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나일본부설] 임나일본부설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나일본부설] 임나일본부설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임나일본부설의 내용

2. 임나일본부설의 허구성 분석

3. 결론

본문내용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백제 ,신라가 대화정권에 일본서기에서 주장했던 바대로 복속했다고는 더더욱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일본의 주장을 완전히 허구로 몰아 붙인다면 한반도에서 어떤 형태로든 활약했던 역사적 사실마저도 부인하게 되는 것이다. 어떻게든 대화정권이 한반도와 관계를 가졌던 이유를 설명해야만 모든 것이 완벽하게 맞아떨어지는 것이다. 그것을 당시 大和政權과 외국과의 인적, 물적 교류관계에서 알아볼 수가 있다. 그들이 대륙에서 원한 것과 한반도(6세기까지의 사신의 교환 횟수로 보아 거의 백제와 모든 교류를 하고 있다.)에서 원했던 것은 무엇인가?
백제가 大和에 보낸 23회의 사신 중 내용이 확실한 13회 중 3회는 국토 할양, 2회는 임나 문제, 8회가 軍援을 요구하고 있다. 고구려, 신라와의 항쟁 관계속에서 백제가 필요로 한 것은 軍士였던 것이다.--여기에서 교류의 중심 역할을 한 것은 日系 百濟 官僚였다.
. 이들 관료들은 대개 특정 호족들에 한정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것에는 物部, 科野, 許勢, 紀,葦北氏등이 있으며 物部氏가 전체 사신의 수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許勢氏의 경우 임나 지역에서 많은 활동을 한 걸로 보이며 紀氏는 임나 정벌에 결정적 공을 세웠던 木氏와 발음이 똑같다는 측면에서 동일 성씨가 아닌가 추정된다.
특히 한강 유역을 놓고 백제와 신라가 국운을 걸고 싸운 관산성 싸움에서는 대규모의 軍援을 하고 있다.
반면에 大和정권이 백제에 요구하였던 것은 대륙의 앞선 先進文物이었다. 백제가 대화에 지원한 것을 보면 거의 학자(五經博士, 曆博士, 醫博士 등)와 예능인, 불교계 관련 물품들이란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고대 국가로의 발전 과정에 있어서 지배 계급이 되기 위한 요건이 앞선 선진 문물의 획득이 필수였기 때문에 삼국 중에서 가장 선진국이었던 백제와 교류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사료의 검토에서 밝혀진 기사들을 종합해보면 기사의 主體가 백제이지 大和政權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百濟三書에 백제에 의한 것으로 되어 있던 임나 관계 자료가 "日本書紀"에서는 대화정권에 의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은 그 경영 과정에 참여했던 백제의 장군이나 그 자손들이 渡日하여 대화정권에 관여한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들과 그 선조들의 百濟將軍으로서의 임나에서의 활약이 대화정권의 명에
의한 것처럼 되어 일본서기에 반영되고 그 편찬과정에서 거기에 맞추어서 改作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임나 지배의 기원이 된 369년의 加羅七國平定과 382년의 大加羅救援을 주도한 木羅斤者의 子 木滿致가 475년 동일했다가 그곳에 정착하였고,5세기 초 三己汶에 진출하였던 鹽承津의 8대손인 吉大尙이 도일하여 조상이 倭人이었음을 주장함으로써 任那支配의 기원이 된 加羅七國平定과 任那經營이 대화정권에 의한 것처럼 된 것은 그 좋은 예이다.日本書紀에 보이는 任那支配의 기원과 과정, 그리고 그 지배체제의 성립 등이 大和政權에 의한 것이 아니고 백제에 의한 것임이 밝혀진 마당에 소위-한반도 남부 경영설-즉, 大和政權이 임나를 중심으로 백제, 신라까지도 그 영향하에 두고 있었다는 기존의 일본학계의 주장은 더이상 성립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면 실제로 大和政權과 백제는 어떤 관계였던가? 大和政權과 백제의 관계는 고구려에 대항하기 위해 372년 백제가 大和政權과 관계를 맺은 이래 397년 왕자 直支의 파견을 계기로 양국관계는 군사 관계로 발전하였다. 그 결과 양국 지배층의 교류가 심화되어 6세기에는 傭兵關係에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
참고자료
강만길, 우리 역사를 의심한다, 서해문집
최재석, 일본 고대사의 진실, 일지사
金鉉球. 李彦淑, 일본사 개설, 지영사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0.2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