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가족
2. 가설
3. 면접내용
결론
1. 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가족
2. 가설
3. 면접내용
결론
본문내용
이 태어났어. 하지만 몇 년 후에 병 때문에 죽었어. 막내가 죽은 후에 난 막내가 되어 막내처럼 자랐지. 여자 형제들이랑 나이차이도 좀 있고 해서 자랄 때 언니들이 많이 챙겨줬어. 그래서인지 중, 고등학교 때 집안일을 그렇게 많이 안했어. 오히려 어머니가 나한텐 공부하란 말을 많이 했었어.
질문) 그래서 어머니는 공부를 열심히 하셨었나요?
⇒사실 어머니, 아버지 모르게 밖에 나가서 친구들과 어울려 다닌 적이 많아~. 그래서 아버지한테 혼난 적도 많고. 그때는 언니들이나 나나 여자라고 정해놓은 통금시간이 있어서 밤늦은 시간에 집밖에 있다는 건 큰 일이였어. 나랑 언니들은 아버지가 굉장히 무서웠는데 재밌게도 어머니가 아버지 몰래 놀러가는 걸 허락해 주시곤 했어. 엄마랑 나는 지금 나랑 내 딸처럼 친구같이 가깝게 지냈던 거 같아.
질문) 또 기억나는 게 있다면 하나만 더 얘기해주세요~
⇒음.. 아버지가 당뇨병을 앓으셨어. 그래서 난 고등학교 졸업하고 바로 취직하게 됐어. 언니들도 마찬 가지였고. 내가 막내긴 하지만 아버지가 병으로 고생하시고 어머니가 병수발 드느라고 고생하는 걸 보니까 돈을 벌어야겠단 생각이 들더라. 근데 아버진 곧 돌아가셔서 정말 많이 힘들었었어.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도 난 계속 돈을 벌었고, 내가 털털한 성격이잖아. 남자친구들이 많았어. 근데 나는 친구들한테 많은 남자친구들 다 소개시켜 준 다음에 제일 늦게 결혼했어. 어릴 때부터 “나는 일찍 결혼할 거야~.” 말하고 다녔는데 말이랑 반대가 되어버렸지.
그 결혼 상대가 바로 지금의 남편이야. 결혼을 늦게 했기 때문에 그만큼 오래 다니던 직장인데 막상 그만두니까 아쉽기도 하고 허탈하기도 하더라. 하지만 내가 결혼할 당시엔 사람들이 결혼을 하면 회사를 그만두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도 크게 중요하다 생각 안했어.
결론
앞에서의 면접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3 가지 결론을 내렸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성 중심의 가족규칙이 존재
피면접자들의 이야기를 쭉 듣고 있으면 가족의 의사결정이나 생활방식들이 주로 남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학의 기회나 일상생활에서의 자율성 등 여러 상황들을 살펴보면 가족성원들이 남성을 중심적인 사고에서 서로의 행동을 규정하고 제한하는 관계상의 합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들의 가족에는 남성중심의 가족규칙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가족의 권력구조와도 연결하여 생각해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영향(차별)을 저항하는 기제가 존재
이들의 가족에는 앞서 말했듯 남성 중심의 가족규칙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늘 그런 가족규칙에 순종적으로 살아온 것은 아니다. 아무리 가족규칙이 남성중심이어도 부당하다고 느낄 때는 그러한 구조에 맞서서 반항하기도 하고 다른 방법이나 다른 가족구성원을 통해서 그러한 상황을 이기고 극복해나가는 장면들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가족의 내부에는 남성중심의 가족규칙에 부당한 면들을 극복해나갈 수 있는 극복기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가부장제인식에서 양성평등지향으로의 과도기에 위치한 삶
피면접자들은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런데도 신기하게 자신들이 살아온 가족의 생활방식과는 다르게 자신의 자녀들이나 가족과는 남성중심의 가족규칙을 세우지 않고 양성평등지향적인 사고를 가지고 생활해가고 있었다. 이는 우리사회의 많은 발전으로 인한 인식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족과의 생활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거나 남성이기 때문에 더 많은 혜택이 주어지는 생활은 경험해보지 못 한 우리와 달리 이들은 가부장제에서 자랐지만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가족의 형성으로 발전해가는 과도기에 위치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덧붙여서 가부장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가부장이란 가족의 우두머리인 가장을 의미하며, 가부장제란 가장의 가족성원에 대한 지배를 가능하게 하는 체계를 뜻한다. 전통적 의미의 가부장제는 남자가 가족 내에서의 최고결정권을 지니는 체계이며 다시 말해 여성보다는 남성이 우위에 있는 위계질서라 말할 수 있다.
이번 조사를 통해서 우리는 부모님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마치 드라마를 보듯 생생하게 이야기를 전해들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현대가족복지의 이해 이희자, 김경원 (2005)
가족복지론 성정현 외 공저 (2005)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구술사 Ruth R. Martin 지음 /이효선 옮김 (2005)
가정생활복지론 조희금 외 공저 (2002)
질문) 그래서 어머니는 공부를 열심히 하셨었나요?
