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FTA란?
2. 한미FTA 협상타결 주요내용
3. 한미FTA의 영향
4. 대응방안
2. 한미FTA 협상타결 주요내용
3. 한미FTA의 영향
4. 대응방안
본문내용
국내 경쟁력 열위 제품시장 개방 시, 국내기업의 시장점유율 축소와 제품 개발의지 약화 우려
정밀화학
- 미측 관세율이 6.5%로 비교적 높은 염 안료, 도료 잉크, 계면활성제, 기타 화학제품 등 소폭 수출 신장 기대
- 대미 수입 비중이 높은 기초 원료 품목과 수입규모가 큰 의약, 화장품은 수입 증가 예상
결론
대응방안
농업부문
한미FTA 대응방안 및 향후 조치계획을 기본으로 다양한 의견수렴과 수정보완을 통하여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해 나갈 계획
1단계 ⇒ 수입급증에 따른 피해농가에는 소득보전직불금을 지급
2단계 ⇒ 한미FTA 이행 기간 동안에 품목별로 경쟁력향상을 지원하고 농가유형에 맞는 차별화 된 농업정책으로 맞춤형 농정을 추진하여 우리농업의 체질 을 근본적으로 강화
① 수입급증에 따른 피해를 직접보전
- 수입급증으로 일정수준 이상 피해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득감소분에 대하여 소득보전직불금 지급
- FTA로 축산 등 사육재배하는 것이 곤란할 경우 폐업지원금 지급
② 한미FTA 이행 기간 동안에는 품목별 경쟁력제고 지원
업종
경쟁력 제고 및 지원 방안
축산분야
- 한육우는 우수브랜드 육성 및 개량을 통한 품질고급화와 한육우 전두수를 대상으로 쇠고기 이력추적제를 실시하여 수입산과 차별화
- 돼지는 축사시설 현대화 및 질병발생억제로 생산성을 향상하고 자연 순환 농업을 육성하여 친환경 축산 기반구축
- 닭 오리는 신선도 유지 및 위생수준 향상을 위한 유통체계를 개선
원예분야
- 과실류 및 채소류는 우량 품종 보급, 품질기준 개선, 우수브랜드 경영체 육성, 재배기술 혁신, 계약재배 확대 등으로 품질경쟁력을 강화- 인삼은 질병에 강한 신품종 및 대량증식기술을 개발보급하고 생산비 절감을 위한 기계화율을 제고하며 이력추적관리를 추진
- 자조금 조성을 32개 품목으로 확대하고 수출확대를 위하여 수출단지에 GAP, 생산이력제 도입 및 수출전문단지 육성(200개소)
곡물 전작분야
- 식용 콩 감자는 전작 브랜드를 육성하고 계약재배안정화 사업을 정부와 농협이 공동으로 추진 검토
- 보리는 사료용 총체보리 대체하고 바이오디젤 원료용 유채생산 시범사업지원(‘07~10년)하여 농가소득 보전을 추진
③ 농업의 근본적 체질 강화를 위한 맞춤형 농정본격 추진
농가를 유형별로 구분해서 전업농중소농의 경쟁력 향상과 소득안정을 집중지원하고, 고령농은 생활안정지원을 통한 은퇴를 유도하며, 취업부업농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는 맞춤형 농업정책을 추진
- 전업농중소농 ⇒ 규모화 촉진, 소득안정직불금 지급
⑴ 농지은행 활용 농지 임대차를 통한 규모 확대
⑵ 농업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농가단위 소득안정방안 도입 검토
농가소득 하락 시 일부(60~80%) 보전
농가등록제 도입 : 65세미만, 준전업농, 후계농, 창업농 대상
⑶ 자연재해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위험관리체계 구축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11년까지 30개로 확대하고 농산물, 가축 등 분야별 정책보험을 농업재해보험으로 일원화
⑷ 재해 등 일시적 경영위기에 처한 전업농의 경영회생지원 시스템 개선
농지은행에서 매입 후 임대, 저리자금 지원으로 경영정상화 유도
