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라도 100수가 넘는 무명씨의 작품이 시렬 있다. 이 사의 황금 시대에 있어서 시인과 묵객 이외에도 위로는 제왕에서부터 평민이나 기녀는 물론, 여승들까지도 사를 짓지 못하는 사람이 없었다. 만약, 사를 짓지 못해도 사를 노래할 줄은 알았다. 숭나라 때 민간의 사는 기녀들의 사가 가장 성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기녀들은 늘 문인들과 접하여 어울렸던 관계로 10명 중에 7-8명은 사를 할 줄 알았다. 詞苑叢談에 보면 작품들이 수없이 많은데, 크게 나누어 보면 사를 지을 줄 아는 기녀와 사를 노래할 줄 아는 기녀로 나눌 수 있다. 사를 지을 줄 아는 기녀들로는 蜀 지방의 기녀들이 모두 문장을 잘하였다. 이는 아마도 당대의 명기였던 薛濤의 영향인 듯하다. 설도는 본래 양가의 규수였다. 아버지를 따라서 宦游하다가 촉나라에 떨어져 기적에 오르게 되었따. 지혜롭고 말을 잘하였으며, 그녀는 특히 詩에 뛰어났다. 營妓 馬瓊之는 朱端朝에게 사랑을 바쳤다. 주단조는 南昌尉로 있었는데 마경지는 雪梅를 그린 부채에 성자목란화라는 사를 지어 그에게 부쳤다. 백설은 매화의 아름다움을 질투하네, 눈은 매화를 서로 밀며 당기네. 매화의 성품이 온유한데, 백설은 내리 누르니, 매화 어찌 쉽사리 고개들리요. 꽃다운 마음으로 말하고 싶어, 임께서 어서 오셔야. 임에게 말전하니 어서 매화의 주인 되소서. 섭승경은 지혜롭고 아름다왔다. 李之問이 杭州에 왔다가 그녀를 보고 대단히 기뻐하였다. 그리하여 연분을 맺게 되었다. 하지만, 이지문이 떠나게 되자 섭승경은 연화루에서 전별을 하였다. 십여 일이 지난 뒤에 그녀는 자고천이라는 사를 지어 보냈다. 빛 잃은 구슬, 시든 꽃처럼 봉성을 나서니, 연화루 버드나무 푸르기가 그지없네. 푸른 술잔의 양관곡을 한 곡조 뽑으니, 사람들은 이별조를 거듭 부르네. 좋은 꿈 꾸려 하여도, 꿈 속에 임은 찾아 오지 않고, 누가 있어 지금의 내 마음을 알아줄까? 배갯머리에 흐르는 눈물, 처마 끝에 비와 같고, 창밖에 듣는 비는 날 밝도록 내리누나. 杭朱의 명기 樂婉은 주석의 시중을 참으로 잘 들었다. 施모라는 이가 있어서 卜算子라는 詞를 지어 주었다. 악완은 이에 화답하여 사를 지어 보냈다. 그리움 바다처럼 깊고, 옛일은 하늘처럼 멀구나.눈물이 줄지어 흘러내리고, 나의 애를 끊나니. 보고파도 불 길이 없어 어찌하지 모샅겠네. 전생에 인연 없었다면 후생에 맺기 원하네. 詞를 부르던 기녀들을 보면, 黃山谷이 濾州 지방을 지나게 되었다. 관기 중에 盼盼이라는 기녀가 있었다. 황산곡은 그녀를 매우 사랑했다. 황산곡이 그녀에게 浣溪紗라는 사를 지어 주니 반반은 즉석에서 화답하여 憶春蛾詞를 불렀다. 젊어 꽃 보려니 귀밑머리 푸르러, 말을 장대로 달리니 풍악이 따르네. 이제 늙어 벗이 그립구나. 꽃은 만발하니. 종일 꽃을 보지만 꽃으로는 부족하네. 그림 속의 미녀는 얼굴이 옥같이 희어, 나와 함께 금로곡을 부르네. 송나라 때 기녀들은 唱詞를 할 수 있었다. 그리고 作詞를 할 수 있었음도 이미 보았다. 작사의 기녀들은 즉흥적으로 일필휘지하였다. 그렇다면 진실로 그들의 문학적인 수양은 상당하였다. 또 창사의 기녀들은 그 뜻에 부합하여 생동감 있게 노래를 불렀다. 기녀들이 어떻게 이와 같이 사를 짓고 노래할 수 있었을까? 이것은 아마도 당시의 창기들이 항상 훌륭한 문인들과 가깝게 지내게 된 까닭이었을 것이다. 