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약물의 작용>
1. 치료적 효과(therapeutic effect)
2.부작용(side effect)
3.독작용(toxic effect)
4.특이체질 반응(idiosyncratic reaction)
5.과민증 또는 알레르기
6.약물의 내성(drug tolerance)
7.축적(cumulative effect)
8.약물 상호작용(drug interaction)
9.의원성 질환(iatrogenic disease)
<약물 투여시 안전수칙>
1.경구투여(po medication)
1) 방법
2) 특별 투여 방법
3)주의사항
4)소아에게 투약시 고려사항
5)노인에게 투약시
2.비경구 투여(parenteral medication)
(1) 피내주사(ID)
(2) 피하주사(SC)
(3) 근육주사(IM)
(4) 정맥주사(IV)
(5) 국소적 투여
1. 치료적 효과(therapeutic effect)
2.부작용(side effect)
3.독작용(toxic effect)
4.특이체질 반응(idiosyncratic reaction)
5.과민증 또는 알레르기
6.약물의 내성(drug tolerance)
7.축적(cumulative effect)
8.약물 상호작용(drug interaction)
9.의원성 질환(iatrogenic disease)
<약물 투여시 안전수칙>
1.경구투여(po medication)
1) 방법
2) 특별 투여 방법
3)주의사항
4)소아에게 투약시 고려사항
5)노인에게 투약시
2.비경구 투여(parenteral medication)
(1) 피내주사(ID)
(2) 피하주사(SC)
(3) 근육주사(IM)
(4) 정맥주사(IV)
(5) 국소적 투여
본문내용
2~2.5cm길이의 25G주사침을 주로 사용
주사 용량은 1ml 이하
3)방법
-일회용 주사기 준비
-환자를 확인하고 투약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
-상박 외측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닦음
-주사기를 수직으로 세워서 주사기의 봉을 밀어올려 공기를 뺀다
-왼손엄지와 검지를 주사할 부위에 대고 피부를 팽팽하게 함
-주사바늘에 따라 45~90°(일반적으로 45°)로 바늘을 찌름
-바늘이 혈관에 들어가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주사기둥을 뒤로 살짝
잡아당겨 피가 나오는지 확인, 피가 나오면 혈관에 들어간 것이므로
주사바늘을 빼서 다시 놓음
-천천히 주사 함
-재빨리 빼고 주사부위는 가볍게 비벼줌
-기록하고 사용한 물품을 정리함
4) 주의사항
-헤파린과 인슐린 주사는 마사지 안함(출혈이나 멍이 생길 수 있기 때문)
-헤파린 주입시: 혈종형성에 주의(혈관 분포 좋은 곳 위해 복부에 주입)
주입 전 주사침에 헤파린이 묻어 있지 않도록(약물 뽑은 후 주사침 교환)
피부에 90° 로 찌름
혈액이 나오나 내관을 당겨 보지 않음
0.2ml 의 공기를 넣어 헤파린이 바늘 구멍을 나오지 못하게 함.
(3) 근육주사(IM)
-조직을 자극하는 약물을 근육에 깊숙이 주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
-한 부위에 1회 주입량은 최대 4ml까지
1)주사부위: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한 부위의 선정
굵은 신경, 혈관, 뼈를 피해서 근육이 발 발달된 곳을 선택
계속 주사가 필요할 땐 부위를 돌려가며 놓음
① 둔근의 배면: 근육주사시 가장 많이 쓰는 부위
a. 주로 중둔근과 일부의 대둔군을 포함
b. 복위에서 엄지 발가락끼리 마주보도록 한 자세
c. 3세 미만의 아동에겐 근육 발달 미비로 사용 못함.
② 둔근의 복면: 실금 대상자에서도 대소변 오염이 적은 부위
a. 중둔근과 소둔근을 포함
b. 주로 측위에서 대퇴를 굴곡시킨 자세 혹은 앙와위, 복위도 가능
c. 7개월 이상된 아동과 어른에게 가능.
③ 외측광근: 근육 발달이 좋고 심한 손상의 위험이 없어 자주 권함
a. 대퇴의 앞쪽 중간에서 옆쪽 중간 부위(3등분하여 중간 부위)
b. 자세-앙와위, 좌위
c. 둔근 발달이 미약한 영아와 아이에게 유용한 부위,
성인에게도 자주 이용.