⑤ 동절기 경관사료작물 재배로 경지이용율제고(경과보전직불제 확대추진)
- 고령농 ⇒ 생활안정 지원을 통한 은퇴 유도
⑴ 생계형 고령농에게 생활안정자금 지원 검토(영농경력 20년이상 고령농)
⑵ 소일거리 및 노인 복지문화서비스 확충
마을단위 경관개선활동, 농촌체험 가이드 등
⑶ 노후 생활자금 부족문제 해소를 위해 [농촌형 역모기지제도] 운영
농지을 담보로 금융기관에서 매월 소정의 자금을 지원
- 취미부업농 ⇒ 농업 지원 대상에서 제외
제조업부문
업종
업계입장 및 대응방안
자동차
- 통상마찰 완화, 대외신인도 향상 및 미국시장의 안정적 확보 측면에서 한미 FTA는 필요
- 다만, FTA로 인한 직접적인 수출증가 효과는 미미
전자
- FTA를 통해 불합리한 무역구제제도 개선, 제품 인지도 상승에 따른 수출확대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한미 FTA찬성
- 반덤핑 및 상계관세 제소 남발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 신설 및 통관절차 개선, 원산지 자율 발급제도 도입필요
- 부품 소재 및 기초기술분야의 기술협력 및 투자유치 기대
기계
- NC기어절삭기, 베어링, 밸브 등 첨단제품의 기술력 향상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세유예기간 최대한 확보
- 핵심부품 소재의 독자적인 개발,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생산설비 발굴 집중육성, 기계산업 제조혁신 지원필요
철강
- 미국의 수입규제 요건 강화를 통해 무분별한 반덤핑 제소 억제
현재 철강제품 수입규제 24건 중 12건이 미국(‘06.4월)
- 제로잉(Zeroing) 등 반덤핑 관련 규정의 실질적인 개선
섬유
- FTA 타결과 동시에 섬유류 관세 즉시 철폐
- 섬유분야 비관세 장벽인 Yarn Forward의 실질적인 완화
품목별로 단일공정기준, 무역특혜수준(TPLs), 누적기준 등 고려
- 섬유분야 특별 세이프가드의 도입 반대
- 개성공단 생산제품에 대한 역외가공특례 인정
석유화학
-경쟁력 우위품목, 국내공급 부족품목은 조속히 관세 철폐
경쟁력 열위품목은 관세철폐 대상에서 제외 또는 최대한 유예
- 개발 상업화 초기단계의 고부가가치 제품 적극 보호 필요
- 석유화학 기초원자재에 대한 무관세 적용
정밀화학
- 경쟁력 열위인 점을 감안, 국내시장 보호 및 국내 업체의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도록 양허안과 유예기간 설정
농약 원제, 도료(자동차보수용 제외), 염료는 즉시 철폐
- 화학제품 수출, 신규 등록시 요구되는 각종 시험평가 상호인정
참고문헌
SERI-삼성경제 연구소 : http://www.seri.org/_index_.html
무역협회 FTA 포탈 : http://fta.kita.net/
외교통상부 자유무역협정 : http://www.fta.go.kr/user/
농림수산식품부 : http://web.mifaff.go.kr/fta01/
아젠다넷 : http://www.agendanet.co.kr/
동아일보 : http://www.donga.com/
영주지방통계청 네이버 카페 : http://cafe.naver.com/yeongbong.cafe
정밀화학
- 미측 관세율이 6.5%로 비교적 높은 염 안료, 도료 잉크, 계면활성제, 기타 화학제품 등 소폭 수출 신장 기대
- 대미 수입 비중이 높은 기초 원료 품목과 수입규모가 큰 의약, 화장품은 수입 증가 예상
결론
대응방안
농업부문
한미FTA 대응방안 및 향후 조치계획을 기본으로 다양한 의견수렴과 수정보완을 통하여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해 나갈 계획
1단계 ⇒ 수입급증에 따른 피해농가에는 소득보전직불금을 지급
