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향수란?
-(1) 향수의 어원과 유래
-(2) 향수의 원료
-(3) 향수의 분류
-(4) 향수의 제조 방법·종류
-(5) 향기의 특징
-(6) 향수의 사용 시 유의사항과 보관법
3. 향수시장
-(1) 미국의 향수 시장
-(2) 우리나라 향수 시장 (에스쁘아)
-(3) 발전하는 국내 향수 시장
4. 결론
*참고문헌
2. 향수란?
-(1) 향수의 어원과 유래
-(2) 향수의 원료
-(3) 향수의 분류
-(4) 향수의 제조 방법·종류
-(5) 향기의 특징
-(6) 향수의 사용 시 유의사항과 보관법
3. 향수시장
-(1) 미국의 향수 시장
-(2) 우리나라 향수 시장 (에스쁘아)
-(3) 발전하는 국내 향수 시장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아, 백합 등을 주 성분으로 한 상큼하면서도 달콤한 향이 완성됐다. 빠팡에스쁘아는 토종 향수의 인지도를 높이고 대중화시키기 위해 가격은 합리적으로 책정하되 광고 등을 통해 고급스런 이미지를 고수했다. 에스쁘아의 가장 큰 성공비결은 ‘구전 마케팅’에 있었다. 신상품 발표회 대신 99년 출시 기점을 전후로 3억원 상당의 샘플을 신촌 일대에 뿌리는 등 수시로 길거리 마케팅에 나섰다. 이화여대 홍익대 등 6개 대학의 여학생들이 주축이 된 향수 동아리 ‘후각디자이너스’와 인터넷 향수 동아리를 지원하고 온라인 홈페이지(www.espoir.com)를 통해서도 샘플을 무제한 제공했다. 시즌별 고객 이벤트를 끊임없이 개발, 지속적인 관심도 끌었다. 젊은층이 좋아하는 영화나 댄스경연대회 등 각종 행사에 제품 협찬도 아끼지 않았다. 또 향수가 많이 판매되는 시즌인 밸런타인데이나 성년의 날, 크리스마스 등에는 고객을 초청, 파티를 열어 마니아층을 만들어 나갔다. 에스쁘아의 고객층이 두터워지자 태평양은 지난해 향수사업부를 빠팡에스쁘아란 별도 법인으로 분리시켰다. 빠팡에스쁘아는 법인 독립이 이뤄지면서 마케팅을 한층 강화했다. ‘디어 에스쁘아 커플 향수’로 좀더 성숙한 향을 내놓았다. ‘오드 에스쁘아 샤워코롱’ 시리즈로 샤워코롱 공략에도 나섰다. 이와 함께 중국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에 진출, 고급 백화점에서 발매행사를 열고 골프대회를 후원하는 등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섰다. 그때그때에 맞는 시즌 상품 생산, 휴대가 간편한 고체형 향수 등을 개발해 에스쁘아의 붐을 이어갈 계획이다. 국내 향수 소비량이 급격히 늘고 있어 성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이 강하다. 민족마다 좋아하는 향의 종류가 달라서 국가마다 특유의 토종 향수가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다. 미국은 에스티로더, 프랑스는 샤넬, 독일은 랑케스터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에스쁘아가 대표 향수가 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내다보고 있다. 이제 에스쁘아가 국경을 넘어 해외에 진출할 시기가 무르익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5년 내에 중국 시장에서 3위권의 명품 향수로 육성시키겠다는 포부를 품고 말레이시아 홍콩 등의 새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을 갖고 있다.
(3) 발전하는 국내 향수 시장
[업계] 국내 향수, 샤넬No5 눌렀다
국내 토종 향수 브랜드가 샤넬 ‘No5’와 웰라의 ‘구찌엔비’, LVMH의‘로파겐조’ 등 명품 브랜드를 누르고 아시아시장 점유율 3위에 올랐다.