④ 대퇴직근: 대퇴의 앞쪽에 있는 근육
-자가 주사시 이용되며, 앙와위와 좌위에서 가능.
⑤ 삼각근: 상박의 외측에 위치
a. B형 간염 접종에 사용
b. 근육량이 적어 잘 사용치 않으며, 성인에게만 가능한 부위
c. 요골 동맥과 요골 신경을 건드릴 위험 있고 많은 양의 약물
흡수 불능
d. 최대 주입량이 1ml
e. 주사시 자세-앙와위, 좌위
2) 주사 방법
-1회당 4ml 이상은 주입 못함
-21~23G의 2.5~3.8cm 길이의 주사침 이용
-주사기를 90° 로 창을 던지듯이 재빠르게 찌르고 혈액이 나오는지
내관을 당겨봄
-약물 주입은 서서히(1cc를 10초동안 주입)하고 주사 후 부드럽게
마사지→ 기록
*Z-track 주사 방법: a. 지그재그 주사법으로 약물 자극을 피하조직에 남기지 않기 위함
b. 주사침은 되도록 깊이 주사(최소 3.8cm)
c. 약물 주입 후 10초 동안 기다렸다 주사침을 뽑은 후 당겼던
조직 놓음
d. 주사침 자국으로 약물 자국이 새어나오지 않게 마사지 안함
※ 근육주사 및 피하주사시 통증 줄이는 법
-가능한 제일 가는 주사침과 적절한 길이의 주사침 선택
-피하조직에 자극성 있는 약물은 주사침 주위에 약물이 묻지 않게 함
-약물을 뽑은 후 새로운 주사침으로 교환 후 주사
-이완된 근육에 주사(단단하거나 딱딱한 부위는 피함)
-주사침은 재빠르게 찌르고 같은 각도로 빨리 뽑음
-지정된 용량 외에 많은 양의 주입은 피하고, 서서히 주입
(근육주사시 최소 15초 이상 유지)
-계속 주사 맞아야 할 경우는 돌려가면서 주사
(4) 정맥주사(IV): 약의 빠른 효과를 얻기 위함
1) 주사 방법
ㄱ. 15~20cm 윗부분에 지혈대 맨다
ㄴ. 알코올 솜으로 주사 부위를 닦음
ㄷ. 주사 바늘을 30° 각도로 서서히 찌름
ㄹ. 혈액이 역류되면 혈관으로 주입된 것이므로 그대로 바늘을 더 밀어
넣는다
ㅁ. 구혈대를 풀고 조절기를 연다
ㅂ. 반창고 붙여 바늘 위치 고정
ㅅ. 수액의 흐름 조절.
2) 주의사항
-수액이 주입되지 않을 때, 수액이 거의 다 들어갔을 때, 부종이 생겼을 때,
혈액이 역류될 때, 주사 맞은 부위에 통증이나 염증이 있을 때,
부작용 증상이 나타날 때 즉시 간호사에 알림.
(5) 국소적 투여
1) 피부-약물을 사용하기 전 피부를 청결하게
①로션: 잘 흔들어 약물 색깔이 골고루 같아지도록 한 후 소독솜이나
소독 거즈에 적셔 부위를 가볍게 두드리면서 바르고,
바른 다음에는 부위는 문지르지 않아야 함
②연고&크림: 개방된 상처에는 반드시 무균술을 적용해야 하며,
설압자나 면봉 막대로 발라야 함
(*니트로글리세린 연고는 간호사 손의 흡수됨을 막기 위하여 장갑을 착용함)
③분말: 대상자의 얼굴에 멀리 하여 대상자의 입이나 코에 들어가지 않도록 함.
2) 눈
-멸균된 세척 용액이나 생리식염수를 솜에 적셔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물질을 닦아 냄.
-점적기는 각막 손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각막에 직접 떨어뜨리지 않고,
눈에서부터 1~2cm정도 위에 들고 실시
-약물이 비루관을 통해 흘러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눈을 감기 전 솜이나
거즈로 비루관을 30초 동안 눌러 줌
-밖에 약물을 제거하기 위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부드럽게 닦아 줌.
