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 기본적이다. 혈색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적혈구 크기가 작고 창백하다. 혈색소치가 현저하게 떨어져서 3.6g/100ml(심한빈혈일 때 6gdldjTsmsep, 3.6이면얼마나심각하겠어)까지 내려갈 수 있다. 평균혈구용적(MCV), 평균혈구혈색소량(MCH), 평균혈구혈색소농도(MCHC)는 모두 저하된다. 혈청 철분수준(정상 50~150㎍/100ml)은 10㎍까지 떨어질 수 있으며 TIBC(Total iron binding capacity;혈액내 이용가능한 transferrin(위장관에서 철분과 결합해서 세포저장장소로 운반하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는 350~500㎍/100ml(정상은 250~350)까지 상승된다.
치료 및 간호
빈혈의 원인을 규명하여 교정하고, 고철분 식이 및 철분제를 사용하여 철분결핍을 조절하는 것이다. 철분제제의 투여는 경구나 비경구 투여가 모두 가능하나 경구적 투약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구로 투여할 수 있는 철분제제는 ferrous sulfate(Feosol-가장많이쓰는약)와 ferrous gluconate(Fergon)등이 있다. 철분제제(공복에 먹어야 가장 효과를 보기는 한다)를 경구로 섭취할 경우 식사직후에 투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철분제는 위장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액체로된 철분제제는 치아를 착색 시키므로 가능한 잘 희석해서 빨대로 먹어야 한다. 오렌지 쥬스로 희석해서 마시면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어서 철분흡수를 도와주기 때문에 좋다.철분치료를 하는 중에는 흔히 변비가 나타나므로 고섬유소 식이를 섭취하여 예방하며 필요시 변완화제 등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철분제제를 사용하는 환자에게는 대변색이 까맣게 변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비경구적 철분투여는 (IM으로 inject) 경구적으로 철분 투여가 불가능한 사람, 약물 섭취를 습관적으로 잊어 버리는 사람, 계속해서 출혈하는 사람에게 실시한다.
Iron-dextran은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이다. 이 약은 적절히 투여하지 않으면 주사부위의 피부색이 검게 변한다. Iron-dextran을 근육내로 주사할때의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Iron-dextran을 뽑을 때 사용된 바늘은 주사할 때는 사용하지 말고 다른 것을 사용한다.
- 주사약을 준비할 때 주사기속에 공기를 0.5ml 남겨 두었다가 그것까지 주사한다. 공기는 주사바늘 내에 있는 Iron-dextran을 완전히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바늘을 조직에서 뺄 때 약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주사할 대는 2~3인치, 19~20게이지 바늘을 사용하되 근육 깊이 주사하고 둔부에 놓아야 하며 팔이나 다른 부위에는 주사하지 않는다.
- Z자로 피부를 끌어당겨서 주사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약물이 조직으로부터 새어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주사바늘이 정맥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주사부위를 마사지하지 않는다.
- 환자에게 걷도록 하여 약물흡수를 촉진시키며 또 너무 꼭낀 옷은 흡수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삼가도록 한다.
- 주사를 계속해서 맞을 경우 주사 부위의 통증과 종기의 발생 여부를 관찰한다.
철분치료의 효과는 48시간 내로 나타난다. 환자는 보다 생기가 나고 덜 민감해지며 식욕이 좋아진다. 철분저장은 혈색소 생성보다 더 느리게 일어나므로 혈색소가 정상으로 회복된 후에도 2~3개월 동안은 계속해서 철분제제를 사용해야 한다.
