근의 신경 지배를 보면 동안 신경(제3 뇌신경)은 내직근, 상직근, 하직근 및 하사근을 지배하고, 외향 신경(제6 뇌신경)은 외직근을, 활차 신경(제4 뇌신경)은 상사근을 지배한다. 외안근에서 혈액 공급은 안동맥이 담당하며, 내직근상직근하직근은 두 개의 전모양동맥이 있고, 외직근에는 한 개의 전모양동맥이 분포되어 있다.
안근의 기능으로 직근은 안구의 수직과 수평 운동, 폭주와 개산 운동을, 사근은 안구의 회전운동을 하고, 내직근과 외직근의 안쪽에 있는 제어인대가 안구의 과도한 운동을 제어하는 구실을 한다.
누낭은 안와연의 비측, 전후누낭능 사이의 누낭와 내에 있는 주머니로 외측벽에 누소관이 연결되고 밑으로 좁아지면서 비루관이 된다. 비루관은 약 15~24mm로 하비강의 외벽에 개통된다. 이 관의 방향은 내안각과 같은 측의 비익을 연결하는 선과 일치한다.
눈물의 기능은 결막낭 내의 습기를 보존하여 건조를 방지하며, 각막의 건조를 방지하고 각막에 산소를 공급한다. 그리고 누액 속에는 리소자임(lysozyme)이라는 효소가 있어 결막낭 내의 세균을 분해 또는 증식을 억제하며, 안검과 안구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기능도 한다. 눈을 감거나 수면을 취할 때, 눈물의 분비는 없다.
5) 외안근(extraocular muscle)
안구를 움직이는 주요 근육은 네 개의 직근과 두 개의 사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근에는 내직근, 외직근, 상직근, 하직근이 있고, 사근에는 상사근과 하사근이 있다. 직근의 길이는 약 40mm이고, 각막윤부로부터 4~9mm에 부착되어 있다.
외안근의 신경 지배를 보면 동안 신경(제3 뇌신경)은 내직근, 상직근, 하직근 및 하사근을 지배하고, 외향 신경(제6 뇌신경)은 외직근을, 활차 신경(제4 뇌신경)은 상사근을 지배한다. 외안근에서 혈액 공급은 안동맥이 담당하며, 내직근상직근하직근은 두 개의 전모양동맥이 있고, 외직근에는 한 개의 전모양동맥이 분포되어 있다.
안근의 기능으로 직근은 안구의 수직과 수평 운동, 폭주와 개산 운동을, 사근은 안구의 회전운동을 하고, 내직근과 외직근의 안쪽에 있는 제어인대가 안구의 과도한 운동을 제어하는 구실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