태평양의 자회사인 빠팡 에스쁘아(대표 전용호ㆍ田龍浩)는 다국적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의 ‘2001년 아시아ㆍ태평양 향수 시장점유율 보고서’를 인용, 주력 브랜드인 ‘에스쁘아’가 미국의 ‘에이본’, 프랑스의샤넬 ‘알뤼’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에스쁘아는 1,800억원 규모의 국내시장에서 16.8%의 점유율로 ‘로파겐조’(9.8%)와 ‘헤라’(8.4%), ‘블루로즈마인’(3.3%) 등을 멀찌감치 제쳐 1위에 올랐고, 2조원 규모의 아시아시장에서 점유율이 1.9%를 넘었다. 아시아의 최대 화장품 회사인 일본의 시세이도의 경우 ‘코론 브레이크’ 브랜드가 12위에 오른 것이 최고 성적이다. 전용호 사장은 “1997년 시장조사를 할 때만 해도 국내 여성의 외제 향수 선호도가 100%였을 정도”라며 “신출내기 향수 브랜드로 세계 굴지의향수 메이커와 정면승부하겠다는 생각 자체가 우스운 일 이었다”고 회상했다.
빠팡 에스쁘아는 아시아 여성이 좋아할만한 독특한 향을 개발하고 틈새시장을 철저히 공략하기 시작했다. 시장이 성숙하지 못한 아시아에 향수전문 브랜드가 등장했다는 소문을 듣고는 세계 4대 조향회사로 불리는 스위스 페르미니시사의 향수 전문가들이 자진 참여해 146회의 수정과정을 거쳐 99년 에스쁘아를 탄생시켰다. 신상품 발표회 대신 서울 신촌으로 견본 박스를 들고 나가 ‘길거리 마케팅’이라는 신선한 충격 보여 주었다.
빠팡 에스쁘아는 99년 10월 3억원 상당의 견본을 신촌 일대에 뿌렸고, 이화여대 홍익대 연세대 등 6개 대학의 여학생들이 주축이 된 향수동아리‘후각디자이너스’와 인터넷 향수 동아리를 지원하는 등 전방위 ‘구전(口傳)’ 마케팅을 시도했다. “99년 14억원이었던 매출이 2000년 78억원, 2001년 120억원으로 수직상승하는 대성공을 거뒀다”며 “중국과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내년중 미국, 호주, 홍콩, 말레이시아 등에 새 매장을 여는 등 꾸준히 해외사장을 두드리면 2005년께 아시아 1위도 조심히 내다본다.
4. 결론
미국 시장과 국내 시장을 비교하여 보면 한눈에 들어오는 것이 있다. 미국인들은 보통 향수전문점을 통하여 많이 구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인터넷으로 구매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점으로 보아 국내에는 판매점이 모자라다는 문제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인터넷으로 구매 하면 좀 더 싸고, 한 눈에 여러 물건들을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향을 직접 맡을 수 없다는 것과 반품의 절차가 까다롭고, 곧바로 받아 볼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반면에 직접 구매하는 경우에는 값에 프리미엄이 붙어 가격이 더 오른다는 것과 향수 하나하나의 특징을 잘 알 수 있지만 여러 향수를 한꺼번에 비교해 볼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백화점 입점 등 직영 매장 확충, 방송광고 개시 등 마케팅을 강화하고, 고객만족도를 자주 평가하여 더 나은 제품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회사로만 머물러 있지 않고, 세계투자회사로부터 투자 지원을 받아 독보적인 신기술을 개발하여 시장범위를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로 넓혀나가야 할 것이다.
5. 참고문헌
한국세계대백과사전30, P17576~17577, 1995.
http://www.beauty-mall.co.kr
http://www.naver.com
*목차
1. 서론
2. 향수란?
-(1) 향수의 어원과 유래
-(2) 향수의 원료
-(3) 향수의 분류
-(4) 향수의 제조 방법·종류
-(5) 향기의 특징
-(6) 향수의 사용 시 유의사항과 보관법
3. 향수시장
-(1) 미국의 향수 시장
-(2) 우리나라 향수 시장 (에스쁘아)
-(3) 발전하는 국내 향수 시장
4. 결론
5. 참고문헌
(3) 발전하는 국내 향수 시장
[업계] 국내 향수, 샤넬No5 눌렀다
국내 토종 향수 브랜드가 샤넬 ‘No5’와 웰라의 ‘구찌엔비’, LVMH의‘로파겐조’ 등 명품 브랜드를 누르고 아시아시장 점유율 3위에 올랐다.
