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자료]사형제도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술자료]사형제도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찬반론에 대한 쟁점정리
2. 헌법재판소의 사형제도에 대한 판결
3. 사형제도에 대하여
4. 사형제의 유구한 역사
5. 영화 속 사형장면

본문내용

1981년 사형제를 폐지했고 EU(유럽연합)는 사형제 폐지를 회원국 가입 선결조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102개국이 사형제를 폐지했고, 한국 등 31개국은 사형제가 있지만 10년 이상 집행을 하지 않는 사실상 사형폐지국이며, 미국 일본 중국 싱가포르 등 64개국은 사형제를 유지하고 있다.
5. 영화 속 사형장면
영화 속의 죽음, 보복, 사형, 사형수 등은 영화의 더할 나위 없는 소재다. 이른바 '문제적 상황'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사형제도를 정면으로 다룬 영화로 알란 파커 감독의 '데이비드 게일'(2003)을 들 수 있다. 강간살해범으로 사형집행을 사흘 앞둔 주인공을 구명하는 과정에서 사형제에 대한 시민들의 상반된 시선을 또렷이 보여준다. 이 영화는 사형제의 가장 큰 맹점인 집행 뒤 환원불가능, 즉 오판 가능성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데드 맨 워킹'(1995)과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2006)은 대중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두 편 모두 사형수가 주인공이며 이들의 마지막을 보여줌으로써 '사형제도가 타당한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와 반대로 흉악범에 대해 합당한 처벌이 없다면 피해자 측이 스스로 사형(私刑)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설정도 상당 수 있다. 존 그리셤의 베스트셀러 소설을 영화화 한 '타임 투 킬'(1996)은 인종차별의 잔재가 남아있는 미국 미시시피주 소도시에서 백인 건달들에게 무참히 강간 살해당한 흑인 소녀의 아버지가 가해자들을 법정 계단 앞에서 기관총으로 난사해 응징한다는 내용이다. 아버지는 KKK단의 갖은 협박, 백인들로만 구성된 배심원단 속에서 신출내기 변호사 등의 도움으로 무죄를 선고받는다. 또 지난해 개봉한 조디 포스터 주연의 '브레이브 원'과 케빈 베이컨 주연의 '데스 센텐스'는 눈 앞에서 사랑하는 사람이 흉포한 범죄자에게 무참히 살해되는 장면을 목격한 주인공들이 직접 복수에 나서는 내용이다. 사형제에 반대하더라도 이런 상황이라면 사적보복에 심정적으로 동조하는 사람들이 많다.
사형제도를 직접 다룬 것은 아니지만, 이창동 감독의 '밀양'은 "피해자가 미처 용서하지 못했는데 신(神)이 먼저 가해자를 용서할 수 있는가" 하는 색다른 질문을 던진다. 주인공(전도연)은 하나뿐인 아들이 유괴살해된 뒤 종교에 귀의해 범인을 용서하려고 교도소로 찾아가지만 범인은 이미 '하나님'께 용서를 받아 평안을 얻었다는 것 즉, 피해자의 고통과 형벌의 교화기능이 미묘하게 오버랩되는 장면이다.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1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9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