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조조

2. 본론
1) 싸우는 족족 이긴다!
2) 중국 고시를 논함에 조(曹) 3부자를 빼놓지 말라
3) 능수능란한 정치 수완
4) 아들마저 천하쟁패의 희생물로-냉혹한 현실주의자

3. 결론
- 역적인가, 혁명가인가?

*註

본문내용

이 여린 탓에 손해를 적게 보았기 때문에, 그는 난세에서 살아남았고, 시대의 흐름을 이끌어 가는 주역이 되었다.
‘시대는 영웅을 만들고, 영웅은 시대를 만든다.’ 후한 말의 난세가 조조라는 영웅을 낳았고, 그는 자신의 뜻대로 역사를 개척해 나갔다. 그의 성공은 시대의 요구였던 것이다.
*註
(1) 조조는 전쟁터에서 시를 즐겨 썼다. 그 대표적인 일화로, 적벽대전 직전에 유비와 손권을 조롱하며 지었다는 시 한수가 전한다. 이 시 이외에도 조조는 전쟁터에서 많은 작품을 지었다.
‘호리행’, ‘단가행’ 등의 작품은 일종의 종군가(從軍歌)라고 할 수 있다.
(전략)
달은 밝고 별은 드문데
까마귀와 까치는 남으로 나는구나
나무를 세번 둘러보아도
의지할만한 가지가 없구나
(후략)
(2)중평 : 후한 영제가 사용한 연호. 연호란 임금이 임금의 자리에 있었던 기간 동안에 붙이는 칭호를 말한다. 일례로 광개토대왕의 연호는 영락이다. 연호를 사용한다는 것은 황제만이 할수 있는 특권이다. 때문에 황제보다 지위가 낮은 왕에 불과했던 조선의 임금들은 연호를 사용하지 못하고 중국의 연호를 사용했으며 ‘세종 23년’과 같은 식으로 연도를 지칭했다. 조선왕조에서 연호를 사용했던 임금은 두 명으로, 황제에 즉위했던 고종(연호는 광무(光武))황제와 순종(연호는 융희(隆熙))황제 뿐이었다.
(3) 손, 오 : 손은 손무를 말하며, 오는 오기를 말한다. 손무는 춘추시대 오나라의 전략가로 , 흔히들 손자라고 부르는 인물이다. 저서로 병법서인 <손자병법>이 있다. 오는 전국시대 최고의 전략가인 오기를 말한다. 행동이 경망스러운 경향이 있어, 군주를 여러번 바꾸었다고 한다.
(4)유주, 기주, 병구, 청주 : 진나라 이후 중국의 왕조들은 군현제를 실시했다. 한나라도 마찬가지로 , 천하를 13개의 주로 나누었는데 , 유주, 기주, 병주, 청주, 연주, 예주, 양주, 형주, 익주, 양주, 교주, 서주, 옹주이다
(5)승상 : 오늘날의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직책으로, 황제 다음의 실력자이다.
(6) 대사마 : 오늘날의 국방장관에 해당하나, 군대를 자유롭게 부릴 수 있다는 점에서 대통령이 가지고 있는 군 통수권도 지니고 있는 막강한 자리이다. 대장군이라고도 불리운다.
(7)환관 : 내시라고도 불리우며, 궁중에서 거주하며 황족, 혹은 황족들을 보좌하는 사람들이다. 대궐에서 궁녀들과 관계를 맺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모두 성불구자들로 구성되었다. 중국의 경우엔 환관들이 황제의 총애를 입어 국가를 망친 경우가 허다하다. 진나라의 조고, 한나라의 십상시, 촉한의 황호 등이 모두 환관이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엔 환관, 즉 내시가 정권을 잡은 경우가 없는데, 그것은 중국사에서 얻은 교훈으로 환관을 중용하지 않았던 역대 왕조의 노력 때문이 아닌가 한다.
*목차
1. 서론
조조
2. 본론
1) 싸우는 족족 이긴다!
2) 중국 고시를 논함에 조(曹) 3부자를 빼놓지 말라
3) 능수능란한 정치 수완
4) 아들마저 천하쟁패의 희생물로-냉혹한 현실주의자
3. 결론
- 역적인가, 혁명가인가?
*註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0.15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5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