철결핍성 빈혈환자에게 철분치료를 하면 대부분 성공적이다. 그러나 여자들은 1/3, 남자들은 1/4정도가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는 빈혈 자체는 분명히 치료되지만 근본적인 원인, 즉 심한 출혈상태나 지속되는 월경이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거대적아구성 빈혈
① 악성빈혈(크기가 보통보다 2~3배)
악성빈혈이란 적혈구 생성의 내적인자(위벽에서 분비) 결핍으로 인한 비타민 B12 흡수 불능의 만성적인 거대적아구성 빈혈이다. 정상적인 적혈구 성숙과 정상 신경계 기능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비타민 B12가 많이 포함된 음식은 간, 우유, 달걀과 같은 동물성 식품으로 야채 속에는 없다. 섭취전 비타민 B12는 위에서 당단백이라 불리는 내적인자와 결합해야만 말단 회장으로 운반되어 이곳의 점막에 있는 특수수용체와 결합해서 혈류로 흡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적인자와 결합하지 않은 비타민 B12는 소장에서 흡수되지 못한다. 따라서 내적인자가 결여되었을 때 악성빈혈이 발생한다. 비타민 B12와 부족에 의한 빈혈은 거대적아구성 빈혈로서 이는 적혈구의 크기가 정상보다 커서 쉽게 파괴되기 때문이다. 거대적아구성 빈혈의 근본적인 결함은 염색체 합성의 기본 물질인 DNA 합성이 방해되어 오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백혈구과 혈소판의 성숙에도 결함을 초래하게 된다. 악성빈혈의 주요특징은 적혈구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크고, 위액내 염산이 결핍되어 잇으며, 신경계와 위장계 증상이 나타나고 비타민 B12를 평생 주사 맞아야만 생명 유지가 가능하다.
원인
위장의 선점막위축으로 인한 내적인자의 결핍이 원인이다. 위점막이 위축되면서 위액의 염산이 결여되는 이유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첫째, 증명할 수는 없지만 유전적 소인이 있다고 본다. 오래 지속되는 철분결핍성 빈혈이 위점막 위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가장 믿을 만한 원인은 자가면역장애설이다.
증상과 징후
비타민 B12의 결핍에 의한 병리적 결과는 첫째, 대구성 빈혈과 위장계 장애의 발생이다. 둘째, 비타민 B12의 결핍은 말초신경과 척수와 뇌의 구조를 변화시켜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셋째, 심한 신경계 기능장애를 유발하여 비타민 B12의 주사로도 치료가 불가능한 영구적 신경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악성빈혈은 치료하지 않으면 결국 죽게 되고 치료가 늦어지면 영구적인 불능이 온다.(마비나 정신증까지 올 수 있다)
진단
악성빈혈의 주요한 증상은 낮은 Hb과, Hct 그리고 감소된 적혈구 수에 의한 것으로서 진단은 다음에 근거하여 내려진다.
- 빈혈, 위장계 징후, 신경계 장애의 3대 증상의 존재
- 혈액검사와 골수검사
- 위액검사를 통한 무염산증
- 비타민 b12의 치료적 시도에 대한
치료 및 간호
빈혈의 원인을 규명하여 교정하고, 고철분 식이 및 철분제를 사용하여 철분결핍을 조절하는 것이다. 철분제제의 투여는 경구나 비경구 투여가 모두 가능하나 경구적 투약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구로 투여할 수 있는 철분제제는 ferrous sulfate(Feosol-가장많이쓰는약)와 ferrous gluconate(Fergon)등이 있다. 철분제제(공복에 먹어야 가장 효과를 보기는 한다)를 경구로 섭취할 경우 식사직후에 투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철분제는 위장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액체로된 철분제제는 치아를 착색 시키므로 가능한 잘 희석해서 빨대로 먹어야 한다. 오렌지 쥬스로 희석해서 마시면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어서 철분흡수를 도와주기 때문에 좋다.철분치료를 하는 중에는 흔히 변비가 나타나므로 고섬유소 식이를 섭취하여 예방하며 필요시 변완화제 등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철분제제를 사용하는 환자에게는 대변색이 까맣게 변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비경구적 철분투여는 (IM으로 inject) 경구적으로 철분 투여가 불가능한 사람, 약물 섭취를 습관적으로 잊어 버리는 사람, 계속해서 출혈하는 사람에게 실시한다.
Iron-dextran은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이다. 이 약은 적절히 투여하지 않으면 주사부위의 피부색이 검게 변한다. Iron-dextran을 근육내로 주사할때의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Iron-dextran을 뽑을 때 사용된 바늘은 주사할 때는 사용하지 말고 다른 것을 사용한다.