⇒사실 어머니, 아버지 모르게 밖에 나가서 친구들과 어울려 다닌 적이 많아~. 그래서 아버지한테 혼난 적도 많고. 그때는 언니들이나 나나 여자라고 정해놓은 통금시간이 있어서 밤늦은 시간에 집밖에 있다는 건 큰 일이였어. 나랑 언니들은 아버지가 굉장히 무서웠는데 재밌게도 어머니가 아버지 몰래 놀러가는 걸 허락해 주시곤 했어. 엄마랑 나는 지금 나랑 내 딸처럼 친구같이 가깝게 지냈던 거 같아.
질문) 또 기억나는 게 있다면 하나만 더 얘기해주세요~
⇒음.. 아버지가 당뇨병을 앓으셨어. 그래서 난 고등학교 졸업하고 바로 취직하게 됐어. 언니들도 마찬 가지였고. 내가 막내긴 하지만 아버지가 병으로 고생하시고 어머니가 병수발 드느라고 고생하는 걸 보니까 돈을 벌어야겠단 생각이 들더라. 근데 아버진 곧 돌아가셔서 정말 많이 힘들었었어.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도 난 계속 돈을 벌었고, 내가 털털한 성격이잖아. 남자친구들이 많았어. 근데 나는 친구들한테 많은 남자친구들 다 소개시켜 준 다음에 제일 늦게 결혼했어. 어릴 때부터 “나는 일찍 결혼할 거야~.” 말하고 다녔는데 말이랑 반대가 되어버렸지.
그 결혼 상대가 바로 지금의 남편이야. 결혼을 늦게 했기 때문에 그만큼 오래 다니던 직장인데 막상 그만두니까 아쉽기도 하고 허탈하기도 하더라. 하지만 내가 결혼할 당시엔 사람들이 결혼을 하면 회사를 그만두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도 크게 중요하다 생각 안했어.
결론
앞에서의 면접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3 가지 결론을 내렸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성 중심의 가족규칙이 존재
피면접자들의 이야기를 쭉 듣고 있으면 가족의 의사결정이나 생활방식들이 주로 남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학의 기회나 일상생활에서의 자율성 등 여러 상황들을 살펴보면 가족성원들이 남성을 중심적인 사고에서 서로의 행동을 규정하고 제한하는 관계상의 합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들의 가족에는 남성중심의 가족규칙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가족의 권력구조와도 연결하여 생각해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영향(차별)을 저항하는 기제가 존재
이들의 가족에는 앞서 말했듯 남성 중심의 가족규칙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늘 그런 가족규칙에 순종적으로 살아온 것은 아니다. 아무리 가족규칙이 남성중심이어도 부당하다고 느낄 때는 그러한 구조에 맞서서 반항하기도 하고 다른 방법이나 다른 가족구성원을 통해서 그러한 상황을 이기고 극복해나가는 장면들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가족의 내부에는 남성중심의 가족규칙에 부당한 면들을 극복해나갈 수 있는 극복기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가부장제인식에서 양성평등지향으로의 과도기에 위치한 삶
피면접자들은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런데도 신기하게 자신들이 살아온 가족의 생활방식과는 다르게 자신의 자녀들이나 가족과는 남성중심의 가족규칙을 세우지 않고 양성평등지향적인 사고를 가지고 생활해가고 있었다. 이는 우리사회의 많은 발전으로 인한 인식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족과의 생활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거나 남성이기 때문에 더 많은 혜택이 주어지는 생활은 경험해보지 못 한 우리와 달리 이들은 가부장제에서 자랐지만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가족의 형성으로 발전해가는 과도기에 위치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덧붙여서 가부장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가부장이란 가족의 우두머리인 가장을 의미하며, 가부장제란 가장의 가족성원에 대한 지배를 가능하게 하는 체계를 뜻한다. 전통적 의미의 가부장제는 남자가 가족 내에서의 최고결정권을 지니는 체계이며 다시 말해 여성보다는 남성이 우위에 있는 위계질서라 말할 수 있다.
이번 조사를 통해서 우리는 부모님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마치 드라마를 보듯 생생하게 이야기를 전해들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현대가족복지의 이해 이희자, 김경원 (2005)
가족복지론 성정현 외 공저 (2005)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구술사 Ruth R. Martin 지음 /이효선 옮김 (2005)
가정생활복지론 조희금 외 공저 (2002)
키워드
추천자료
가족관의 변화-여성과가족관문제
[여성학] 여성가족부 존폐론에 대한 논쟁
여성가족부의 존폐논란에 대하여
빈곤여성가장가족의 모-자 관계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여성가족부- 2011년도 가족에 대한 정책비젼
한부모가족모자가정여성
가족발달단계와 과업, 가족형성기, 자녀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여성가족부 홈페이지(www.mogef.go.kr) 를 방문하여 2011년도 정책가이드에서 가족에 대한 정...
2013년 1학기 여성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여성에 대한 인식,여성문화,여성과가족)
가족및여성경제학 레포트
(사회복지정책론 A+) 사회복지정책대안의 형성과정-다문화가족의 아동복지정책 사례
우리나라 가족정책 관련부서로 여성가족부와 보건복지부가 존재하는 것에 대한 장&#12539...
이주여성가정의 사회적응을 위한 가족기능강화프로그램(이주여성프로그램, 이주여성가정프로...
[다문화사회복지] 주관부처별 다문화정책(법무부, 여성가족부, 교육부, 행정자치부, 문화체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