태평양의 자회사인 빠팡 에스쁘아(대표 전용호ㆍ田龍浩)는 다국적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의 ‘2001년 아시아ㆍ태평양 향수 시장점유율 보고서’를 인용, 주력 브랜드인 ‘에스쁘아’가 미국의 ‘에이본’, 프랑스의샤넬 ‘알뤼’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에스쁘아는 1,800억원 규모의 국내시장에서 16.8%의 점유율로 ‘로파겐조’(9.8%)와 ‘헤라’(8.4%), ‘블루로즈마인’(3.3%) 등을 멀찌감치 제쳐 1위에 올랐고, 2조원 규모의 아시아시장에서 점유율이 1.9%를 넘었다. 아시아의 최대 화장품 회사인 일본의 시세이도의 경우 ‘코론 브레이크’ 브랜드가 12위에 오른 것이 최고 성적이다. 전용호 사장은 “1997년 시장조사를 할 때만 해도 국내 여성의 외제 향수 선호도가 100%였을 정도”라며 “신출내기 향수 브랜드로 세계 굴지의향수 메이커와 정면승부하겠다는 생각 자체가 우스운 일 이었다”고 회상했다.
빠팡 에스쁘아는 아시아 여성이 좋아할만한 독특한 향을 개발하고 틈새시장을 철저히 공략하기 시작했다. 시장이 성숙하지 못한 아시아에 향수전문 브랜드가 등장했다는 소문을 듣고는 세계 4대 조향회사로 불리는 스위스 페르미니시사의 향수 전문가들이 자진 참여해 146회의 수정과정을 거쳐 99년 에스쁘아를 탄생시켰다. 신상품 발표회 대신 서울 신촌으로 견본 박스를 들고 나가 ‘길거리 마케팅’이라는 신선한 충격 보여 주었다.
빠팡 에스쁘아는 99년 10월 3억원 상당의 견본을 신촌 일대에 뿌렸고, 이화여대 홍익대 연세대 등 6개 대학의 여학생들이 주축이 된 향수동아리‘후각디자이너스’와 인터넷 향수 동아리를 지원하는 등 전방위 ‘구전(口傳)’ 마케팅을 시도했다. “99년 14억원이었던 매출이 2000년 78억원, 2001년 120억원으로 수직상승하는 대성공을 거뒀다”며 “중국과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내년중 미국, 호주, 홍콩, 말레이시아 등에 새 매장을 여는 등 꾸준히 해외사장을 두드리면 2005년께 아시아 1위도 조심히 내다본다.
4. 결론
미국 시장과 국내 시장을 비교하여 보면 한눈에 들어오는 것이 있다. 미국인들은 보통 향수전문점을 통하여 많이 구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인터넷으로 구매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점으로 보아 국내에는 판매점이 모자라다는 문제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인터넷으로 구매 하면 좀 더 싸고, 한 눈에 여러 물건들을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향을 직접 맡을 수 없다는 것과 반품의 절차가 까다롭고, 곧바로 받아 볼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반면에 직접 구매하는 경우에는 값에 프리미엄이 붙어 가격이 더 오른다는 것과 향수 하나하나의 특징을 잘 알 수 있지만 여러 향수를 한꺼번에 비교해 볼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백화점 입점 등 직영 매장 확충, 방송광고 개시 등 마케팅을 강화하고, 고객만족도를 자주 평가하여 더 나은 제품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회사로만 머물러 있지 않고, 세계투자회사로부터 투자 지원을 받아 독보적인 신기술을 개발하여 시장범위를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로 넓혀나가야 할 것이다.
5. 참고문헌
한국세계대백과사전30, P17576~17577, 1995.
http://www.beauty-mall.co.kr
http://www.naver.com
*목차
1. 서론
2. 향수란?
-(1) 향수의 어원과 유래
-(2) 향수의 원료
-(3) 향수의 분류
-(4) 향수의 제조 방법·종류
-(5) 향기의 특징
-(6) 향수의 사용 시 유의사항과 보관법
3. 향수시장
-(1) 미국의 향수 시장
-(2) 우리나라 향수 시장 (에스쁘아)
-(3) 발전하는 국내 향수 시장
4. 결론
5.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