2단계 ⇒ 한미FTA 이행 기간 동안에 품목별로 경쟁력향상을 지원하고 농가유형에 맞는 차별화 된 농업정책으로 맞춤형 농정을 추진하여 우리농업의 체질 을 근본적으로 강화
① 수입급증에 따른 피해를 직접보전
- 수입급증으로 일정수준 이상 피해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득감소분에 대하여 소득보전직불금 지급
- FTA로 축산 등 사육재배하는 것이 곤란할 경우 폐업지원금 지급
② 한미FTA 이행 기간 동안에는 품목별 경쟁력제고 지원
업종
경쟁력 제고 및 지원 방안
축산분야
- 한육우는 우수브랜드 육성 및 개량을 통한 품질고급화와 한육우 전두수를 대상으로 쇠고기 이력추적제를 실시하여 수입산과 차별화
- 돼지는 축사시설 현대화 및 질병발생억제로 생산성을 향상하고 자연 순환 농업을 육성하여 친환경 축산 기반구축
- 닭 오리는 신선도 유지 및 위생수준 향상을 위한 유통체계를 개선
원예분야
- 과실류 및 채소류는 우량 품종 보급, 품질기준 개선, 우수브랜드 경영체 육성, 재배기술 혁신, 계약재배 확대 등으로 품질경쟁력을 강화- 인삼은 질병에 강한 신품종 및 대량증식기술을 개발보급하고 생산비 절감을 위한 기계화율을 제고하며 이력추적관리를 추진
- 자조금 조성을 32개 품목으로 확대하고 수출확대를 위하여 수출단지에 GAP, 생산이력제 도입 및 수출전문단지 육성(200개소)
곡물 전작분야
- 식용 콩 감자는 전작 브랜드를 육성하고 계약재배안정화 사업을 정부와 농협이 공동으로 추진 검토
- 보리는 사료용 총체보리 대체하고 바이오디젤 원료용 유채생산 시범사업지원(‘07~10년)하여 농가소득 보전을 추진
③ 농업의 근본적 체질 강화를 위한 맞춤형 농정본격 추진
농가를 유형별로 구분해서 전업농중소농의 경쟁력 향상과 소득안정을 집중지원하고, 고령농은 생활안정지원을 통한 은퇴를 유도하며, 취업부업농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는 맞춤형 농업정책을 추진
- 전업농중소농 ⇒ 규모화 촉진, 소득안정직불금 지급
⑴ 농지은행 활용 농지 임대차를 통한 규모 확대
⑵ 농업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농가단위 소득안정방안 도입 검토
농가소득 하락 시 일부(60~80%) 보전
농가등록제 도입 : 65세미만, 준전업농, 후계농, 창업농 대상
⑶ 자연재해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위험관리체계 구축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11년까지 30개로 확대하고 농산물, 가축 등 분야별 정책보험을 농업재해보험으로 일원화
⑷ 재해 등 일시적 경영위기에 처한 전업농의 경영회생지원 시스템 개선
농지은행에서 매입 후 임대, 저리자금 지원으로 경영정상화 유도
⑤ 동절기 경관사료작물 재배로 경지이용율제고(경과보전직불제 확대추진)
- 고령농 ⇒ 생활안정 지원을 통한 은퇴 유도
⑴ 생계형 고령농에게 생활안정자금 지원 검토(영농경력 20년이상 고령농)
⑵ 소일거리 및 노인 복지문화서비스 확충
마을단위 경관개선활동, 농촌체험 가이드 등
⑶ 노후 생활자금 부족문제 해소를 위해 [농촌형 역모기지제도] 운영
농지을 담보로 금융기관에서 매월 소정의 자금을 지원
- 취미부업농 ⇒ 농업 지원 대상에서 제외
제조업부문
업종
업계입장 및 대응방안
자동차
- 통상마찰 완화, 대외신인도 향상 및 미국시장의 안정적 확보 측면에서 한미 FTA는 필요
- 다만, FTA로 인한 직접적인 수출증가 효과는 미미
전자
- FTA를 통해 불합리한 무역구제제도 개선, 제품 인지도 상승에 따른 수출확대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한미 FTA찬성
