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옥에 대해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옥이란?
1. 한옥의 형성
2. 한옥의 구분

<2> 한옥의 분류
1. 기능적 분류
2. 구조적 분류
3. 지역별 분류

본문내용

. 이러한 장지문들에는 채광을 고려하여 창호지를 발랐는데, 문살은 완자살과 아자살이 대부분이고, 이처럼 문살을 세밀하게 나눈 세 살문은 모두 쌍여닫이, 미닫이 형식으로 되어 있다. 한반도의 북쪽으로 갈수록 문살의 밀도가 낮은 정자문살이 사용되었고, 남쪽으로 갈수록 문살의 밀도가 높은 창살이 사용되었다. 이것은 일조량이 적은 북쪽에서는 보다 많은 빛을 방 안에 들이기 위해, 남쪽에서는 보다 적은 빛을 방 안에 들이기 위해 문에서 종이의 면적과 살의 비율을 달리한 것이다. 문의 종류에는 판장문, 골판문, 맹장지문, 도듬문, 불발기문, 장지문, 분합문, 두껍닫이문 등이 있다.
⑨ 기단 : 전통 가옥에서 우천 시에 빗물이 튀는 것과 땅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피하고 동시에 건물의 군위를 높이기 위하여 건물 밑 부분에 돌을 쌓거나 다른 자재를 써서 쌓아 올린 단인데, 돌로만 쌓기도 하며 기와와 벽돌을 또는 돌과 벽돌을 섞어 쌓기도 한다.
@ 쌓는 재료에 따른 분류
- 토 단 : 조선시대 서민주택의 기단, 흥륜사지
- 토축기단 : 판전으로 백제시대 건축, 익산 왕궁탑
- 전축기단 : 방전이나 기와를 세우거나 눕혀 마무리하는 형식, 부여 군수리 사지, 화 성성곽 포루
- 석축기단 : 판전 또는 막돌 허튼층쌓기로 마무리한 형식, 한국 기단의 주류
@ 단형식의 수에 따른 분류
- 단층기단 : 높이에 관계없이 하나의 층
- 다층묘단 : 층수가 2이상이 되는 것
@ 마감석재의 형태와 층에 따른 분류
- 막돌 허튼층 쌓기 : 봉정사 대웅전, 부석사 석축, 해인사 대장경 판고
- 막돌 바른층 쌓기 : 금산사 미륵전 측면기단
- 다듬돌 허튼층 쌓기 : 도동서원 강당.
- 다듬돌 바른층 쌓기 : 도산서원 전교당
막돌막쌓기 납작돌수평줄눈쌓기 개울돌막쌓기 사고석쌓기
이고석쌓기 상하장대식막돌면석 견치돌빗쌓기 빗쌓기
@ 쌓는 방법에 따른 분류
- 적초식 기단 : 단순하게 돌들을 차곡차곡 쌓는 방법
- 가구식 기단 : 면 위에 긴 돌로 된 지래 석을 눕혀 깔고 그 위에 넓고 평평한 면 석을 세우고 그 사이를 기둥모양의 멍주석을 세우고 그 위에 갑석을 덮어 마감하는 방법
⑩ 초석 : 천연석을 돌 생김새의 굴곡면에 기중을 깎아 맞춰 얹어 놓음으로서 초석과 기둥의 일치감을 주어 견고한 안정감과 자연스런 조화를 주는 막돌 초석과 다듬돌 초석이 있다
@막돌초석(덤벙柱礎) - 조선시대에 많이 사용된 것으로 자연에서 채취한 적당한 크기 의 돌을 그대로 사용 된 것이다.
@다듬돌초석(加工柱礎)
* 원형초석 : 막돌을 가공하여 만든 것, 원형기둥이 서는 부분을 볼록하게 만든 초석
* 방형초석 : 사각기둥을 받도록 만든 초석
* 8각형초석 : 8각형 기둥을 받도록 8각형으로 된 초석.
* 원주형초석: 조선시대의 루건축(樓建築)에 많이 사용되었던 초석으로 초석자체를 민 흘림기둥으로 하고 밑 등을 넓적하게 처리하여 안전하게 한 것이다.
* 방주형초석: 단주형(短柱形)과 장주형(長柱形)이 있다.
⑪ 지붕
* 맞배지붕 : 가장 간단한 형식으로 주심포 양식에 많이 쓰이며 처마 양끝이 조금씩 올라가고 측면은 대부분 노출되는 구조 미를 이루어 수덕사 대웅전, 무위사 극락전, 부석사 조 사당, 개심사 대웅전, 선운사 대웅전등이 있다.
