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표 작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명표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통계의 종류

◦ 작성목적

◦ 작성주기

◦ 작성항목

◦ 조사대상

◦ 작성방법

◦ 결과공표

◦ 주요연혁

◦ 용어해설

◦ 이용시 유의점

본문내용

25 × (l80)2
마. 간이생명표의 작성방법
- 완전생명표를 기초로 간이생명표 작성
- 간이생명표상 각 항목의 산출방법
간이생명표의 연령별 생존자수(lx), 총생존연수(Tx), 연령별 기대여명(。ex) 값은 완전생명표상 해당연령(x)의 값과 각각 동일
간이생명표의 연령계층별 사망자수( ), 연령계층별 정지인구( ), 연령계층별 사망확률( )은 다음 관계식으로 산출
‥ 연령계층별 사망자수( ) = ∑ dx(완전생명표의 연령별 사망자수)
‥ 연령계층별 정지인구( ) = ∑ Lx(완전생명표의 연령별 정지인구)
‥ 연령계층별 사망확률( ) = ÷ lx
바. 사망원인 생명표의 최종 상한연령 정지인구(∞L85(-i))의 산출방법
- 사망원인 생명표는 최종 상한연령을 85세이상으로 작성
- 특정사인제거시 85세 생존자수에 일반생명표상의 85세 기대여명을 적용하여 산출
산출식 :
결과공표
- 주기 : 2년
- 공표방법 및 시기
보도자료인터넷게재 : 작성대상년도 익익년 8월경
『생명표』발간 : 작성대상년도 익익년 9월경
- 공표범위
지역 : 전국
내용 : 성별, 연령별 등
주요연혁
- 1980년
인구동태표본조사 결과를 이용
78~79년 생명표 작성
- 1990년
처음으로 인구동태 사망신고 자료 이용
83년, 85년, 87년, 89년 생명표 작성
- 1993년
1991년 생명표 작성
1989년 생명표 수정
- 1997년
93년 생명표 작성
95년 생명표(잠정)와 사망원인 생명표(잠정) 처음 작성,
상한연령을 85세로 연장
- 1999년
97년 생명표 및 사망원인 생명표 작성
95년 생명표 및 사망원인 생명표 확정
1971~95년도의 생명표를 2년 주기로 보완 작성,
- 2001년
99년 생명표 및 사망원인 생명표 작성
상한연령을 95세로 연장
- 2003년
2001년 생명표 및 사망원인 생명표 작성
상한연령을 100세로 연장
용어해설
가. 일반 생명표
- 사망확률 [] : 특정연령 x세인 사람이 x+n세에 도달하지 못하고 사망할 확률, 연령 계급 [x, x+n]에 있어서의 사망확률
- 생존비율 [] : 특정연령 x세인 사람이 x+n세까지 살아남을 확률
- 생존자수 [ ]: 특정연령 x세에서의 생존수, 동시에 출생한 100,000명이 사망확률에 따라 사망으로 감소할 경우 x세에 도달할 때까지 살아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사람수
- 사망자수[]: 특정연령 x세에서 생존한 사람이 x+n세에 도달하지 못하고 사망할 것으로 기대되는 사람수
- 정지인구
연령별 정지인구 [] : 특정연령 x세에서의 생존자들이 각각 x세에서 x+n세에 도달하는 기간동안에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생존년수의 합계
연령 이후의 정지인구 [] : 특정연령 x세의 생존자가 모두 사망할 때까지 살 것으로 기대되는 생존년수의 합계(총생존년수)
- 기대여명 [ ] : 특정연령 x세의 생존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생존년수
나. 사망원인 생명표
- 특정사인에 의한 사망자수 [ ]: 특정연령 (x, x+n)세 사이의 사망자중 특정사인에 의한 사망자수
- 특정사인제거시 사망자수 []: 특정연령 (x, x+n)세 사이의 사망자중 특정사인에 의한 사망자수를 제외한 나머지 사망자수
- 특정사인제거시 생존자수 [], 생존년수 [], 총생존년수 [ ],
기대여명 [] : 특정사인에 의한 사망자수를 제외한 나머지 사망자수 에 의해 작성되며 일반생명표와 동일한 개념
- 특정사인 제거시 증가되는 기대여명[ - ]
특정사인 제거시 증가되는 기대여명이란 특정사인을 예방하거나 퇴치함으로써 그 사인으로 사망하지 않고, 이후 다른 사인으로 사망함으로써 사망시기가 연장되어 증가되는 기대여명으로, 특정사인으로 인해 감소되는 수명과 같은 의미
- 특정사인별 사망확률 [] :
특정연령 x세까지 생존한 사람이 장차 특정 사인으로 사망하게 될 확률
이용시 유의점
- 일부 사망의 지연신고, 미신고, 부실신고 등이 있어 보다 정확한 생명표 작성을 위해 3개년자료를 이용하고 있음
- 사망원인 생명표는 의사에 의한 사망(검안)진단서 첨부여부, 기재내용의 정확성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자료 이용시 참고 바람
- 사망원인 생명표의 상한연령을 85세로 작성한 것은 고령층 사망원인의 정확도가 다소 낮기 때문임
- 생명표의 최종 상한연령 연장
노령화 사회로 진입(2000년)함에 따라 고령자에 대한 세부자료(의료보험 및 연금 등)가 요구되고 있으므로 상한연령을 95세에서 100세 이상으로 연장함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1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6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