- 반덤핑 및 상계관세 제소 남발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 신설 및 통관절차 개선, 원산지 자율 발급제도 도입필요
- 부품 소재 및 기초기술분야의 기술협력 및 투자유치 기대
기계
- NC기어절삭기, 베어링, 밸브 등 첨단제품의 기술력 향상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세유예기간 최대한 확보
- 핵심부품 소재의 독자적인 개발,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생산설비 발굴 집중육성, 기계산업 제조혁신 지원필요
철강
- 미국의 수입규제 요건 강화를 통해 무분별한 반덤핑 제소 억제
현재 철강제품 수입규제 24건 중 12건이 미국(‘06.4월)
- 제로잉(Zeroing) 등 반덤핑 관련 규정의 실질적인 개선
섬유
- FTA 타결과 동시에 섬유류 관세 즉시 철폐
- 섬유분야 비관세 장벽인 Yarn Forward의 실질적인 완화
품목별로 단일공정기준, 무역특혜수준(TPLs), 누적기준 등 고려
- 섬유분야 특별 세이프가드의 도입 반대
- 개성공단 생산제품에 대한 역외가공특례 인정
석유화학
-경쟁력 우위품목, 국내공급 부족품목은 조속히 관세 철폐
경쟁력 열위품목은 관세철폐 대상에서 제외 또는 최대한 유예
- 개발 상업화 초기단계의 고부가가치 제품 적극 보호 필요
- 석유화학 기초원자재에 대한 무관세 적용
정밀화학
- 경쟁력 열위인 점을 감안, 국내시장 보호 및 국내 업체의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도록 양허안과 유예기간 설정
농약 원제, 도료(자동차보수용 제외), 염료는 즉시 철폐
- 화학제품 수출, 신규 등록시 요구되는 각종 시험평가 상호인정
참고문헌
SERI-삼성경제 연구소 : http://www.seri.org/_index_.html
무역협회 FTA 포탈 : http://fta.kita.net/
외교통상부 자유무역협정 : http://www.fta.go.kr/user/
농림수산식품부 : http://web.mifaff.go.kr/fta01/
아젠다넷 : http://www.agendanet.co.kr/
동아일보 : http://www.donga.com/
영주지방통계청 네이버 카페 : http://cafe.naver.com/yeongbong.cafe
추천자료
중국의 WTO가입이 한국에 미친 영향과 대응방안
한.일 FTA에 따른 자동차 산업의 대응전략
한미 FTA가 국내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
[협상]일본의 전체적 보수화 양상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유럽연합][EU]유럽연합(EU)의 배경, 기구운영 및 정책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유...
[토요타대규모리콜사태]도요타자동차 대규모 리콜사태 원인, 현황, 영향 분석과 우리의 대응방안
[그리스 금융위기]그리스·유럽재정위기의 현황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그리스·유럽경제위기 ...
엔고사태가 미치는 영향 및 전망과 그 대응방안
남유럽발 재정위기가 국제통상,금융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우수레포트★][환경보호] 사막화의 개념, 사막화의 원인, 사막화의 영향과 피해, 사막화에 ...
[남북관계] 북한 핵실험에 의한 영향과 대응방안 보고서
[마약범죄] 마약밀수 증가에 따른 영향과 대응방안 보고서
[마약범죄] 마약밀수 증가에 따른 영향과 대응방안 PPT자료
[관세 및 비관세장벽]관세 및 비관세장벽이 무역업체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