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 Freud의 Oedipus Complex와 Electra Complex.
2. 정신 성적 정체감 장애 (Gender Identity Disorders)
3. 남과 녀의 차이
4-1. 결론(1) 주관적인 여성성과 남성성의 대안적인 모델
4-2. 결론(2) 나의 주체성과 성적정체감의 문제
2. 정신 성적 정체감 장애 (Gender Identity Disorders)
3. 남과 녀의 차이
4-1. 결론(1) 주관적인 여성성과 남성성의 대안적인 모델
4-2. 결론(2) 나의 주체성과 성적정체감의 문제
본문내용
는 행동화하고 난잡하고 사회적으로 반항적인 성질을 지니며 마지막 세 번째 요소는(3이라는 숫자가 정신분석학에서 많은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또 한 번 느낀다.) 이상적인 인격을 대표하게 되는 것이다. 대조적인 정동의 극점에서 나는 한편으로는 예민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무디고 냉정하며 무의식의 세계 속에서 구체적이거나 객관적인 것보다는 추상적인 주제, 이는 아마도 철학적인 것에 가까운 것들에 대해 논하길 좋아할 것이다. 이를 보며 나는 여성학에 대한 나의 태도를 이같은 성격형태로 접근한 것일 것이다. 다중인격의 3(!!!)가지 형태에서 첫 번째 인격 양상으로 생활 속의 여성학 1st 를 쓰게 되었고 두 번째 인격으로 생활 속의 여성학 2st 를 쓴 것이고 마지막 인격으로 이 글을 쓰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나는 나자신의 일치된 선택의 기로에서 그 결론을 선택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아마도 토론에서의 주제에 대한 결론의 해석을 나의 생각이 아닌 파스칼의 게임이론에 의해 검증되었다고 생각되는 사고를 갖고 접근하게 되었던 것이다. 물론 이 수업이 종강할 즈음 나는 나의 정체성과 성적 정체성에 대해 그리고 여성학에 대해 폭넓은 이해와 포용성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이 글을 끝내기로 한다.
- 끝 -
p.s 여성학의 이해과정에서 나 자신의 성격과 더불어 문제되는 것을 잊어버렸다. 그것은 바로 수만은 여성들의 대다수가 추구하며 가지고 있는 신데렐라 syndrome이다. 여성학에서의 아킬레스건인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나의 여성학에 대한 불신은 영속될지도 모르다.
- 인간은 누구나 조금씩은 미쳤다. -
- 끝 -
p.s 여성학의 이해과정에서 나 자신의 성격과 더불어 문제되는 것을 잊어버렸다. 그것은 바로 수만은 여성들의 대다수가 추구하며 가지고 있는 신데렐라 syndrome이다. 여성학에서의 아킬레스건인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나의 여성학에 대한 불신은 영속될지도 모르다.
- 인간은 누구나 조금씩은 미쳤다. -
키워드
추천자료
남성과 여성
남성과 여성의 일반적차이점과 성적차이점 지적인차이점과 결혼후차이점
남성과 여성의 대화☆
남성과 여성의 대화에 대한 고찰☆
남성과 여성의 생식기 구조와 기능 및 월경주기 배란주기와 생리적인 관계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란 무엇인가
남성과 여성 뇌 구조의 생체적 차이로 인한 인지능력의 차이
남성성과 여성성의 기질차이에 대한 보고서 입니다. 마가렛 미드의 연구, 루스 베네딕트, 나...
남성주의 여성주의(광고에 관하여)
남성과 여성의 근본적차이
남성과 여성 그리고 양성성
남성과 여성의 접근방향(차이)
남성과 여성의 대화.ppt
남성과 여성의 대화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