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산. 염기 균형의 조절
산. 염기의 불균형
대사성 산증
호흡성 산증
대사성 알칼리증
호흡성 알칼리증
ABGA 결과 해석 단계
ABGA 결과 해석
산. 염기의 불균형
대사성 산증
호흡성 산증
대사성 알칼리증
호흡성 알칼리증
ABGA 결과 해석 단계
ABGA 결과 해석
본문내용
osis)
; 폐포의 과도한 호흡으로 인한 carbon dioxide의 배출
*원인
Hypervetilation
호흡중추의 과잉자극- 발열, 중추신경계질환, 뇌내수술, 아스피린중독증,
저산소증 -고산지 생활, 폐질환, 심한 빈혈, 폐색전증, 저혈압
*임상증상
가쁘고 빠른 호흡
빈맥
심한 불안과 공포
혼동, 실신
저칼륨혈증 - 수소이완과 칼륨의 교환으로 칼륨의 혈청농도가 낮아짐.
심전도의 변화
*ABGA
PH>7.45 PaCO2<35 HCO3- 22~26
*치료 및 간호
Oxygen reservior mask bag이나 종이봉지를 사용하여 PaCO@증가시킨다.
심한 불안을 가라앉히고 천천히 호흡하도록 교육한다.
심한 경우 sedation시키나 과도한 sedation은 피하도록 한다.
# ABGA 결과 해석 단계
1단계 : PH를 확인한다.
정상 7.35~7.45
산증 7.35이하
알칼리증 7.45
2단계 : PaCO2를 사정한다.
호흡성 산증 45mmHg이상
호흡성 알칼리증 35mmHg이하
3단계 : HCO3-를 사정한다.
대사성 산증 22mEq/L 이하
대사성 알칼리증 2mEq/L 이상
4단계 : 보상상태를 확인한다.
보상이 있는 상태 : PaCO2와 HCO3-는 반대방향에서 비정상이다. 예를 들면 하나
는 산성이고 다른 하나는 알칼리성적이다.
보상이 없는 상태 : PaCO2나 HCO3-중 한 성분은 비정상이고 나머지 하나는 정상 이다.
5단계 : 가능하면 일차적 장애를 확인한다.
PH가 비정상이면 PH와 관련된 산-염기문제는 일차적 장애이다.
PH가 정상에 가까우면 변화된 문제는 일차적 장애일 수 있고 PH7.4를 중심으로
산성인지 알칼리성인지 확인한다. PH가 7.4이상이면 알칼리서의 문제가 계속
된다.
6단계 : 보상이 있는 경우 그 정도를 분류한다.
부분적 보상 : 보상의 증후가 있으나 PH는 아직 비정상이다.
완전 보상 : 보상의 증후가 있으며 PH는 정상이다.
¤ ABGA 결과 해석
7.19 - 70 - 58 - 23 호흡성 산증
7.33 - 70 - 50 - 28 보상된 호흡성 산증
7.53 - 98 - 30 - 24호흡성 알칼리증
7.47 - 93 - 33 - 19보상된 호흡성 알칼리증
7.27 - 70 - 37 - 18대사성 산증
7.34 - 70 - 32 - 21보상된 대사성 산증
7.49 - 92 - 43 - 29대사성 알칼리증
7.46 - 92 - 47 - 28보상된 대사성 알칼리증
; 폐포의 과도한 호흡으로 인한 carbon dioxide의 배출
*원인
Hypervetilation
호흡중추의 과잉자극- 발열, 중추신경계질환, 뇌내수술, 아스피린중독증,
저산소증 -고산지 생활, 폐질환, 심한 빈혈, 폐색전증, 저혈압
*임상증상
가쁘고 빠른 호흡
빈맥
심한 불안과 공포
혼동, 실신
저칼륨혈증 - 수소이완과 칼륨의 교환으로 칼륨의 혈청농도가 낮아짐.
심전도의 변화
*ABGA
PH>7.45 PaCO2<35 HCO3- 22~26
*치료 및 간호
Oxygen reservior mask bag이나 종이봉지를 사용하여 PaCO@증가시킨다.
심한 불안을 가라앉히고 천천히 호흡하도록 교육한다.
심한 경우 sedation시키나 과도한 sedation은 피하도록 한다.
# ABGA 결과 해석 단계
1단계 : PH를 확인한다.
정상 7.35~7.45
산증 7.35이하
알칼리증 7.45
2단계 : PaCO2를 사정한다.
호흡성 산증 45mmHg이상
호흡성 알칼리증 35mmHg이하
3단계 : HCO3-를 사정한다.
대사성 산증 22mEq/L 이하
대사성 알칼리증 2mEq/L 이상
4단계 : 보상상태를 확인한다.
보상이 있는 상태 : PaCO2와 HCO3-는 반대방향에서 비정상이다. 예를 들면 하나
는 산성이고 다른 하나는 알칼리성적이다.
보상이 없는 상태 : PaCO2나 HCO3-중 한 성분은 비정상이고 나머지 하나는 정상 이다.
5단계 : 가능하면 일차적 장애를 확인한다.
PH가 비정상이면 PH와 관련된 산-염기문제는 일차적 장애이다.
PH가 정상에 가까우면 변화된 문제는 일차적 장애일 수 있고 PH7.4를 중심으로
산성인지 알칼리성인지 확인한다. PH가 7.4이상이면 알칼리서의 문제가 계속
된다.
6단계 : 보상이 있는 경우 그 정도를 분류한다.
부분적 보상 : 보상의 증후가 있으나 PH는 아직 비정상이다.
완전 보상 : 보상의 증후가 있으며 PH는 정상이다.
¤ ABGA 결과 해석
7.19 - 70 - 58 - 23 호흡성 산증
7.33 - 70 - 50 - 28 보상된 호흡성 산증
7.53 - 98 - 30 - 24호흡성 알칼리증
7.47 - 93 - 33 - 19보상된 호흡성 알칼리증
7.27 - 70 - 37 - 18대사성 산증
7.34 - 70 - 32 - 21보상된 대사성 산증
7.49 - 92 - 43 - 29대사성 알칼리증
7.46 - 92 - 47 - 28보상된 대사성 알칼리증
추천자료
[과외]3.물상 산과 염기의반응(1)
[과외]3.물상 산과 염기의반응(2)
[과외]중학 과학 중3-5 산과 염기의 반응 02
[과외]중학 과학 중3-5 산과 염기의 반응 05
대사성 산증 ,간경화증 - 간호 케이스
산과염기
산과염기의반응 지도안(인지가속모형)
제13장산과염기4
당뇨성 케톤산증(DKA : Dibetic keton acidosis)의 병태생리, 진단 및 치료
바이오 디젤의 정의,바이오 디젤 장점 단점,촉매의 종류-염기촉매,산 촉매 ppt
[화학공학 기초 실험] 완충용액 실험 : 약산에 강염기를 조금씩 첨가하며 pH를 변화를 측정해...
산과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