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s- windows 개발자.
- 스티븐 스필버그 [Steven Spielberg] : 미국역사상 최고의 흥행감독. 죠스, ET, 쉰들러리스트, 인디아나 존스, 쥬라기 공원 등의 감독
- 토마스 에디슨 [Edison, Thomas Alva] : 미국이 나은 세계적인 발명왕. 전구, 전신기, 영사기, 축음기의 발명자
- 마이어 로스차일드 [Rothschild] : 세계적인 갑부그룹 로스차일드의 창시자. 런던과 파리 등 유럽의 금융과 부동산 시장의 큰손. 감각적인 투자로 유명.
- 록펠러 [Rockefeller, John Davison] : 미국의 석유왕. 1863년 부업으로 클리블랜드에 정유소를 설립한 것이 번창하여 한때 미국 내 정유소의 95%를 지배했음. 사회사업에도 많은 기여를 한 업적이 있음.
- 안네 프랑크 [Anne Frank : 독일 출신의 유대인 소녀. 안네의 일기의 저자. 2차대전중 독일의 어느 유대인 수용소에서 언니와 함께 장티푸스에 걸려 짧은 일생을 마감.
- 지그문트 프로이트 [Freud, Sigmund] : 오스트리아의 신경과 의사로 정신분석의 창시자. 1900년 발표한 그의 저서 '꿈의 해석'은 현대 정신, 신경학계의 기원으로 여겨짐. 엘렉트라 콤플렉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이론을 세운 학자.
- 엘빈 토플러 [Toffler, Alvin] : 미국의 미래학자겸 저널리스트로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미래의 충격', '제3의 물결', '권력 이동' 등을 저술한 권위있는 학자. 뉴욕대학교, 마이애미대학교 등 5개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고, 코넬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
이외에도 유럽의 상류층 사람들과 미국의 역대 대통령을 비롯한 지도자들의 상당수가 유태인의 피가 섞인 사람들 이라고 한다.
처음 과제를 작성하기 위해서, 여러 관련서적들을 찾아보았다. 우선 이스라엘의 교육이라 했을 때, 생각나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유대민족의 민족성과 탈무드를 비롯한 영재교육을 생각했다. 그래서 현대적인 느낌과 방식의 영재교육을 생각하고 자료를 찾아보려고 했으나, 이스라엘의 교육은 내가 생각하는 것과는 많이 달랐다. 우선 이스라엘의 민족은 유대인이다. 물론 이스라엘의 공식적인 국교는 이스라엘이다. 하지만 다른 지역과 다른 이스라엘만의 다른 특징으로 꼽은 교육은 유대인의 하나님, 여호와에서 모은 것이 비롯되었던 것이다. 그들은 그들의 삶, 존재, 교육 모든 것이 하나님 안에서 이루어진다고 믿는다. 그들의 교육이라 했을 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공부하는 특별한 학습법이 아니다. 그들의 교육은 인생전반에 걸친 것 이었다. 태어나면서부터 이들 생활과 사고방식을 지배하는 신본주의가 이스라엘교육의 특성에 그대로 반영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모든 것의 처음과 끝은 이 신본주의에서 시작되고 끝을 맺는다. 그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성경의 구약성서의 말씀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래서 이들이 어렸을 때부터 배우는 것은 토라와 탈무드이다. 전통적인 유대인 가정의 자녀들은 어머니의 근원적인 사랑과 제사장이자 교사인 아버지의 테두리 속에서 철저히 종교적인 생활패턴을 따라 생활하고 교육받는다. 그래서 고난의 역사를 짊어지고 세계 곳곳으로 흩어져 생활하던 유대인들은 이스라엘의 국가 성립과 함께 자신들의 근원을 잊지 않고, 점차 모여들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느끼는 점은 자신들의 뿌리에 대한 깊은 성찰과 자자손손 내려오는 잘 마련된 교육이 이들을 세계 곳곳에 떨어져 있었지만, 시, 공간에 상관없이 이들을 연결해 주는 끝인 것 같다. 우리나라는 요즘 영재바람이 불어, 일부 부모들이 어린아이들을 어렸을 때부터 어린아이의 성장에 맞지 않는 무리한 교육을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영재 붐과 더불어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유대인의 교육법이 이야기 거리가 되고 있지만, 실상 그들의 교육법은 우리가 생각하는 지식교육이 아니라, 지혜와 성경말씀과 자신들의 뿌리에 관한 것이었다. 세계적으로 노벨상을 가장 많이 배출한 이스라엘민족은 자신들이 진정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혹독한 역사적, 자연적 시련을 거치며 찾아냈다. 그것은 사람을 키우는 것이었다. 이스라엘의 교육은 이스라엘의 자원이자, 생존전략이었다. 이것이 이스라엘의 교육이다.
<참고문헌>
이스라엘 민족의 지혜/류태영/한국, 이스라엘 친선 협회
이스라엘 사/최창모/대한교과서주식회사
IQ는 아버지, EQ는 어머니 몫이다(1)/현용수/국민일보사
IQ는 아버지, EQ는 어머니 몫이다(2)/현용수/국민일보사
- 스티븐 스필버그 [Steven Spielberg] : 미국역사상 최고의 흥행감독. 죠스, ET, 쉰들러리스트, 인디아나 존스, 쥬라기 공원 등의 감독
- 토마스 에디슨 [Edison, Thomas Alva] : 미국이 나은 세계적인 발명왕. 전구, 전신기, 영사기, 축음기의 발명자
- 마이어 로스차일드 [Rothschild] : 세계적인 갑부그룹 로스차일드의 창시자. 런던과 파리 등 유럽의 금융과 부동산 시장의 큰손. 감각적인 투자로 유명.
