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고령자복지와 고령자 (이재덕)
제2절 외국의 고령자주택 종류와 특징 (최해윤, 송은정)
제3절 우리나라의 고령자 주거 형태와 관련 시설의 분류 (박동혁)
제4절 우리나라 고령층의 인구 변화와 주택 사정의 변화 예측 (정소희)
제5절 우리나라 고령자 세대의 주거환경의 위험도와 사용 실태 (이필영)
제6절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주택계획과 주거환경의 방향 (이창희)
참고자료
참고문헌 및 관련홈페이지 안내
제2절 외국의 고령자주택 종류와 특징 (최해윤, 송은정)
제3절 우리나라의 고령자 주거 형태와 관련 시설의 분류 (박동혁)
제4절 우리나라 고령층의 인구 변화와 주택 사정의 변화 예측 (정소희)
제5절 우리나라 고령자 세대의 주거환경의 위험도와 사용 실태 (이필영)
제6절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주택계획과 주거환경의 방향 (이창희)
참고자료
참고문헌 및 관련홈페이지 안내
본문내용
나 요양원과 달리 입주자들의 입주금으로 운영되는 노인 거주단지이다.
시버타운은 노후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의료시설, 오락시설, 체력단련시설 등을 갖추고 식사관리, 생활편의, 건강의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1960년대부터 미국 남부지역에 형성되기 시작한 노인들의 밀집주거지역에서 유래되었으며 실버타운은 일반적으로 노인촌 또는 노인주거단지라고 하는데 고령자들에게 필요한 시설 및 서비스 기능을 갖춘 복합시설로서 유료양로원보다 큰 규모를 의미한다. 즉, 사회생활에서 은퇴한 고령자들이 집단적 또는 단독적으로 거주하는데 필요한 주거시설 및 각종 레저·스포츠 등 휴양시설과 노인용 병원, 노인 커뮤니티 시설 등 각종 서비스 기능을 갖추고 있는 노인전용의 복합시설단지를 말한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나라 국민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중상류층 노인들이 주로 입주하고 있다.
실버타운이라는 단어는 한국에서만 쓰고 있다. 흰 머리카락을 비유하여 노인들과 관련된 산업을 표현하기 위하여 일본에서 만든 실버산업에서 실버를 따서 영어 단어 타운과 합성한 것이다. 실버타운과 비슷한 개념의 유료 노인주거시설을 일본에서는 유료노인홈, 미국은 노인촌락(Retirement Community)이라고 부른다.
한국에 처음 들어선 실버타운은 1988년 7월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원동에서 문을 연 유당마을이며, 사회복지법인 재성이 운영하고 있다. 민간기업이나 개인도 유료 노인복지시설을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법률 제4,633호에 의하여 1993년 12월 27일 노인복지법이 개정되면서 전국 각지에 많은 수가 지어졌지만 관리 부실과 운영업체의 도산 등으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입주방식은 분양, 종신이용권, 회원권, 임대 등이 있고, 거주형태 따라 단독주거형과 공동주거형으로, 들어선 장소에 따라 도시형, 도시근교형, 전원휴양형 등으로 구분된다. 입주비용은 환경과 각종 서비스 내용 등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실버타운에는 주로 실버산업의 대상 분야 중 주거관련분야를 중심으로 하되 노인복지정책의 목표가 구현될 수 있도록 기능이나 시설이 복합적으로 수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실버타운은 그 범위에 있어서 기존의 유료양로원과 같은 단순주거기능 위주의 소규모 단일시설개념에서 한 단계 발전하여 필요한 제반 서비스까지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즉, 실버타운은 노인이 당면한 문제와 노인의 요구에 대응하는 거주 환경이 되어야 하며, 이때 느끼는 주거환경의 만족은 노인이 직면한 노인문제의 해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6>
미국의 실버타운 [ Sun City West ]
◎ 위 치
13001 Meeker Blvd Sun City West, Arizona 85375 U.S.A
◎ 시설규모와 특징
아리조나주 피닉스 북서쪽 14마일에 위치한 세계 최대 규모의 노인촌락단지로서 영리단체인 Del Webbs사에 의해서 1978년에 문을 열었다. 17,000에이커의 광대한 대지에 현재 약 48,500개의 주거 홈이 있으며 약 74,000명의 노인이 거주하고 있다. Sun City West 노인촌락 단지는 이곳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위하여 각종 편의, 오락시설을 갖추고 입주자들의 활동적인 노후생활의 보장을 최대의 목표로 삼고 있다.
◎ 입주자격 및 입주비용
입주자격은 55세 이상의 노인이다. 입주는 분양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은행으로부터 장기 융자도 가능하다. 19개의 주거모델을 갖추고 있으며 주택값은 9만달러-23만달러의 분포이며 냉.난방시설을 포함한 최신시설을 갖추고 있다.