대표적인 인물이 柳永이다. 유영은 崇安 사람으로 仁宗 때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은 屯田外郞에 그치고 일생을 연락 속에 사로 보냈다. 그의 사는 완전히 여인들을 위하여 지어졌고 여인들에게 주어졌다. 그의 사의 작품들은 일률적으로 나그네의 우수와 기방의 음사들을 썼다. 兩宋代에는 거의 가희들과 관계를 갖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이 시대에 있어서는 이미 사의 황금 시기를 맞이 하였다. 詞家가 사를 지으면 가기는 바로 그것을 받아서 주연에서 노래를 불렀다. 17 - 18세의 가기들이 장단을 맞추어 陽柳岸曉風殘月을 누래하였다. 모든 사를 지을 줄 아는 문인과 무인, 대소의 관료들을 막론하고 사짓기를 즐겨하였다. 柳永, 周淸眞 등은 오로지 사를 전습하였다. 유영이 기원에서 술에 만취하여 작사하여 가기들에게 건네 주면 참으로 좋아하였다. 당시 문인들은 詞體를 가장 즐겨 썼을 뿐 아니라 가기와 무희들도 가장 즐겨 노래하였다.
이상에서 송대 창기 문화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현대적인 창기의 모급은 당나라 때에야 비로소 나타났으며 송대의 창기는 중국의 창기 단체의 역사 변천 과정에서 전체 5시기 중 네 번째에 해더된다. 송대의 관리들은 비록 풍류에 대한 제한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창기들을 대동하고 주연을 베풀었으며 또한, 대학 유생들 역시 각 齎에서 정식으로 기녀를 초청하여 낭만적인 사랑을 할 수 있었다. 사회 경제 정책의 일환으로써 賣酒制度가 사용되었으며, 한나라 때에 시작된 家妓의 풍속은 송대에도 지속되었다. 그리고 比丘尼와 女道士는 수련의 과정을 통하면서도 일반 창기들과 다를 바 없는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중국 문화가 북방에서 남방으로 옮겨짐에 따라 나타난 成都, 杭州, 蘇州, 楊州의 도시에서 펼쳐진 游宴의 풍속을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중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비중을 점하고 있는 宋詞의 특징과 唱詞를 할 수 있었던 기녀와 作詞를 할 수 있었던 기녀들의 例, 作品을 통해서 기녀들의 詞의 모습을 살펴 보았다. 중국 문학은 대개는 그 사회가 번영할 때에 꽃을 피웠다. 이 때에 娼妓의 삶이야말로 그 시대의 문학의 특성을 결정짓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송대의 창기들은 전대와는 다르게 정절을 중시하였으며 송 사대부들 역시 창기들을 인격적으로 우대하였다. 이는 비록 창기 문화에 나타난 일면일지라도 전아한 當時代의 사대부들의 성격이 투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송대의 娼妓 文化는 호화롭고 사치스러웠다. 그리고 궁기의 전성시대를 이루었다. 전체적으로는 당대의 영향을 거의 입었다고 볼 수 있으며 더욱 발달된 모습을 보인다. 상공업의 발달로 귀족은 물론 일반 서민들에 이르기까지 사치와 유락에 탐닉하게 되었다. 따라서 통치계급에서는 사치를 극한 생활 속에서 취사몽생하는 나날을 보내며 현란한 문화를 유지하게 되었다.