- 록펠러 [Rockefeller, John Davison] : 미국의 석유왕. 1863년 부업으로 클리블랜드에 정유소를 설립한 것이 번창하여 한때 미국 내 정유소의 95%를 지배했음. 사회사업에도 많은 기여를 한 업적이 있음.
- 안네 프랑크 [Anne Frank : 독일 출신의 유대인 소녀. 안네의 일기의 저자. 2차대전중 독일의 어느 유대인 수용소에서 언니와 함께 장티푸스에 걸려 짧은 일생을 마감.
- 지그문트 프로이트 [Freud, Sigmund] : 오스트리아의 신경과 의사로 정신분석의 창시자. 1900년 발표한 그의 저서 '꿈의 해석'은 현대 정신, 신경학계의 기원으로 여겨짐. 엘렉트라 콤플렉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이론을 세운 학자.
- 엘빈 토플러 [Toffler, Alvin] : 미국의 미래학자겸 저널리스트로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미래의 충격', '제3의 물결', '권력 이동' 등을 저술한 권위있는 학자. 뉴욕대학교, 마이애미대학교 등 5개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고, 코넬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
이외에도 유럽의 상류층 사람들과 미국의 역대 대통령을 비롯한 지도자들의 상당수가 유태인의 피가 섞인 사람들 이라고 한다.
처음 과제를 작성하기 위해서, 여러 관련서적들을 찾아보았다. 우선 이스라엘의 교육이라 했을 때, 생각나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유대민족의 민족성과 탈무드를 비롯한 영재교육을 생각했다. 그래서 현대적인 느낌과 방식의 영재교육을 생각하고 자료를 찾아보려고 했으나, 이스라엘의 교육은 내가 생각하는 것과는 많이 달랐다. 우선 이스라엘의 민족은 유대인이다. 물론 이스라엘의 공식적인 국교는 이스라엘이다. 하지만 다른 지역과 다른 이스라엘만의 다른 특징으로 꼽은 교육은 유대인의 하나님, 여호와에서 모은 것이 비롯되었던 것이다. 그들은 그들의 삶, 존재, 교육 모든 것이 하나님 안에서 이루어진다고 믿는다. 그들의 교육이라 했을 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공부하는 특별한 학습법이 아니다. 그들의 교육은 인생전반에 걸친 것 이었다. 태어나면서부터 이들 생활과 사고방식을 지배하는 신본주의가 이스라엘교육의 특성에 그대로 반영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모든 것의 처음과 끝은 이 신본주의에서 시작되고 끝을 맺는다. 그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성경의 구약성서의 말씀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래서 이들이 어렸을 때부터 배우는 것은 토라와 탈무드이다. 전통적인 유대인 가정의 자녀들은 어머니의 근원적인 사랑과 제사장이자 교사인 아버지의 테두리 속에서 철저히 종교적인 생활패턴을 따라 생활하고 교육받는다. 그래서 고난의 역사를 짊어지고 세계 곳곳으로 흩어져 생활하던 유대인들은 이스라엘의 국가 성립과 함께 자신들의 근원을 잊지 않고, 점차 모여들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느끼는 점은 자신들의 뿌리에 대한 깊은 성찰과 자자손손 내려오는 잘 마련된 교육이 이들을 세계 곳곳에 떨어져 있었지만, 시, 공간에 상관없이 이들을 연결해 주는 끝인 것 같다. 우리나라는 요즘 영재바람이 불어, 일부 부모들이 어린아이들을 어렸을 때부터 어린아이의 성장에 맞지 않는 무리한 교육을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영재 붐과 더불어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유대인의 교육법이 이야기 거리가 되고 있지만, 실상 그들의 교육법은 우리가 생각하는 지식교육이 아니라, 지혜와 성경말씀과 자신들의 뿌리에 관한 것이었다. 세계적으로 노벨상을 가장 많이 배출한 이스라엘민족은 자신들이 진정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혹독한 역사적, 자연적 시련을 거치며 찾아냈다. 그것은 사람을 키우는 것이었다. 이스라엘의 교육은 이스라엘의 자원이자, 생존전략이었다. 이것이 이스라엘의 교육이다.
<참고문헌>
이스라엘 민족의 지혜/류태영/한국, 이스라엘 친선 협회
이스라엘 사/최창모/대한교과서주식회사
IQ는 아버지, EQ는 어머니 몫이다(1)/현용수/국민일보사
IQ는 아버지, EQ는 어머니 몫이다(2)/현용수/국민일보사
추천자료
유대시대의 교육
탈무드를 읽고
특수 학급 경영 원리
[종교][종교의 본질][종교의 배타성][종교의 문화][종교의 현황][세속적 종교][민족주의]종교...
[성서][성경][교리신조][선교][토지사상][종의 기원]성서(성경) 교리신조, 성서(성경)의 선교...
학교 팽창과 특성, 문제점(
주 교재 청소년학개론(교육과학사) 청보충교재 하나님의 지우개(최낙중 저)를 읽고 기독교적 ...
[기독교교육론] 여호수아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여호수아의 생애, 영적 리더십의 형성...
[기독교교육론] 다윗의 영적 지도력에 관한 연구 - 다윗의 생애, 다윗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
[기독교교육론] 사무엘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사무엘의 출생과 생애, 영적 리더십의 소...
[기독교교육론] 솔로몬의 영적 지도력에 관한 연구 (솔로몬의 생애, 영적 리더십의 원천, 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_2013-1_여성교육론] 여성에 대한 인식은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가 '여성...
구약성서의 주요 사건 33건 - 구약의 주요 메시야 예언구절 33절 [구약성경연구, 기독교교육]
[국제정책 및 통상갈등]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국가간, 다국적 기업간, 또는 남북간 갈등(예: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