◎ 입주자들을 위한 단지내의 각종 편의 오락 운동시설
① 18홀 골프 코스 : 6개의 골프장이 입주자만을 위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1개의 골프장은 일반 대중도 이용할 수 있다.
② 오락, 운동시설 : 실내외 수영장, 테니스 코트, 헬스클럽, 볼링장, 전자오락실, 워킹트랙을 갖추고 있는 노인종합오락센터가 6개소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회원권을 구입하여야 한다.
③ 쇼핑센터 : 단지내에는 슈퍼마켓, 미용실, 약국, 식당, 이발소, 은행, 열쇠가게, 아이스크림가게, 여행사, 의상실, 양복점, 꽃가게, 안경점, 가구점, 선물의 집 등 단지 내의 입주자를 위하여 쇼핑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④ 의료서비스 : Del E. Webbs Memorial 종합병원이 있어서 단지내 입주자에게 필요한 각종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단지내에는 노인용양시설과 치매센터 등이 10여개소 운영되고 있다.
⑤ 경찰서/소방소 : 1개의 경찰서와 2개의 소방서가 있으며 미국내에서 범죄가 가정 적은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⑥ 종교단체 : 12개의 종교 조직이 단지 내의 코뮤니티룸에서 실시된다.
⑦ Sundoime Center : 1980년에 문을 연 미국 최대의 실내 영화관으로 약 7,000명이 동시에 관람할 수 있다.
참고 문헌
1. 황진수 외(2007), 「현대노인복지정책론」, 대영문화사
2. 유병선(2006), 「고령사회의 노인주거복지 과제」, 한국학술정보
3. 한형수 ‘한국사회 고령화의 사회 경제적 영향과 정책대응’
4. 권혁삼, 최은희, 박준영(2006), 「고령자를 고려한 공동주택 관련 법규 및 제도 개선방안 연구」,
주택도시연구원
5.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2006), 「고령사회 주거지원 종합대책」,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6. 박준영 외(2006),「고령사회에 대비한 국민임대 노인주택 모델 개발」,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7. 김종태 (2007), 「노인복지주택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명지대 대학원 학위논문
8. 윤주현외(2004) 「인구고령화와 노인주거」, 국토연구원
9. 문현상.김유경(1997), 「유료노인시설의 공급 확대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김태일(2000), 「노인주택모형 , 노년학의 이해」, 한국노년학회(편)
관련 홈페이지
1. ‘2007년 고령자 통계’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2. 임대주택 계획 - 대한주택공사(http://www.jugong.co.kr/)
3. ‘2008년 노인복지시설 현황’ - 보건복지부(http://www.mw.go.kr/)
시버타운은 노후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의료시설, 오락시설, 체력단련시설 등을 갖추고 식사관리, 생활편의, 건강의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1960년대부터 미국 남부지역에 형성되기 시작한 노인들의 밀집주거지역에서 유래되었으며 실버타운은 일반적으로 노인촌 또는 노인주거단지라고 하는데 고령자들에게 필요한 시설 및 서비스 기능을 갖춘 복합시설로서 유료양로원보다 큰 규모를 의미한다. 즉, 사회생활에서 은퇴한 고령자들이 집단적 또는 단독적으로 거주하는데 필요한 주거시설 및 각종 레저·스포츠 등 휴양시설과 노인용 병원, 노인 커뮤니티 시설 등 각종 서비스 기능을 갖추고 있는 노인전용의 복합시설단지를 말한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나라 국민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중상류층 노인들이 주로 입주하고 있다.
실버타운이라는 단어는 한국에서만 쓰고 있다. 흰 머리카락을 비유하여 노인들과 관련된 산업을 표현하기 위하여 일본에서 만든 실버산업에서 실버를 따서 영어 단어 타운과 합성한 것이다. 실버타운과 비슷한 개념의 유료 노인주거시설을 일본에서는 유료노인홈, 미국은 노인촌락(Retirement Community)이라고 부른다.