이상에서 송대 창기 문화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현대적인 창기의 모급은 당나라 때에야 비로소 나타났으며 송대의 창기는 중국의 창기 단체의 역사 변천 과정에서 전체 5시기 중 네 번째에 해더된다. 송대의 관리들은 비록 풍류에 대한 제한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창기들을 대동하고 주연을 베풀었으며 또한, 대학 유생들 역시 각 齎에서 정식으로 기녀를 초청하여 낭만적인 사랑을 할 수 있었다. 사회 경제 정책의 일환으로써 賣酒制度가 사용되었으며, 한나라 때에 시작된 家妓의 풍속은 송대에도 지속되었다. 그리고 比丘尼와 女道士는 수련의 과정을 통하면서도 일반 창기들과 다를 바 없는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중국 문화가 북방에서 남방으로 옮겨짐에 따라 나타난 成都, 杭州, 蘇州, 楊州의 도시에서 펼쳐진 游宴의 풍속을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중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비중을 점하고 있는 宋詞의 특징과 唱詞를 할 수 있었던 기녀와 作詞를 할 수 있었던 기녀들의 例, 作品을 통해서 기녀들의 詞의 모습을 살펴 보았다. 중국 문학은 대개는 그 사회가 번영할 때에 꽃을 피웠다. 이 때에 娼妓의 삶이야말로 그 시대의 문학의 특성을 결정짓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송대의 창기들은 전대와는 다르게 정절을 중시하였으며 송 사대부들 역시 창기들을 인격적으로 우대하였다. 이는 비록 창기 문화에 나타난 일면일지라도 전아한 當時代의 사대부들의 성격이 투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송대의 娼妓 文化는 호화롭고 사치스러웠다. 그리고 궁기의 전성시대를 이루었다. 전체적으로는 당대의 영향을 거의 입었다고 볼 수 있으며 더욱 발달된 모습을 보인다. 상공업의 발달로 귀족은 물론 일반 서민들에 이르기까지 사치와 유락에 탐닉하게 되었다. 따라서 통치계급에서는 사치를 극한 생활 속에서 취사몽생하는 나날을 보내며 현란한 문화를 유지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문화][문화 상품화][고유문화]문화의 개념, 변화, 특성, 모형과 문화의 상품화 및 각 나라별...
[문화][술문화][음주문화]문화의 정의, 문화의 특성, 문화와 역사, 독일의 술문화(음주문화),...
[결혼문화][혼례풍속]한국전통결혼문화(혼례풍속), 중국결혼문화(혼례풍속), 인도결혼문화(혼...
[의복문화][의복생활][중국][일본][멕시코][한국][북한]중국의 의복생활(의복문화), 일본의 ...
[중국][문화정책][베이징][북경][천년황도][자금성]중국의 문화정책 고찰과 중국 베이징(북경...
[고대 중국][고대 중국 문화][고대 중국인]고대 중국의 강남지역과 한반도, 고대 중국의 문화...
도교와 중국문화 - 도교문화가 중국문화에 끼친 영향
한국사회의성문화,성행위문화,청소년성문화,대학생성문화,중국의성문화,성문화실태
[중국철학, 중국철학 성격, 중국문화, 음양오행설, 모종삼, 모택동, 마오쩌둥, 중국]중국철학...
[문화유적, 유적조사연구, 경산시, 삼척시, 강화도, 중국]문화유적과 유적조사연구, 문화유적...
중일근대화(중국과 일본의 근대화), 중일관계(중국과 일본의 관계), 중일정보문화, 중일역사...
[중국기업 시장][국제시장][문화컨텐츠시장][패션시장]중국기업 국제시장, 중국기업 문화컨텐...
(중국문화산책 공통)중국 남방과 북방의 도시 문화는 어떻게 다릅니까? 중국에서 남방과 북방...
(중국문화산책 공통) 중국의 북방 문화 견학을 위한 수학여행 프로그램을 기획한다고 가정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