- 주사약을 준비할 때 주사기속에 공기를 0.5ml 남겨 두었다가 그것까지 주사한다. 공기는 주사바늘 내에 있는 Iron-dextran을 완전히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바늘을 조직에서 뺄 때 약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주사할 대는 2~3인치, 19~20게이지 바늘을 사용하되 근육 깊이 주사하고 둔부에 놓아야 하며 팔이나 다른 부위에는 주사하지 않는다.
- Z자로 피부를 끌어당겨서 주사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약물이 조직으로부터 새어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주사바늘이 정맥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주사부위를 마사지하지 않는다.
- 환자에게 걷도록 하여 약물흡수를 촉진시키며 또 너무 꼭낀 옷은 흡수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삼가도록 한다.
- 주사를 계속해서 맞을 경우 주사 부위의 통증과 종기의 발생 여부를 관찰한다.
철분치료의 효과는 48시간 내로 나타난다. 환자는 보다 생기가 나고 덜 민감해지며 식욕이 좋아진다. 철분저장은 혈색소 생성보다 더 느리게 일어나므로 혈색소가 정상으로 회복된 후에도 2~3개월 동안은 계속해서 철분제제를 사용해야 한다.
철결핍성 빈혈환자에게 철분치료를 하면 대부분 성공적이다. 그러나 여자들은 1/3, 남자들은 1/4정도가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는 빈혈 자체는 분명히 치료되지만 근본적인 원인, 즉 심한 출혈상태나 지속되는 월경이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거대적아구성 빈혈
① 악성빈혈(크기가 보통보다 2~3배)
악성빈혈이란 적혈구 생성의 내적인자(위벽에서 분비) 결핍으로 인한 비타민 B12 흡수 불능의 만성적인 거대적아구성 빈혈이다. 정상적인 적혈구 성숙과 정상 신경계 기능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비타민 B12가 많이 포함된 음식은 간, 우유, 달걀과 같은 동물성 식품으로 야채 속에는 없다. 섭취전 비타민 B12는 위에서 당단백이라 불리는 내적인자와 결합해야만 말단 회장으로 운반되어 이곳의 점막에 있는 특수수용체와 결합해서 혈류로 흡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적인자와 결합하지 않은 비타민 B12는 소장에서 흡수되지 못한다. 따라서 내적인자가 결여되었을 때 악성빈혈이 발생한다. 비타민 B12와 부족에 의한 빈혈은 거대적아구성 빈혈로서 이는 적혈구의 크기가 정상보다 커서 쉽게 파괴되기 때문이다. 거대적아구성 빈혈의 근본적인 결함은 염색체 합성의 기본 물질인 DNA 합성이 방해되어 오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백혈구과 혈소판의 성숙에도 결함을 초래하게 된다. 악성빈혈의 주요특징은 적혈구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크고, 위액내 염산이 결핍되어 잇으며, 신경계와 위장계 증상이 나타나고 비타민 B12를 평생 주사 맞아야만 생명 유지가 가능하다.
원인
위장의 선점막위축으로 인한 내적인자의 결핍이 원인이다. 위점막이 위축되면서 위액의 염산이 결여되는 이유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첫째, 증명할 수는 없지만 유전적 소인이 있다고 본다. 오래 지속되는 철분결핍성 빈혈이 위점막 위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가장 믿을 만한 원인은 자가면역장애설이다.
증상과 징후
비타민 B12의 결핍에 의한 병리적 결과는 첫째, 대구성 빈혈과 위장계 장애의 발생이다. 둘째, 비타민 B12의 결핍은 말초신경과 척수와 뇌의 구조를 변화시켜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셋째, 심한 신경계 기능장애를 유발하여 비타민 B12의 주사로도 치료가 불가능한 영구적 신경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악성빈혈은 치료하지 않으면 결국 죽게 되고 치료가 늦어지면 영구적인 불능이 온다.(마비나 정신증까지 올 수 있다)
진단
악성빈혈의 주요한 증상은 낮은 Hb과, Hct 그리고 감소된 적혈구 수에 의한 것으로서 진단은 다음에 근거하여 내려진다.
- 빈혈, 위장계 징후, 신경계 장애의 3대 증상의 존재
- 혈액검사와 골수검사
- 위액검사를 통한 무염산증
- 비타민 b12의 치료적 시도에 대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