* 우진각지붕 : 지붕면이 전후좌우로 물매를 갖게 된 지붕양식으로 지 붕면 높이가 팔작지붕 보다 높게 되어 있는 해인사 장 경판고 등이 있다.
* 팔작지붕 : 가장 아름다운 구성미를 지닌 지붕으로 곡면이 특이하여 부석사 무량수전, 통도사 불이문등이 있다.
* 사모지붕 : 현존하는 사찰 건축에서는 보기 어려운 구조로 불국사 관 음전, 창덕궁 연경당의 농수전 등이 있다.
* 육모지붕 : 평면이 육각으로 된 지붕으로 경복궁 향원정이 있다.
3. 지역별 분류
(1) 함경도 지방
함경도와 강원도 일대에 분포된 이 형은 부엌-정주간과 방 들의 일부가 "田"자형으로 구성된다. 이를 일명 "田자형 주 택"이라고도 한다. 이형의 특징은 부엌과 정주간 사이에 벽 체가 없이 하나의 커다란 공간을 형성하고 그 옆으로 방들 이 "田자형"을 이루면서 서로 붙어 있고, 또 부엌의 부뚜막과 아궁이는 부엌과 정주간 사이에 자리하게 되어 자연히 부엌바닥과 정주간 바닥 간에는 상당한 높이차가 형성된다. 이 형은 부엌 한쪽에 외양간과 디딜방앗간 등이 놓이고 방들이 서로 벽을 공유하면서 서로 맞붙어 있는 것은 추운 지방의 기후적인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함이다. 또 같은 원인으로 "대청"이 설치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2) 평안도 지방
평안도와 황해도 북부의 일부지방에 분포된 형으로 부엌과 방들이 [一]자형으로 구성되어 "一자형"이라고도 한다. 또 부 엌과 방 두개가 연속으로 구성되어 "삼간형(三間形)"이라고도 하며, 남부지방의 가난한 서민주택들이 이 형을 많이 채택하기 때문에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되므로 "일반형"으로 분류한 학자들도 있다. 평안도나 황해도의 서민주택들은 일반적으로 몸채를 "一자형"으로 하고 여기에 따로 광, 외양간, 측간 등이 하나의 채로 구성하여 부속 채를 이루게 된다.
(3) 중부 지방
황해도 남부와 경기도, 충청도 일대의 중부지방에는 "ㄱ자형"이 분포되는데, 평면이 "ㄱ자"모양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는 "서울지방형"과 같은 "ㄱ자형"이나 부엌과 안방의 방향이 중부 형에서는 남향이고, 서울 지방형에서는 동서향이 되는 것이 다르다.
(4) 남부 지방
부엌, 방, 대청마루, 방이 일렬로 구성되기 때문에 "一자형"이라 고도 한다. 서민주택 중 비교적 여유가 있는 집에서는 일자형 몸 체 이외에 광, 헛관, 외양관, 측간 등으로 구성된 부속채가 별도 로 세워진다.
(5) 제주도 지방
제주도라는 특정지역인 섬에 분포된 형으로 그 중앙에 대청마루인 상방을 두고 이의 서 측 으로 부엌과 작은 구들, 동측으로 큰 구들과 고팡을 배치하였다. 큰 구 들은 부모들이, 작은 구들은 자녀들의 공간이고, 부엌의 부뚜막은 작은 구들 쪽과 반대되는 위치에 두어 취사시의 열이 방에 들지 않도록 한 다. 또 큰 구들과 작은 구들의 구들 고래들은 방 전체의 3분의 2 정도만 깔리는 것이 특징이다. 또 고팡은 물건을 보관하는 수장고인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0.1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