3) 귀
-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점적기 끝을 부드러운 물질로 만든 것을 사용함
-주입한 약물이 귀 안에 남아있게 하기 위해 솜심지를 느슨하게 박아
놓은 후 30분 후에 제거.
4) 코
-약물 주입 전 대상자에게 코를 풀도록 함
-점적기가 비점막에 닿지 않도록 함.
5) 질(좌약)
-스크린을 치고 환자에게 방법을 설명함
-투약하기 전 소변을 보게 함
(방광이 팽만되어 있으면 치료시 불편감이 증대)
-장갑을 끼고 좌약을 삽입 후 약5~10분간 그대로 누워있도록 함.
주사 용량은 1ml 이하
3)방법
-일회용 주사기 준비
-환자를 확인하고 투약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
-상박 외측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닦음
-주사기를 수직으로 세워서 주사기의 봉을 밀어올려 공기를 뺀다
-왼손엄지와 검지를 주사할 부위에 대고 피부를 팽팽하게 함
-주사바늘에 따라 45~90°(일반적으로 45°)로 바늘을 찌름
-바늘이 혈관에 들어가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주사기둥을 뒤로 살짝
잡아당겨 피가 나오는지 확인, 피가 나오면 혈관에 들어간 것이므로
주사바늘을 빼서 다시 놓음
-천천히 주사 함
-재빨리 빼고 주사부위는 가볍게 비벼줌
-기록하고 사용한 물품을 정리함
4) 주의사항
-헤파린과 인슐린 주사는 마사지 안함(출혈이나 멍이 생길 수 있기 때문)
-헤파린 주입시: 혈종형성에 주의(혈관 분포 좋은 곳 위해 복부에 주입)
주입 전 주사침에 헤파린이 묻어 있지 않도록(약물 뽑은 후 주사침 교환)
피부에 90° 로 찌름
혈액이 나오나 내관을 당겨 보지 않음
0.2ml 의 공기를 넣어 헤파린이 바늘 구멍을 나오지 못하게 함.
(3) 근육주사(IM)
-조직을 자극하는 약물을 근육에 깊숙이 주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
-한 부위에 1회 주입량은 최대 4ml까지
1)주사부위: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한 부위의 선정
굵은 신경, 혈관, 뼈를 피해서 근육이 발 발달된 곳을 선택
계속 주사가 필요할 땐 부위를 돌려가며 놓음
① 둔근의 배면: 근육주사시 가장 많이 쓰는 부위
a. 주로 중둔근과 일부의 대둔군을 포함
b. 복위에서 엄지 발가락끼리 마주보도록 한 자세
c. 3세 미만의 아동에겐 근육 발달 미비로 사용 못함.
② 둔근의 복면: 실금 대상자에서도 대소변 오염이 적은 부위
a. 중둔근과 소둔근을 포함
b. 주로 측위에서 대퇴를 굴곡시킨 자세 혹은 앙와위, 복위도 가능
c. 7개월 이상된 아동과 어른에게 가능.
③ 외측광근: 근육 발달이 좋고 심한 손상의 위험이 없어 자주 권함
a. 대퇴의 앞쪽 중간에서 옆쪽 중간 부위(3등분하여 중간 부위)
b. 자세-앙와위, 좌위
c. 둔근 발달이 미약한 영아와 아이에게 유용한 부위,
성인에게도 자주 이용.
④ 대퇴직근: 대퇴의 앞쪽에 있는 근육
-자가 주사시 이용되며, 앙와위와 좌위에서 가능.
