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들의 구들 고래들은 방 전체의 3분의 2 정도만 깔리는 것이 특징이다. 또 고팡은 물건을 보관하는 수장고인 것이다. <1> 한옥이란?
1. 한옥의 형성
2. 한옥의 구분
<2> 한옥의 분류
1. 기능적 분류
2. 구조적 분류
3. 지역별 분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성한다. 또한 우주를 안으로 조금 쏠리게 세워 건물이 좌우로 쓰러지게 보일 것을 미리 교정하였다.
- 대청 : 큰 마루라는 의미로 거의 모든 한옥에는 마루칸이 마련되어있다. 보통은 4칸대청이지만 큰 대청은 6칸 대청도 있다. 6칸 대청이란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옥의 민가
민가의 구조와 공간구성 및 조형 형식은 지역성과 시간성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된다. 즉 지리지세와 지질 및 기후의 자연 조건과 사회제도, 문화 수준, 생활양식, 풍습 등 민족성의 인문 조건이 서서히 조심성 있게 민가의 형성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옥의 기능적 분류
1. 대청
2. 방
3. 사랑
4. 사당
5. 찬방
6. 부엌
Ⅴ. 한옥의 형성
Ⅵ. 한옥의 우수성
Ⅶ. 한옥의 집터고르기
1. 지세(地勢)를 논함
2. 평지에 집터를 고를 때
3. 골짜기에서 집터를 고를 때
4. 집터를 살펴봄
Ⅷ.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옥의 향기, 대원사
·신영훈,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한옥, 현암사
·한옥에 살어리랏다(2007), 새로운 한옥을 위한 건축인 모임, 돌베개
·한옥의 재발견 주택문화사(2002)
·황두진, 한옥의 발전과 보급방향 Ⅰ. 개요
Ⅱ. 한옥의 형성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