한국에 처음 들어선 실버타운은 1988년 7월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원동에서 문을 연 유당마을이며, 사회복지법인 재성이 운영하고 있다. 민간기업이나 개인도 유료 노인복지시설을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법률 제4,633호에 의하여 1993년 12월 27일 노인복지법이 개정되면서 전국 각지에 많은 수가 지어졌지만 관리 부실과 운영업체의 도산 등으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입주방식은 분양, 종신이용권, 회원권, 임대 등이 있고, 거주형태 따라 단독주거형과 공동주거형으로, 들어선 장소에 따라 도시형, 도시근교형, 전원휴양형 등으로 구분된다. 입주비용은 환경과 각종 서비스 내용 등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실버타운에는 주로 실버산업의 대상 분야 중 주거관련분야를 중심으로 하되 노인복지정책의 목표가 구현될 수 있도록 기능이나 시설이 복합적으로 수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실버타운은 그 범위에 있어서 기존의 유료양로원과 같은 단순주거기능 위주의 소규모 단일시설개념에서 한 단계 발전하여 필요한 제반 서비스까지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즉, 실버타운은 노인이 당면한 문제와 노인의 요구에 대응하는 거주 환경이 되어야 하며, 이때 느끼는 주거환경의 만족은 노인이 직면한 노인문제의 해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6>
미국의 실버타운 [ Sun City West ]
◎ 위 치
13001 Meeker Blvd Sun City West, Arizona 85375 U.S.A
◎ 시설규모와 특징
아리조나주 피닉스 북서쪽 14마일에 위치한 세계 최대 규모의 노인촌락단지로서 영리단체인 Del Webbs사에 의해서 1978년에 문을 열었다. 17,000에이커의 광대한 대지에 현재 약 48,500개의 주거 홈이 있으며 약 74,000명의 노인이 거주하고 있다. Sun City West 노인촌락 단지는 이곳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위하여 각종 편의, 오락시설을 갖추고 입주자들의 활동적인 노후생활의 보장을 최대의 목표로 삼고 있다.
◎ 입주자격 및 입주비용
입주자격은 55세 이상의 노인이다. 입주는 분양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은행으로부터 장기 융자도 가능하다. 19개의 주거모델을 갖추고 있으며 주택값은 9만달러-23만달러의 분포이며 냉.난방시설을 포함한 최신시설을 갖추고 있다.
◎ 입주자들을 위한 단지내의 각종 편의 오락 운동시설
① 18홀 골프 코스 : 6개의 골프장이 입주자만을 위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1개의 골프장은 일반 대중도 이용할 수 있다.
② 오락, 운동시설 : 실내외 수영장, 테니스 코트, 헬스클럽, 볼링장, 전자오락실, 워킹트랙을 갖추고 있는 노인종합오락센터가 6개소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회원권을 구입하여야 한다.
③ 쇼핑센터 : 단지내에는 슈퍼마켓, 미용실, 약국, 식당, 이발소, 은행, 열쇠가게, 아이스크림가게, 여행사, 의상실, 양복점, 꽃가게, 안경점, 가구점, 선물의 집 등 단지 내의 입주자를 위하여 쇼핑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④ 의료서비스 : Del E. Webbs Memorial 종합병원이 있어서 단지내 입주자에게 필요한 각종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단지내에는 노인용양시설과 치매센터 등이 10여개소 운영되고 있다.
⑤ 경찰서/소방소 : 1개의 경찰서와 2개의 소방서가 있으며 미국내에서 범죄가 가정 적은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⑥ 종교단체 : 12개의 종교 조직이 단지 내의 코뮤니티룸에서 실시된다.
⑦ Sundoime Center : 1980년에 문을 연 미국 최대의 실내 영화관으로 약 7,000명이 동시에 관람할 수 있다.
참고 문헌
1. 황진수 외(2007), 「현대노인복지정책론」, 대영문화사
2. 유병선(2006), 「고령사회의 노인주거복지 과제」, 한국학술정보
3. 한형수 ‘한국사회 고령화의 사회 경제적 영향과 정책대응’
4. 권혁삼, 최은희, 박준영(2006), 「고령자를 고려한 공동주택 관련 법규 및 제도 개선방안 연구」,
주택도시연구원
5.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2006), 「고령사회 주거지원 종합대책」,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6. 박준영 외(2006),「고령사회에 대비한 국민임대 노인주택 모델 개발」,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7. 김종태 (2007), 「노인복지주택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명지대 대학원 학위논문
8. 윤주현외(2004) 「인구고령화와 노인주거」, 국토연구원
9. 문현상.김유경(1997), 「유료노인시설의 공급 확대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김태일(2000), 「노인주택모형 , 노년학의 이해」, 한국노년학회(편)
관련 홈페이지
1. ‘2007년 고령자 통계’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2. 임대주택 계획 - 대한주택공사(http://www.jugong.co.kr/)
3. ‘2008년 노인복지시설 현황’ - 보건복지부(http://www.mw.go.kr/)
추천자료
미래의 집 - 미래 주거와 지능형 아파트
주거보장정책
주거 극빈층을 위한 주거정책
주거공간 디자인의 이해
미래의 새로운 주거대안
[건축학과] 노유자 공동 주거 시설의 유니버셜 디자인
[서민][서민금융제도][생활안정제도][전월세지원제도][주거복지제도]서민과 서민금융제도, 서...
2013년 주거관리
임대주택 입주민의 특징, 공공 임대주택 입주민을 위한 주거복지서비스 사례, 주택바우처란 ...
일본의 주거복지정책
우리는 살아가면서, 노령, 실업, 장애, 질병(암, 치매 등), 소외(왕따), 교육, 주거 등등 다...
공통교양,법,경제=부동산법제=주거관련 사회 환경의 변화와 문제점, 그리고 이에 따른 주택관...
사회복지개론]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성...
소개글