⑤ 삼각근: 상박의 외측에 위치
a. B형 간염 접종에 사용
b. 근육량이 적어 잘 사용치 않으며, 성인에게만 가능한 부위
c. 요골 동맥과 요골 신경을 건드릴 위험 있고 많은 양의 약물
흡수 불능
d. 최대 주입량이 1ml
e. 주사시 자세-앙와위, 좌위
2) 주사 방법
-1회당 4ml 이상은 주입 못함
-21~23G의 2.5~3.8cm 길이의 주사침 이용
-주사기를 90° 로 창을 던지듯이 재빠르게 찌르고 혈액이 나오는지
내관을 당겨봄
-약물 주입은 서서히(1cc를 10초동안 주입)하고 주사 후 부드럽게
마사지→ 기록
*Z-track 주사 방법: a. 지그재그 주사법으로 약물 자극을 피하조직에 남기지 않기 위함
b. 주사침은 되도록 깊이 주사(최소 3.8cm)
c. 약물 주입 후 10초 동안 기다렸다 주사침을 뽑은 후 당겼던
조직 놓음
d. 주사침 자국으로 약물 자국이 새어나오지 않게 마사지 안함
※ 근육주사 및 피하주사시 통증 줄이는 법
-가능한 제일 가는 주사침과 적절한 길이의 주사침 선택
-피하조직에 자극성 있는 약물은 주사침 주위에 약물이 묻지 않게 함
-약물을 뽑은 후 새로운 주사침으로 교환 후 주사
-이완된 근육에 주사(단단하거나 딱딱한 부위는 피함)
-주사침은 재빠르게 찌르고 같은 각도로 빨리 뽑음
-지정된 용량 외에 많은 양의 주입은 피하고, 서서히 주입
(근육주사시 최소 15초 이상 유지)
-계속 주사 맞아야 할 경우는 돌려가면서 주사
(4) 정맥주사(IV): 약의 빠른 효과를 얻기 위함
1) 주사 방법
ㄱ. 15~20cm 윗부분에 지혈대 맨다
ㄴ. 알코올 솜으로 주사 부위를 닦음
ㄷ. 주사 바늘을 30° 각도로 서서히 찌름
ㄹ. 혈액이 역류되면 혈관으로 주입된 것이므로 그대로 바늘을 더 밀어
넣는다
ㅁ. 구혈대를 풀고 조절기를 연다
ㅂ. 반창고 붙여 바늘 위치 고정
ㅅ. 수액의 흐름 조절.
2) 주의사항
-수액이 주입되지 않을 때, 수액이 거의 다 들어갔을 때, 부종이 생겼을 때,
혈액이 역류될 때, 주사 맞은 부위에 통증이나 염증이 있을 때,
부작용 증상이 나타날 때 즉시 간호사에 알림.
(5) 국소적 투여
1) 피부-약물을 사용하기 전 피부를 청결하게
①로션: 잘 흔들어 약물 색깔이 골고루 같아지도록 한 후 소독솜이나
소독 거즈에 적셔 부위를 가볍게 두드리면서 바르고,
바른 다음에는 부위는 문지르지 않아야 함
②연고&크림: 개방된 상처에는 반드시 무균술을 적용해야 하며,
설압자나 면봉 막대로 발라야 함
(*니트로글리세린 연고는 간호사 손의 흡수됨을 막기 위하여 장갑을 착용함)
③분말: 대상자의 얼굴에 멀리 하여 대상자의 입이나 코에 들어가지 않도록 함.
2) 눈
-멸균된 세척 용액이나 생리식염수를 솜에 적셔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물질을 닦아 냄.
-점적기는 각막 손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각막에 직접 떨어뜨리지 않고,
눈에서부터 1~2cm정도 위에 들고 실시
-약물이 비루관을 통해 흘러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눈을 감기 전 솜이나
거즈로 비루관을 30초 동안 눌러 줌
-밖에 약물을 제거하기 위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부드럽게 닦아 줌.
3) 귀
-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점적기 끝을 부드러운 물질로 만든 것을 사용함
-주입한 약물이 귀 안에 남아있게 하기 위해 솜심지를 느슨하게 박아
놓은 후 30분 후에 제거.
4) 코
-약물 주입 전 대상자에게 코를 풀도록 함
-점적기가 비점막에 닿지 않도록 함.
5) 질(좌약)
-스크린을 치고 환자에게 방법을 설명함
-투약하기 전 소변을 보게 함
(방광이 팽만되어 있으면 치료시 불편감이 증대)
-장갑을 끼고 좌약을 삽입 후 약5~10분간 그대로 누워있도록 함.
추천자료
고령자와 장애인의 교통안전대책 문제점과 개선대책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안전교육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 안전지도
<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과 응급처치 >
우리나라 영유아 안전사고 현황 조사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놀이 시설과 관련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3가지 제...
[레져스포츠] 스키 안전사고에 대해서
[화재] 화재현장안전의 일반사항
/아동건강교육2017/만 3세를 위한 안전교육을 계획하시오(교육내용, 누리과정 내용 환경구성,...
보건교육A형-아동지역노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예방교육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에 적용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